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진월 을목(辰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진월 을목(辰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반응형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진월 을목(辰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 봄생 삼춘(三春)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유생(닭띠) 갑진월 을사일 갑신시 (신시생)

: 정유년주, 갑진월주, 을사일주, 갑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拔貢(발공) 但刑妻損子(단형처손자) 兄弟全無(형제전무) 因支中戊土太多(인지중무토태다)

 

- 팔자에 을(乙)목의 기운을 발하는 병(丙)화 상관과 을(乙)목을 배양하는 계(癸)수 편인이 암장되어 있다. 그러나 계(癸)수는 무계합(戊癸合)이 되고, 병(丙)화는 신(申)중 임(壬)수에 암충(暗沖)이 되어 벼슬이 발공(拔貢)에 불과하였다. 또한 일지 병(丙)화가 건록의 자리에 있으나 사신형(巳申刑)으로 깨져버려서 처를 극한다. 자식이 없었고, 형제도 없었다. 이는 지지 중에 무(戊)토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 진월을목(辰月乙木) : 궁통보감강해

주용신 : 계(癸)수 / 보조용신 : 병(丙)화

양(陽)기가 더욱 강해지는 달에 있다. 먼저 계(癸)수 편인을 써서 을(乙)목을 기르고, 다음에 병(丙)화 상관을 써서 뛰어난 기운이 나타나게 한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지지에 병계(丙癸)가 암장되어 있어 선발되는 선비에 불과하다. 자식이 많으며 효도하고, 어진 아내를 만나지만 해로하기 어렵고, 부모와 인연이 없고, 수족이 무력하다. 이것은 무(戊)토가 중(重)하여 병(病)이 되기 때문이다. 서북(西北)운이 길하다.

 

- 사(巳)궁의 병(丙)화가 용신인데, 임(壬)수가 병(丙)화를 곤(困)하게 하여 선발되는 선비에 불과한 것이다. 진유(辰酉)가 합하고, 시지에 신(申)금을 만나나 정(丁)화가 금(金)을 파(破)한다. 

 

- 일지에 병(丙)화가 득록하여 아내가 어지나, 사신(巳申)이 상형(相刑)하여 해로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시지 경(庚)금이 득록하여 을경(乙庚)이 상합하니, 자식이 많으며 효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을목이 시(時)지 경(庚)금을 향하고, 신(申)중 임(壬)수가 갑(甲)목을 생하니 모두 돌보지 않아 부모와 인연이 없는 것이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술생(개띠) 병진월 을미일 병술시 (술시생)

: 무술년주, 병진월주, 을미일주, 병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을목일주가 계춘(季春)에 생하여 미(未)에 뿌리를 내리고 여기인 진(辰)토가 있어 마치 재다신약 같으나 사주가 다 재(財)임으로 재(財)의 기세를 따라 반드시 종(從)하여야 한다.

 

- 춘토(春土)는 기가 허한데 병(丙)화가 있어 실하게 되었다. 화(火)는 목(木)의 수(秀)기이고 토(土)는 화(火)의 수(秀)기로 셋이 다 건전하다. 설(洩)하는 금(金)이 없고 마찰하는 수(水)가 없어 좋은데 더욱 기쁜 것은 운이 남(南)방 화(火)지로 가니 수기(秀氣)가 유행하는 것이다. 

 

- 이런 까닭에 과거에 급제하고 빼어난 문장으로 상소한 글이 삼천(三千)이나 되었고 이름이 금방(金榜)에 오르고 오두관(鰲頭冠: 관리 등용 시험의 장원)을 쓴 오백 사람 중에 들었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자생(쥐띠) 무진월 을묘일 병자시 (자시생)

: 갑자년주, 무진월주, 을묘일주, 병자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잡기재관격(雜氣財官格) 풍살사(馮殺師)의 사주이다.

 

- 차명이 진(辰)중 무(戊)토를 쓰는바 월간에 투출하니 신왕재왕(身旺財旺)이요. 삼양(三陽)의 양기가 창성하지만 자진(子辰) 수(水)국이 왕하니 수(水)기가 과(過)하다. 무(戊)토가 재수함이 길하고 병(丙)화가 있어 목화통명(木火通明)되며 병(丙)화 상관이 생조해 줌이 대길이다.

 

- 사오미(巳午未) 초년에 조달하였고 임신(壬申), 계유(季酉) 대운에는 생수(生水)함이 장애이나 산왕한 명주에 관(官)운이므로 역길(亦吉)하였다. 갑술(甲戌) 대운에 생화하고 왕재하므로 역시 발달하였다. 신왕하므로 재관(財官) 운에 발신할 것인 바 계(癸)수 인성을 무(戊)토가 합화(合化)하니 무방(無妨)하며 신유술(申酉戌) 대운 중 대통(大通)하였을 것이다. 

 

- 을(乙)대운은 일락천장격(一落千丈格)이요 을해(乙亥) 대운에 사망한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미생(양띠) 경진월 을유일 을유시 (유시생)

: 을미년주, 경진월주, 을유일주, 을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895년생으로 언론인, 정치가 였던 故 김준연(金俊淵) 총재의 사주이다. 

 

- 금토(金土)가 태왕한데 을목일주가 당연 종격(從格)이나 청명 직후에 목왕여기(木旺餘氣)가 있고 미(未)중 을(乙)목과 천간에 을(乙)목 비견이 투출하여 살중신경(殺重身輕)이다. 해자축(亥子丑) 대운에 학력으로 명예가 있고 51세 이후 출세하여 신(申)대운 신해(辛亥)년에 거세하였다.

 

※ 김준연(金俊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발췌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낭산(朗山). 전라남도 영암 출생. 상경(相逕)의 9형제 중 장남이며,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1914년 영암보통학교, 1917년 경기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0년 일본 오카야마(岡山) 제6고등학교와 1921년동경제국대학 법학부 독법과(獨法科)를 거쳐, 이듬해 같은 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의 조수로서 일하였다. 1922∼1924년에는 베를린대학에서 정치와 법률학을 연구하였다.

1925년조선일보 모스크바특파원으로 근무하다가 귀국하여, 1926년부터 민족주의자의 통합단체인 신간회에 참여하였고, 1927년보성전문학교의 강사로서 교단에도 섰다. 1928년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할 때 제3차 공산당사건(세칭 ML당사건)에 관련되어 7년간의 옥고를 치르고, 출감 후 1934년 동아일보에서 주필을 지냈다.

1936년 손기정(孫基禎)의 일장기 말소사건에 관련되어 사임한 뒤, 광복 때까지 경기도 전곡에서 해동농장(海東農場)을 관리하였다. 광복 후 송진우(宋鎭禹)와 함께 국민대회 준비회를 조직하였고, 1946년 민주의원(民主議院) 의원과 한국민주당 상무집행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49년 민주국민당 상임당무위원, 1950년 법무부장관, 1954년 제3대 민의원 의원, 1955년 동아일보사 중역 및 민주당 상무위원을 거쳐 1956년 민주당 최고위원에 피선되어, 유엔 한국 대표도 지냈다.

1957년 민주당을 탈당하고 통일당을 조직하여 위원장이 되었다. 제4·5대 국회의원이 되고, 1960년 부통령에 출마하였다. 1963년 자유민주당 대표최고위원이 되고, 1967년 민중당 총재로 대통령에 출마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독립노선(獨立路線)』(1947)·『나의 소전(小傳)』(1957)·『나의 길』(1966)·『나의 편력(遍歷)』(1969) 등이 있다. 

 

출처-https://news.joins.com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축생(소띠) 병진월 을미일 기묘시 (묘시생)

: 계축년주, 병진월주, 을미일주, 기묘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73년생 사주이다. 

 

- 을미(乙未)일주로 병(丙)화 상관을 놓아 LG그룹에서 웹 디자이너로 근무하는 사주이다.

 

※ 미술 / 디자인 분야 직업 추리 : 명리강론

을(乙), 묘(卯)는 미(美)를 창조하는 목(木)성으로 디자인 또는 미술과 인연이 있고 을(乙), 묘(卯)가 식상이나 재(財)가 되는 경우는 을(乙)묘 목(木)성이 미(美)를 발산하는 재능이 되고 미(美)가 재물이 된다고 추리한다. 

병(丙)화가 식상 또는 재(財)가 되는 경우는 반드시 을(乙)목, 묘(卯)목을 통하여 빛나는 상이 되므로 디자인이나 미술업계에 종사한다고 추리한다. 그런데 을(乙)이 병(丙)화를 보는 경우는 웹디자인 계통에 종사하는 것을 많이 보지만 혹 순수미술이나 무용가로 성공하기도 한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자생(쥐띠) 경진월 을유일 경진시 (진시생)

: 경자년주, 경진월주, 을유일주, 경진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乙)목일주가 춘계(春季) 진(辰)월에 출생하여 실시(失時)하고 천간에 3개의 경(庚)금과 일지에 편관 그리고 진(辰)토 2개가 있어 재관(財官)이 태왕하다. 년지 자(子)수 인수가 있다고 하나 일주는 유(酉)금 위에 있어 을경합금(乙庚合金)으로 화(化)한다. 그러므로 이 사주는 을경합화격(乙庚合化格)으로 금(金)이 용신이고 토(土)가 희신이 된다.

 

- 초년 한국전력에 취직하여 근무를 하였으나 운이 없어 승진이 되질 않아 고생을 많이 하였고 38세 신(申)금대운에 퇴사를 하여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때 수억금을 벌어 성공하였다. 하지만 을(乙)목 비견 대운을 만나 사업적으로 손실을 많이 보았다. 그렇지만 다시 유(酉)금 대운으로 들어가서 사업이 번창하니 또 큰돈을 벌어 잘 살고 있는 사주이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사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묘생(토끼띠) 병진월 을사일 무인시 (인시생)

: 계묘년주, 병진월주, 을사일주, 무인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3년생 사주이다. 

 

- 입하(入夏)전 사(四)일은 무(戊)토가 사령(司令)하는데 무(戊)토가 투간하고 무병사인(戊丙巳寅) 등의 글자가 조(燥)하니 조후가 급하다. 즉 계(癸)수가 용신이며 금(金)운이 희신이다. 또한 토(土) 재성이 사주의 병(病)이고 목(木)이 약신이 된다. 

 

- 오(午)대운 계해(癸亥)년에 결혼하여 득남하였다. 기(己)토 대운에 용신 계(癸)수를 극하니 모친상을 당하였다. 미(未)대운에는 묘미(卯未) 합목이 약신이 되어 부군이 출신(出身)하였다. 

 

- 경(庚)대운 이후 희신이 되니 부동산 사업을 하여 득재하고 유여한 생활을 하였다. 신(申)대운에는 신진(申辰) 합수(合水)가 용신을 도와 길하겠다. 다만 일시지에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이 성립되니 부군의 건강이 염려된다. 신유(辛酉)대운 역시 희신이 되니 길하겠다.

 

- 임술(壬戌)대운 병(丙)화 기신에 견수현절(見水顯節)하고 용신의 근(根)이 되는 월지 진(辰)토와 진술충(辰戌沖)을 하여 용신은 니색(泥塞)되고 약신인 목(木)은 절(折)이 되어 흉한 운이다. 이때를 지나 말년 북(北)방 수(水)운은 용신을 도와 향복(享福)할 것이다.

 

- 위 사주가 인묘진(寅卯辰) 동방이고 계(癸)수가 생목하니 신왕 할 것 같으나 월령이 무(戊)토가 사령하고 있어서 그렇지 아니하다. 절기심천(節氣深淺)을 잘 살펴서 사주를 추정해야 한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인생(범띠) 을해월 무진일 기묘시 (묘시생)

: 갑인년주, 을해월주, 무진일주, 기묘시주

출처-계의신결(稽疑神訣), 최국봉, 태중출판사, 2015.11.25

 

 

◆ 책의 내용 요약 

- 1963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청빈(淸貧)한 어느 한사(寒士)의 사주이다. 

 

- 언뜻 보기에는 화토(火土)를 용(用)할 것 같으나 지지에 인묘진(寅卯辰) 동방 목(木)기가 완전하며 해(亥)수는 갑(甲)목의 장생지가 된다. 천간에 무기(戊己) 토가 투출하여 목(木)기와 상반되고 있으니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의 파격(破格)이 되었다. 

 

- 목(木)이 사(死)하는 경오(庚午)대운에 부인을 잃고 6.25 전쟁 때 남하하여 20여 년간을 입산수도 하며 각종 음양서(陰陽書)와 의약복서(醫藥卜筮)에 무불통지(無不通知:무슨 일이든지 다 통하여 알지 못하는 것이 없음.)하고 특히 "주역"은 64괘의 384효사까지 줄줄 외우는 등 기재(奇才)가 뛰어나다. 

 

- 임신(壬申)대운에 재혼하여 무난하였던 것은 신진(申辰) 합수(合水)를 이루고 임(壬)수가 생목하여 왕한 목기를 순히 하였기 때문이다. 계유(癸酉) 대운에는 실패하였던 것은 무계합(戊癸合)으로 합화(合火)하고 진유합(辰酉)으로 합금(合金)하여 목(木)기를 거슬렀기 때문이다. 

 

- 갑술(甲戌)대운에 산중에서 화전(火田)으로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였고, 을해(乙亥) 대운이 오면서 아들이 성장한 후에 가세가 점점 발전하여 수천 평의 전답을 경작하는 중농(中農) 이상이 되었다. 

 

- 위 명조는 천하에 보기 드문 기재(奇才)이나 지금껏 한 번도 뜻을 펴지 못했으며 욕심 또한 적고 노익장 하여 아직까지 안경 없이 세서를 읽을 수 있는 총명을 보이고 있다. 본인이 자신의 사주를 평하기를 "일록귀시(日祿歸時)하면 청운득로(靑雲得路)라" 하였는데 지금껏 이룬 것이 없는 것을 보면 사주가 맞지 않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하였다. 

 

- 하지만 "일록귀시(日祿歸時) 청운득로(靑雲得路)"는 사주가 신약(身弱)하면서 격국이 성격되어 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사주가 파격(破格)이 되어있을 때는 어떠한 미사여구(美辭麗句)도 그저 수식어에 불과한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나눴다.

 

- 이로 보건대 난지자명야(難之者命也)라는 말을 다시 한번 실감해 본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사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미생(양띠) 병진월 을사일 신사시 (사시생)

: 계미년주, 병진월주, 을사일주, 신사시주

출처-팔자(八字)는 있다. 김갑식, 좋은땅, 2016.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43년생 사주이다. 

 

- 춘삼월의 을(乙)목 꽃나무가 하늘에서 비가 내리고 태양이 높이 떠 뜨겁게 비추어 그 자태가 활짝 핀 복사꽃처럼 아름다우니 벌과 나비들이 많이 날아들어 바람기가 동할 사주이다. 

 

- 일시지 사(巳)중 경(庚)금 정관과 을경합(乙庚合)으로 암합(暗合)을 하는 명이니 명암부집(明暗夫集)이다. 남편은 처의 아름다운 외모로 의처증이 생겨 이로 인해 본인도 스트레스가 극심하였다고 한다. 

 

- 또한 시상의 신(辛)금 편관이 사(巳)화 연탄불 위에 놓여 있는 금지환(金指環)이니 녹아 사라질까 염려되는 가운데 대운이 강력한 금(金)운을 만나 신(辛)금의 근(根)이 생기고 계(癸)수를 생하여 화(火)기를 억제하니 남편이 무사하였고 고위 공직자로 이름을 떨쳤다. 

 

- 하지만 임술(壬戌)대운 교운기인 1998년 무인(戊寅)년에 남편에게 폐암이 발병하였고 1999년 기묘(己卯)년에 남편과 사별을 하였다. 이는 세운의 무기(戊己)토가 계(癸)수 인수를 극하고 인묘(寅卯)가 화(火) 상관을 목생화하여 금(金)을 절(絶)하게 하기 때문이다. 

 

- 위 사주의 주인은 남편 살아생전 의처증으로 고통을 받았다. 하지만 그것은 사(巳)중 경(庚)금과 암합(暗合)을 하는 명조이기 때문이다.

 

- 남편이 죽고 1년도 되지 않아 2000년 경진(庚辰)년에 5세 연하의 남자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이 역시 명암부집의 기운이 발동한 것이고 세운에서 경(庚)금 정관이 일주와 합하기 때문이다. 

 

- 하지만 임술(壬戌)대운 동안 남편과 사별하기 전의 아름다운 모습은 없어지고 모습이 형편없이 변하였다. 이는 술(戌)토가 진술충(辰戌沖)하여 진(辰)중 을(乙)목을 충거(沖去)하니 늦가을 꽃나무가 서리를 만나 형체가 없이 사라지는 상(象)이 되기 때문이다. 

 

- 위 사주 사별한 남편이 병자(丙子)년생 쥐띠로 비록 원진이나 위 명조의 용신인 계(癸)수의 록(祿)을 득하여 하절의 꽃나무를 활짝피우게 하는 좋은 인연이었다는 것은 남편 살아생전에는 알지 못했으니 참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진월을목(辰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사생(뱀띠) 무진월 을유일 갑신시 (신시생)

: 기사년주, 무진월주, 을유일주, 갑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목일주가 청명(淸明)절에 생하여 시상에 갑(甲)목 비겹이 있고 신진(申辰)이 합(合)하여 인수(印綬)국으로 일주를 도우나 좌하 편관 유(酉)금이 사유(巳酉) 회국하고 신(申)금, 진(辰)토, 무기(戊己)토가 살(殺)을 도우니 결과적으로는 일주가 약하여 시상의 갑(甲)목이 용(用)이 된다. 따라서 인수(印綬)가 희신이다. 

 

- 초년에 인묘(寅卯) 대운에 부잣집에서 성장하였고 축(丑)토대운에 부친 상을 당하였다. 그 이후도 운이 갑자(甲子), 계해(癸亥)운으로 흘러 재물이 흥성하니 임(壬)대운까지 길하였다. 

 

- 하지만 술(戌)토 대운에 재성이 왕해지면 불길하고 이후 금(金)대운도 호운이 아니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