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미월 을목(未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미월 을목(未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반응형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미월 을목(未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 여름생 삼하(三夏)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해생(돼지띠) 정미월 을사일 경진시 (진시생)

: 정해년주, 정미월주, 을사일주, 경진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이 사주는 어사(御史)의 명이다. 진(辰)궁 계(癸)수가 용신이고, 계경병(癸丙庚)이 모두 중화(仲和)되었다. 해미(亥未)가 묘(卯)를 끼고 있어 암록(暗祿)이 있으니 귀(貴)격을 이루었다.

 

※ 미월을목(未月乙木) : 조화원약평주
: 하월(夏月) 을(乙)목은 계(癸)수로 용신을 삼고, 병(丙)화는 참작하여 취하고, 그다음은 경신(庚辛)을 취한다. 하월 을목은 계(癸)수가 우선이나, 금수(金水)가 많으면 병(丙)화가 용신이 된다. 그리고 하목(夏木)은 메말라 조후가 시급하니 경신(庚辛)으로 보좌해야 한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축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술생(개띠) 신미월 을축일 을유시 (유시생)

: 갑술년주, 신미월주, 을축일주, 을유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살중신약격(殺重身弱格) 선빈후부(先貧後富)의 사주이다.

 

- 을(乙)목이 미(未)월에 생하여 주중에 금다(金多)하니 목쇠살왕(木衰殺旺)할 따름이다. 대운이 화(火)왕 남방운에 직행하여 금(金)살을 제하니 어찌 그 부(夫)가 흥왕하고 자아(自兒)가 영창(榮昌)하지 않겠는가?

 

- 을목이 미(未)월에 생하여 갑을목(甲乙木)이 있으나 중중으로 있는 금(金)신 부성의 왕함을 어찌 당할 수 있으며, 또 금(金)기는 왕(旺)하고 목(木)기가 퇴(退)하여 금살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병(病)은 더욱 자심하였으니 어찌 금(金)신 부성이 도리어 적(賊)이 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대운이 기사(己巳), 무진(戊辰)에 행하여는 재성이 생살(生殺)해 주므로 빈고(貧苦)하였고 극부(剋夫)하였다. 

 

- 정묘(丁卯)대운에 이르러서는 식신을 생조하여 살(殺)신을 제거하였으므로 길하였고 병인(丙寅) 대운에 또한 왕살을 제지(制止)하였으므로 안향(安享)하였으며 자손이 다 수영(秀榮)하여 우유자락(優遊自樂)하였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신미월 을사일 정해시 (해시생)

: 병술년주, 을미월주, 을사일주, 정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목이 미(未)월에 생하여 천간으로 병정(丙丁)이 투출하고 사(巳)화와 술(戌)토에 통근하니 설(洩)기가 지나쳐 수(水)의 생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도리어 해(亥)수가 병(病)이 되었다. 격은 순국(順局)으로 종아격(從兒格)을 이루었다. 

 

- 초운이 병신(丙申), 정유(丁酉)인데 병정(丙丁)이 개두하여 평안하였다. 무술(戊戌)대운은 해(亥)수를 극하여 없애니 명리가 양전하였다. 

 

- 기해(己亥)대운에 이르러 수(水)가 득지하니 고창병(臌脹病)이 생겼는데 이는 사주에 화(火)가 왕한데 또 조(燥)토가 있어 수(水)가 돌아갈 곳이 없다. 고로 이 병(病)을 얻어 사망하였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해생(돼지띠) 계미월 을미일 을유시 (유시생)

: 을해년주, 계미월주, 을미일주, 을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35년생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소서(小暑) 열(熱)중에 생하여 을(乙)목이 셋이요. 해미(亥未)가 성국하며 유계(酉癸)가 조후하니 하절의 쇠목이라도 도리어 왕(旺)세가 되었다. 유(酉)금 칠살이 용신이 되며 토(土) 재성이 희신이다. 

 

- 신사(辛巳), 경진(庚辰)대운은 윤토생금(潤土生金)하여 부모 기반으로 상업에 종사하였다. 

 

- 묘(卯), 인(寅), 정(丁) 대운에는 길함이 없겠고, 병(丙)대운은 용신 금(金)을 극하니 역시 불길하며 자(子)대운은 금(金)이 자(子)에 사(死)지가 되므로 불길하다.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술생(개띠) 계미월 을해일 정축시 (축시생)

: 경술년주, 계미월주, 을해일주, 정축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50년생으로 구홍기(瞿鴻禨)의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미(未)월에 태어나니 토(土)는 건조하고 목(木)은 메말랐다. 묘하게도 계(癸)수가 투출하여 있는 것이다. 해(亥)수와 축(丑)토가 공협하여 계(癸)수의 건록인 자(子)수를 얻었으며, 해(亥)수와 미(未)토가 공협하여 묘(卯)목이 일간의 건록이니 생왕함이 유정하다. 

 

- 미(未)토에서 근원이 일어나 금수목화(金水木火) 차례로 번갈아 생하고 있으니 근원이 멀리까지 길게 흘러 복택(福澤)이 유구할 것이다. 

 

- 금(金) 관성으로 용신하니 토(土) 재성과 수(水) 인성이 보조한다. 마땅히 귀할 것이다. 

 

- 시상의 정(丁)화가 설기함이 빼어나니 이로써 이름이 한원에서 높았으며 태평한 시대의 재상이다.

 

※ 구홍기(瞿鴻禨)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 자는 자구(子玖), 호는 지암(止庵), 서암노인(西岩老人)이다. 

- 호남(湖南) 선화(善化) 사람으로 청(清)나라 말기에 군기대신(軍機大臣)이다. 1871년 진사(進士) 출신으로 편수(編修), 시강학사(侍講學士), 내각학사(內閣學士)를 지냈고, 복건(福建), 광서향시(廣西鄉試) 고관(考官) 및 하남(河南), 절강(浙江), 사천(四川) 강소(江蘇) 등의 사성학정(四省學政)을 역임했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사생(뱀띠) 정미월 을미일 경진시 (진시생)

: 정사년주, 정미월주, 을미일주, 경진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팔자명보총람』에 수록된 고전 명조로 포정부인(布政夫人)의 사주이다.

 

- 편재격으로 대운이 북(北)방 수(水)운으로 들어가자 부(夫)와 자식을 가르치는 상(相)이더니 함께 등운(登雲)하였다. 2품 부인에 봉(封)해짐을 받았다. 

 

- 대운이 서북동(西北東)으로 가고 부자(夫子)가 함께 등운하여 이품(二品)부인이 되었으므로 종격이 아니다. 을(乙)이 미진(未辰)에 뿌리가 있고 정(丁)이 경(庚)을 극한다. 을(乙)목이 뿌리가 있으면 아(兒)는 따라갈 수 있으나 재(財)는 따라가지 않는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유생(닭띠) 신미월 을유일 정축시 (축시생)

: 기유년주, 신미월주, 을유일주, 정축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6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연세대를 졸업하여 소아과 의사가 되었다. 명식에 광풍낙화(狂風落花)가 되어 있어 억울한 사기결혼을 당하고 독신으로 살게 되었다. 

 

※ 乙木+辛金 : 광풍낙화(狂風落花)
: 을(乙)목이 신(辛)금을 만나면 광풍낙화다. 예리한 칼날에 꽃이 꺾인다. 살을 저미는 아픔과 숨이 막히는 고난이 따른다. 본인 의지와 상관없는 사건 현장의 피해나 애정의 배신을 겪어 보는 명운이다. 억울한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해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사생(뱀띠) 기미월 을해일 경진시 (진시생)

: 계사년주, 기미월주, 을해일주, 경진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3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乙)목일주가 하계 미(未)월에 출생하여 실시하고 미(未)중 기(己)토가 월상에 투출하여 편재격이다. 또한 사미(巳未)가 화(火)국을 이루고 경진(庚辰) 재관이 있어 일간이 신약하다. 연상의 인성 계(癸)수로 살인상생(殺印相生)을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수(水) 인수가 용신이고 목(木) 비견겁이 희신이 된다. 

 

- 여명이 정관 경(庚)금, 정재 진(辰)토, 정인 해(亥)수를 놓아 삼기(三奇)가 되어 귀격(貴格)이다. 

 

- 25세에 임(壬)수대운부터 세무공무원으로 근무를 하였고 45세 갑(甲)목대운에 퇴사를 하여 사업을 시작하였으나 월상의 기(己)토와 갑기합토(甲己合土)가 되어 손해를 보았다. 하지만 50세 자(子)수 대운에 다시 사업이 번창하여 재산을 복구하고 잘 살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오생(말띠) 을미월 을미일 병자시 (자시생)

: 병오년주, 을미월주, 을미일주, 병자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6년생 사주이다. 

 

- 소서(小暑)에 화염토왕(火炎土旺)한데 년지 오(午)화에 시상의 병(丙)화가 투간하였으니 신약에 조후가 시급하다. 자(子)수가 조후용신에 금(金)운이 희신이며 토(土)가 용신을 극하는 사주의 병(病)이고 목(木)이 약신이 된다.

 

- 미미(未未)에 화개살이 있고 음악 전공에 인성(印星)이 용신이니 음악 교실을 운영했다. 오(午)대운에 시지의 도화를 충(沖)하여 봉남(逢男)하고 계(癸)대운에 용신을 도우니 성혼하였다. 사(巳)대운은 재성을 생하니 길운이 아니었고, 임진(壬辰) 대운은 용신을 도와서 길하였다. 

 

- 신(辛)대운은 희신이 되지만 여명에게는 관봉관운(官逢官運)이 되니 길운이 아닌데 2005년 을유(乙酉)년에 재봉관년(再逢官年)이 되니 부유외정(夫有外情)이 있었고, 2008년 무자(戊子)년에 도화(桃花)년이 되니 또 다시 부유외정(夫有外情)이 있었다. 2009년 기축(己丑)년에 사주의 병(病)인 재성을 도우고 쟁충(箏沖)하니 이혼하였다. 기축(己丑)년 왕토인 미(未)토와 충(沖)하여 자궁적출 수술도 하였다.

 

- 위 사주는 원국이 무관성이고 배우자궁인 좌하(坐下)가 흉신으로 되어 있어 이혼을 하게 된 것이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미월을목(未月乙木) 을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정미월 을축일 경진시 (진시생)

: 임신년주, 정미월주, 을축일주, 경진시주

출처-계의신결(稽疑神訣), 최국봉, 태중출판사, 2015.11.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乙)목일주가 미(未)월에 생하고 축(丑)토와 진(辰)토가 병림(倂臨)하니 재다신약한 명이다. 재관을 종(從)하려하나 미(未)토와 진(辰)토 중에 을(乙)목이 통근하고 연간에 임(壬)수가 신(申)금에서 장생하고 축진(丑辰)에 착근하여 종하지 않는다. 염천(炎天)에 수(水)를 용신으로 하니 격(格)이 높다.

 

- 초년 신유술(申酉戌) 대운에 곤궁하였으나 해자축(亥子丑), 인묘(寅卯)대운을 만나 대발하여 만석갑부(萬石甲富)가 되었다. 이 명조는 구한말의 공주(公州) 갑부 김갑순(金甲淳)의 사주이다. 

 

 

 

 

※ 참고자료 : 공주(公州) 갑부 김갑순(金甲淳)

 

[조용헌의 八字기행]조상 묫자리 덕에 구한말 갑부 된 김갑순…노비로 태어나 부동산 투기로 축재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2/07/473905/

 

www.mk.co.kr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