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인월 을목(寅月 乙木)(1) - 월겁격(月劫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인월 을목(寅月 乙木)(1) - 월겁격(月劫格)

반응형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인월 을목(寅月 乙木)(1) - 월겁격(月劫格)

 

 

 

- 봄생 삼춘(三春)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축생(소띠) 임인월 을묘일 병자시 (자시생)

: 정축년주, 임인월주, 을묘일주, 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귀재병자(貴在丙子) 상서(尙書)

 

- 조후하는 병(丙)화 상관이 천간에 투출하고, 을(乙)목을 자양(滋養)하는 계(癸)수 편인은 자(子)수에 있다. 시에 병계(丙癸)가 모두 있으므로 귀하며 상서가 되었다. 정임합(丁壬合)으로 일간을 돕고 수화(水火)가 서로 거리낌이 없으며, 신유술(申酉戌)의 금(金) 관살운도 팔자에 자(子)수가 있어 소통시켜준다.

 

※ 인월을목 : 궁통보감강해

주용신 : 병(丙)화 / 보조용신 : 계(癸)수

아직 겨울의 찬 기운이 남아 있는 상태다. 병(丙)화 상관으로 따뜻하게 조후하고, 계(癸)수 편인으로 을(乙)목을 자양한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자생(쥐띠) 갑인월 을해일 기묘시 (묘시생)

: 무자년주, 갑인월주, 을해일주, 기묘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병계(丙癸)가 득소하여 대부대귀격을 이루어 대학사(大學士)에 이르렀다. 병계(丙癸)가 득소했다고 하는 것은 병(丙)화가 인(寅)목에서 생하고 계(癸)수의 건록(建祿)인 자(子)수가 있는 것을 말한다. 재인(財印)이 상자(相資)하는데 금(金)이 없으니, 목(木)기가 순수하여 부귀격(富貴格)을 이룬 것이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진생(용띠) 무인월 을유일 임오시 (오시생)

: 경진년주, 무인월주, 을유일주, 임오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乙)목이 초봄에 생하니 목(木)은 어리고 금(金)은 견고하다. 가장 기쁜 것은 오(午)시로 살(殺)을 제(制)하여 일주를 보호한다. 추운 나무가 양춘을 향하고 관인(官印)이 쌍청하다. 재(財)는 관(官)을 생하니 인수를 극하지 않는다. 사주가 순수하고 편안하다. 

 

- 남편의 벼슬이 이품에 이르고 다섯 아들에 손자가 스물셋에 일생에 질병이 없었다. 부부가 다 아름다웠으며 수(壽)는 팔순을 넘겼다. 평생 질병이 없었고 후손도 다 귀(貴)하게 되었다. 관성을 남편으로 하는 사주이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미생(양띠) 임인월 을묘일 기묘시 (묘시생)

: 정미년주, 임인월주, 을묘일주, 기묘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목일주가 신왕하여 정(丁)화로 설기함이 좋으니 정(丁)화가 용신이 된다. 그런데 임(壬)수가 정(丁)화를 합거하니, 임(壬)수가 병(病)이 되고 임(壬)수를 제압하는 기(己)토는 약(藥)이 된다. 애석한 것은 정임합(丁壬合)하여 목(木)으로 화(化)한 것이다. 임수가 합거되어 수(水)의 작용을 못하게 한 것은 좋았으나 정(丁)화까지 합거되므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 용신 정(丁)화가 연간에 있는데 손상을 입으니 빈한한 가정에서 출생하였다. 그런데 기(己)토 약신이 시에서 구원해 주니 남편을 도와 집안을 일으켰고 자손이 번창하였다. 대운이 남(南)방으로 향하여 용신 정(丁)화가 득지하니 오래도록 행복하였다. 남자의 사주라 해도 역시 같았을 것이다.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병인월 을묘일 신사시 (사시생)

: 갑신년주, 병인월주, 을묘일주, 신사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시상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 사위왕(史魏王)의 사주이다. 

 

- 차명은 시상 신(辛)금으로 편관을 삼는 바 인(寅)중 병(丙)화가 생투하여 조후해주는 한편 사(巳)화에 건록되며 갑(甲)이 생조해 주는 왕세로 임하고 있다. 또 을목일주는 목(木)왕절에 비겁이 많으니 왕강(旺剛)하며 이에 비해 신(辛)금 칠살은 미약하다. 인(寅)월에는 목견금결(木堅金缺)하므로 년지 정관 신(申)금은 충거되니 차명이 살왕(殺旺)운에 발전하는 것이다. 

 

- 여한(餘寒)을 병(丙)화가 따뜻하게 해주고 좌왕하여 살성을 능적하니 토(土)운와 금(金)운에 대창(大昌)하였다. 대운이 일로조살(一路助殺)하므로 평생 부귀격(富貴格)이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자생(쥐띠) 무인월 을축일 신사시 (사시생)

: 경자년주, 무인월주, 을축일주, 신사시주

출처-팔자(八字)는 있다. 김갑식, 좋은땅, 2016.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결혼하여 오래 동안 자식을 낳지 못하여 병원에 검진을 받아보니 자신이 자식을 낳을 수 없다는 판정을 받았다. 처가 외도하여 자식을 잉태하였는데, 우리 사이에 자식이 없으니 낳아서 양육하자고 부인에게 말하여 아들을 출산하여 키웠다. 그러나 처는 자책감에 자식을 두고 가출하여 남자가 이 아이를 키웠는데 계미(癸未) 대운에 여식이 딸린 여인과 재혼하였다.

 

- 인(寅)월 을(乙)목일주의 처는 월상의 무(戊)토 정재인데 인(寅)목 겁재와 동주하니 좋은 처이나 다른 남자와 인연이 되고 년상의 경(庚)금 정관은 무(戊)토 처가 인(寅)목 겁재와 인연이 되어 낳은 자식이니 친부 인(寅)목과 인연이 되지 않고 을경합(乙庚合)으로 일주와 인연이 된다. 또한 경(庚)금 정관이 인(寅)목에서는 절(絶)하게 되지만 일주와는 자축합(子丑合)이 된다.

 

- 시상의 신(辛)금 편관 자식은 일지 축(丑)토 편재와 사축합(巳丑合)하니 재취의 처가 데리고 온 자식이다. 본처가 외방에서 낳은 자식인 경(庚)금 자식보다는 재취 처가 데리고 온 신(辛)금 여식에게 정이 가는 것은 조춘의 을(乙)목이 화(火)가 그리운데 신(辛)금 자식이 사(巳)화와 동주하여 유정하고 경(庚)금 자식은 자(子)수를 동반하여 무정하기 때문이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신생(원숭이띠) 경인월 을묘일 기묘시 (묘시생)

: 병신년주, 경인월주, 을묘일주, 기묘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6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목일주가 초봄 인(寅)월에 생하여 득령하고 인(寅)중 병(丙)화가 년상에 투출하여 상관격이다. 그리고 일시지의 양묘(卯)목에 록근하여 일주가 강한 신왕사주이다. 신왕 사주는 관살(官殺)을 용신으로 우선하기 에 월상의 경(庚)금 정관을 용신으로 한다.

 

- 44세 을(乙)목대운에 사업을 경영을 시작하였다. 이후 손해를 보기 시작하였으나 유(酉)금 대운을 만나 경(庚)금 용신을 보신(輔身)하여 사업이 다시 번창하게 되어 재산을 복구하고 승승장구하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해생(돼지띠) 무인월 을묘일 경진시 (진시생)

: 을해년주, 무인월주, 을묘일주, 경진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제상(帝相) 부인의 사주이다.

 

- 이 사주는 을(乙)일 진기 무(戊)토 정재가 시지 진(辰)중에 있고 또 시간 경(庚)금의 진기인 정재는 일지 묘(卯)목에 있어 진기(眞氣)가 서로 왕래 교류하고 있으므로 아름답다. 그런데 일주는 왕하고 그 진(辰)토는 생(生) 경(庚)금하여 재생조살(財生助殺)하니 그야말로 진기왕래로 아름답게 하여 격이 잘 구성되어 있다. 

 

- 다행히 대운도 경진(庚辰), 신사(辛巳)로 매우 잘 이루어져 임오(壬午)대운 전에 제상(帝相)의 부인이 된 사주이다. 

 

- 원명에 인해묘(寅亥卯)로써 사주의 길신이되는 진(辰)토를 극하여 병(病)이 되어 있는데 미(未)운을 또다시 만나 해묘미(亥卯未) 목국을 이루니 사주의 병(病)이 중이 되어 진명(盡命)하리라고 저자는 본다.

 

- 진기왕래(眞氣往來)에 상하정동(上下情同)이라 필연귀연(必然貴顯)하여 성명(聲名)이 혁혁(赫赫)이라.

 

※ 진기왕래(眞氣往來) : 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발췌

사주구성상 사길신(정관, 정인, 정재, 식신)에 해당하는 재성이나 식신, 관성 및 인성이 서로 바뀌어 일주와 시주를 차지하고 있어, 상하좌우가 서로 교차하며 상호 필요한 육신을 서로 교류하고 왕래의 편의를 제공하여 자연 사주가 길해지는 것을 진기왕래(眞氣往來)라 한다. 이것은 비단 일주와 시주만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일주와 월주, 일주와 년주에도 해당이 된다.

 

진기왕래라 할 수 있는 사주구성은 아래와 같이 요약한다.

일주(日柱) 甲寅 甲申 辛亥 乙巳 丙申 丁巳
타주(他柱) 辛未 乙丑 癸巳 辛巳 丁酉 辛亥

 

일주(日柱) 戊午 己巳 庚寅 辛巳 壬申 癸亥
타주(他柱) 壬子 乙亥 己卯 癸巳 丁未 丁巳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해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자생(쥐띠) 무인월 을해일 갑신시 (신시생)

: 경자년주, 무인월주, 을해일주, 갑신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으로 단명한 사주이다.

 

- 인(寅)월 목왕절에 갑(甲)목이 투간하여 신자(申子) 수(水)국이 생목하고 인해(寅亥) 합목(合木)이 되니 극왕하다. 여명은 관성이 중(重)하므로 년상의 경(庚)금이 목(木)을 작목성재(斫木成材)하는 용신이고 토(土)가 희신이 된다.

 

- 초년 북(北)방 수(水)운으로 용신을 설기 생목하므로 길운이 아니고 갑(甲)운부터 갑경충(甲庚沖)하여 혈압과 두통으로 고생하였다. 술(戌)토 대운에 인술(寅戌) 합화(合火)가 용신 금(金)을 화극금(火剋金)하여 흉한데 기묘(己卯)년 병인(丙寅)월 임인(壬寅)일에 해묘(亥卯) 합목이 되어 희신인 토(土)와 용신인 금(金)이 상하여 거세하였다. 

 

- 만약 왕목에 인(寅)중 병(丙)화 상관이 조후(調候)하는 용신이었다면 술(戌)토 대운에 길(吉)하여서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단명하였으니 신왕용관격(身旺用官格)에 상관(傷官)이 사주의 병(病)임이 분명하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인월을목(寅月乙木) 을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자생(쥐띠) 병인월 을축일 병자시 (자시생)

: 갑자년주, 병인월주, 을축일주, 병자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4년생 사주이다.

 

- 을(乙)목일주가 입춘절 중에 생하여 한기(寒氣)가 있으나 좌하 축(丑)토에 착근하고, 갑인(甲寅)이 도우니 병(丙)화가 길(吉)신이다. 

 

- 조년 유족(有足)하였고, 기사(己巳)대운과 경오(庚午)대운에 행정관이 였으며 양배(良配)를 만나 길(吉)하였다. 

 

- 신(辛)대운은 용신 병(丙)화를 합(合)하여 불길할 듯하나 병(丙)화가 둘이니 해(害)됨이 없었다. 임신(壬申) 대운 이후로는 금수(金水)운에 화(火)가 병사지(病死地)이므로 불길함이 당연하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