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묘월 을목(卯月 乙木)(1) - 건록격(健祿格)
- 봄생 삼춘(三春)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미생(양띠) 신묘월 을미일 정해시 (해시생)
: 신미년주, 신묘월주, 을미일주, 정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을(乙)목이 월령을 득하고 지지로 해묘미(咳卯未) 국을 이루어 목(木)의 세력은 왕성하고 금(金)의 세력은 허탈하다. 제일 좋은 것은 정(丁)화가 투출하여 탁(濁)인 신(辛)금을 극거하는 것으로 정(丁)화가 용신이다.
- 초년 운이 토금(土金)으로 행하는 고로 노력은 많이 하였으나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정해(丁亥) 대운으로 들어 목(木)을 생하고 금(金)을 극하니 무관으로 능력을 인정받아 현좌가 되었고 병술(丙戌) 대운에는 정(丁)화를 돕고 신(辛)금을 극거하니 현령에 올랐다.
- 이것이 이른바 무리 지어 강한 것을 적은 것이 대적하는 것으로 그 형세는 적은 것을 제거하는 데 있는 것이다. 살(殺)이 왕하여 식상(食傷)으로 제(制)하는 것이 아니다.
- 유(酉)대운에 이르러 살이 록왕(祿旺)을 만나고 목(木)국을 충파(沖破)하니 사망하였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미생(양띠) 신묘월 을미일 무인시 (인시생)
: 신미년주, 신묘월주, 을미일주, 무인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을(乙)목이 월령을 득하였다. 비록 해묘미(亥卯未) 목(木)국을 이루지 않았으나 시(時)가 인(寅)시로 해(亥)에 비하여 그 역량이 몇 배는 크다. 전체의 형상은 원국에 토(土)가 세 개에 금(金)이 둘로 재(財)가 살(殺)을 생하니 살(殺)이 왕한 것 같으나 월이 묘(卯)월이고 지지는 다 목의 뿌리로 금(金)의 생지가 아님을 모르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 초년 토금(土金) 운으로 행하니 반궁(泮宮)에 입학하고 식름(食廩:장학생)에 들었으며 가업도 풍요로웠다.
- 정해(丁亥) 대운으로 바뀌어 해묘미(亥卯未) 목(木)국을 이루며 살(殺)인 신(辛)금을 극하니 형처(刑妻) 극자(剋子)하고 파모가 많았으며 죄를 지어 이름도 바꾸고 살다가 우울증으로 죽었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자생(쥐띠) 신묘월 을묘일 병자시 (자시생)
: 병자년주, 신묘월주, 을묘일주, 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出將入相(출장입상: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
- 을목일간이 전록(專祿)이다. 연간의 병(丙)화 상관은 왕성한 을목일간을 설기하면서 한편으로는 신(辛)금 칠살을 합거하고, 계(癸)수는 을목 일간을 자양(滋養)한다. 수화기제의 공이 있는 귀격(貴格)으로 매우 귀하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出將入相(출장입상)으로 현명한 아내와 효도하는 자식을 두었다. 년상 병(丙)화가 신(辛)금을 합거하고, 지지에 있는 방국이 완전하지 않으나 기세가 순수하다. 을묘(乙卯)가 전록인데 시상 병(丙)화가 비추고, 계(癸)수가 자윤(滋潤)하여 귀격을 이루었다.
※ 묘월을목(卯月乙木) : 궁통보감강해
二月乙木(이월을목) 陽氣漸升(양기점승) 木不寒矣(목불한의) 以丙爲君(이병위군) 癸爲臣(계위신) 丙癸兩透(병계양투) 不透庚金(불투경금) 大富大貴(대부대귀)
: 묘월을목은 양기가 상승하는 달이다. 차지는 않지만 우선 태양화인 병(丙)화 상관을 쓰고, 우로수인 계(癸)수 편인을 다음으로 쓴다. 병(丙)화와 계(癸)수가 투출하고 경(庚)금이 투출하지 않으면 큰 부귀를 이룬다.
或天干透庚(혹천간투경) 支下無辰(지하무진) 不能化金(불능화금) 得癸透養木亦貴(득계투양목역귀) 若見水庫(약견수고) 則爲假化(즉위가화) 平常人也(평상인야)
: 만약 격을 잡되게 하는 경(庚)금이 투출하고 지지에 진(辰)토가 없으면 당령한 을(乙)목이 합을 안 하므로 을경합(乙庚合)이 안 되지만 계(癸)수 편인이 투출하여 관인상생으로 을목을 도우면 이 역시 귀하게 된다. 수고(水庫)인 진(辰)토를 보는 경우에는 을목이 경금과 가화(假化)를 하므로 평범한 사람이 될 뿐이다.
二月乙木(이월을목) 耑用丙癸(단용병계) 或支成木局(혹지성목국) 有癸透乃作貴命(유계투내작귀명) 更得丙洩木氣(경득병설목기) 上上之命(상상지명) 但須透癸(단수투계) 或水多困丙(혹수다곤병) 多戊化癸(다무화계) 皆下格(개하격)
: 묘월을목은 병(丙)화 상관과 계(癸)수 편인을 쓰는 것이 필수이다. 만약 지지가 목(木)국을 이뤄 인수곡직격(仁壽曲直格)이 되고 계(癸)수가 투출하면 귀하다. 여기에 병(丙)화를 얻어 강한 목기운을 소통시키면 상격 중의 상격(上格)이 된다. 단, 계(癸)수가 투출하였으나 물이 많아 병(丙)화를 피곤하게 하는 경우에는 무(戊)토가 많아서 계수를 무계합으로 변화시킨다 해도 하격이다.
用丙者(용병자) 木妻(목처) 火子(화자) 用癸者(용계자) 金妻(금처) 水子(수자)
: 묘월을목이 병(丙)화 상관을 용신으로 하는 경우 목(木)이 처이고 화(火)가 자식이며, 계(癸)수 편인을 용신으로 하는 경우는 금(金)이 처기고 수(水)가 자식이 된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을묘월 을미일 임오시 (오시생)
: 계해년주, 을묘월주, 을미일주, 임오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연해자평정해
- 고전 명조이다.
- 차명은 오(午)중이 기(己)토로써 편재를 삼는 바 적중(赤中) 기(己)토가 있을 뿐 지지에 목(木)국을 이루었으니 일주 목(木)기가 극왕하다. 을목일주가 지지에 해묘미(亥卯未) 목(木)국이 전국하니 곡직인수(曲直仁壽)의 인자한 성품을 소유하였을 것이며 오(午)중 정(丁)화가 목(木)기를 설하니 목화통명이 되어 총명준재(聰明俊才)이다.
- 시상 편재를 취용하는 바 왕목이 재(財)를 극제(剋制)하므로 기신(忌神)이요. 금(金)이 이 목을 극거(剋去)하는 금(金)왕운에 대발하고 재(財)왕운에도 입신할 명조이다.
- 따라서 차명이 중년 이후 대발하여 당대의 명 제상(帝相)이 되었으니 왕병을 극제하는 운을 만난 때문이다. "주중에 무병(無病)하여 평상하면 대귀할 수 없다"는 고언이 있는 바 병목(病木)을 제극하는 신(辛),경(庚),술(戌),기(己),무(戊),신(申),정(丁) 대운에 대통(大通)할 것이니 30년간 대발하였을 것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첩경
- 이 사주는 을(乙)목일주가 묘(卯)월에 건록하여 득령하였고 계해을임(癸亥乙壬) 미(未)중 을(乙)목을 득하여 득지(得地), 득세(得勢)로 최강격이다.
- 제(制)하는 금(金)이 위선(爲先)이나 주중에 금(金)이 없어 설기시켜야 되는데 다행히 일시지 오미(午未)로 화(火)국을 이루었고 또 그 화(火)는 생토(生土:오중 기토)하게끔 되어있으니 식신생재로 사주의 청기는 오(午)중 기(己)토에게 집중되어 있으니 시상편재격이자 용신이다.
- 다만 오중 기(己)토 재성이 일주에 비하여 볼 때 일주 강(强)에 재성 경(輕)이 되니 주중목(木)은 용신지병(用神之病)이 된다. 그러므로 경(庚), 신(辛), 신유(申酉)와 재(財)를 보신하는 무기(戊己) 토운에 대귀하게 되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
- 위 오상공(吳相公)의 사주는 곡직인수격이다.
- 을목일주가 지지에 해묘미(亥卯未)가 모두 있거나 인묘진(寅卯辰)이 모두 있으면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이다. 이 사주는 기세가 목(木)에 치우쳐 있으니 수목화(水木火)의 운이 길하고, 금(金) 관살이 가장 나쁘다. 재(財)운 역시 마땅하지 않다.
◆ 책의 내용 요약 : 종격탐구
- 오(午)화가 목(木)을 누설(漏洩)하므로 수목당(水木黨)은 깨져서 부종(不從)이지만 곡직격(曲直仁)의 조건에는 부합하므로 곡직격으로 보아야 하는 예문이다.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축생(소띠) 계묘월 을사일 병자시 (자시생)
: 정축년주, 계묘월주, 을사일주, 병자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중국 외교관을 지낸 안혜경(顔惠慶)의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묘(卯)월에 태어나니 양기가 점차로 올라오고 있어 목(木)기는 바야흐로 영화로움을 발한다. 월령이 건록이라 신왕하니 설(洩)기함을 기뻐한다. 병(丙)화가 임금이고 계(癸)수가 신하이다.
- 병계(丙癸)가 모두 투출하였으니 부귀함을 의심할 수 없다. 시상에 다시 기쁘게 자(子)수 인성이 득록되어 않은 곳이 귀인이다. 그러나 축(丑)토가 자축합(子丑合)으로 합하여 머물게 하니 육을서귀격(六乙鼠貴格)은 될 수 없다.
- 연구하여 보니 귀한 기운이 머물러 있다. 병(丙)화의 건록은 사(巳)화이고 계(癸)수이 건록은 자(子)수라. 식신과 인성이 서로 건록을 교환하고 있어 복택이 아름답고 두텁다. 축(丑)토, 묘(卯)목, 사(巳)화로 지지가 연달아 공협하니 부족하지가 않으며 운로가 인성(印星)에 이르면 발복한다. 식신(食神)운에도 명성이 무겁다.
※ 안혜경(顔惠慶)
중국의 외교관으로 외교총장, 국무총리, 주미공 등을 역임하였고, 공산정권 수립 후, 정무원 정치법률위원회 위원 등의 요직을 지냈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미생(양띠) 기묘월 을해일 계미시 (미시생)
: 을미년주, 기묘월주, 을해일주, 계미시주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술생(개띠) 기묘월 을해일 계미시 (미시생)
: 경술년주, 기묘월주, 을해일주, 계미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 006
- 위 명조는 을(乙)일주가 묘(卯)월 목(木)왕절에 생하여 해묘미(亥卯未) 목(木)국이 되고 천간에 을계(乙癸)가 투출하고 일점 금(金)이 없으니 곡직진격(曲直眞格)이다. 북방 수(水)운에 부귀하고 금(金)대운에 재물과 명예가 패(敗)하고 신상도 불길(不吉)하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 007
- 위 명조는 을(乙)일주가 묘(卯)월 목왕에 생하여 해묘미(亥卯未) 목국이 되고 계(癸)수가 투출하니 곡직격이나 연상에 경(庚)금이 있어 파격(破格)이다.
- 초중년에 경진(庚辰), 신사(辛巳)대운을 만나 고액(高厄)이 많았으며 임오(壬午), 계(癸)대운에는 지방 유지로 의식이 족하였다. 하지만 미(未)대운에 왕목이 입묘(入墓)하므로 대패(大敗)하고 신병(身病)으로 고생하다가 신(申)운에 절명하였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묘생(토끼띠) 기묘월 을묘일 병술시 (술시생)
: 을묘년주, 기묘월주, 을묘일주, 병술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75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상관생재격으로 병(丙)화가 중화신(中和神)으로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박사이다. 배우자는 신해(辛亥)생이다.
- 을(乙)목이 명식에 병(丙)화와 기(己)토가 있으면 크게 성공하게 된다. 위 사주 역시 산업디자인 박사 후 삼성에서 성공한 사주이다.
※ 윤토육목(潤土育木)
: 을(乙)목이 기(己)토를 만나면 윤토육목(潤土育木)이다. 오곡백화가 만발하였으니 병(丙)화 태양의 조명이 필요하다. 을(乙)목이 병기(丙己)와 함께라면 해마다 풍년이요. 신기술의 수혜자이다. 계병기(癸丙己)가 함께해도 탁월한 재능의 명운이다. 태양이 축복이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축생(소띠) 정묘월 을미일 병술시 (술시생)
: 기축년주, 정묘월주, 을미일주, 병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9년생 사주이다.
- 을(乙)목이 묘(卯)월에 득령하고 기(己)토 편재가 지지에 뿌리를 내리며 식상이 생재하니 얼핏 보아도 신왕(身旺) 재왕(財旺)의 귀격으로 보인다.
- 그러나 화(火)기가 태왕하고 설기(洩氣)가 심하고 조갈(燥渴)하여 축(丑)중의 계(癸)수를 용신으로 정해야 한다. 용신이 천간에 투간하지 않았고 대운이 수(水)와 반대되는 남방 화(火)운으로 달려 운로가 나빠졌다. 그러므로 부부간 이혼하고 막일을 하면서 산다.
- 신체적으로는 눈은 사시(사팔)이고 어려서는 잔병이 많았다. 축술미(丑戌未) 삼혐(三刑)으로 토(土)가 산산히 부서져 있다. 재물이 부셔진 것이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진생(용띠) 정묘월 을묘일 계미시 (미시생)
: 갑진년주, 정묘월주, 을묘일주, 계미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64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을목일주가 묘(卯)월에 태어나 갑(甲)목이 투간하고 묘묘미(卯卯未) 쟁합(爭合) 화목(化木)이 되고 진(辰)토가 동방이고 계(癸)수가 생목을 하니 곡직격(曲直格)이다. 따라서 종신(從神)하는 목(木)이 용신에 수(水)가 희신이 되고 금(金)운이 사주의 병(病)이며 화(火)운은 약신이 된다.
- 목(木)이 길신이니 위 사주의 주인은 약사(藥師)이다. 약(藥)은 나무에서 채취한다. 참고로 화(火)가 필요하면 전기, 전자, 컴퓨터, 언론, 방송, 통신, 화학, 경공업, 음식물업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직종의 근원에는 화(火)인 불이 있다.
명조 : 011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사생(뱀띠) 을묘월 을유일 무인시 (인시생)
: 계사년주, 을묘월주, 을유일주, 무인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3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목일주가 중춘(中春) 묘(卯)월에 생하여 월상 을(乙)목이 투출했으며 시지에 인(寅)목을 두고 있어 신왕사주이다. 일주를 제(制)하는 관살로 용함이 좋은데 일지에 유(酉)금 편관이 있어 용신으로 한다. 금(金) 용신에 토(土) 재성은 희신이 된다.
- 위 명주는 의사로 종합병원에서 근무를 하였으며 50세 경(庚)대운에 의원을 개원하였으나 을경합(乙庚合)으로 합거되어 손해를 많이 보았다. 이후 55세 술(戌)토대운에 의원을 이전하였고 이후 사업이 번창하여 돈을 많이 벌게 된 사주이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