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5)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 - 교통사고로 전치 1년의 중상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     - 겨울생 삼동(三冬) 계수 -  명조 : 001◆ 계수일간(계수일주) 축월계수(丑月癸水) 계수일주 남자(건명, 남명): 계묘생(토끼띠) 을축월 계미일 병진시 (진시생): 계묘년주, 을축월주, 계미일주, 병진시주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위 사주는 축월계수이므로 병(丙)화로 조후를 하고, 임(壬)수를 써서 수화기제를 도모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토 관살이 강한 경우, 화 재성은 팔자의 편협함을 부추겨서 병(丙)화가 오히려 일간의 병이 될 수도 있다. 일간이 약한데 억지로 병화를 쓴다고 해도 수(水)고인 진토에 앉아 실지하고 지지의 토(土)의 설기가 강하여 계(癸)수..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 - 정사(丁巳)대운 발복한 여명 사업가 및 한문선생님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  - 겨울생 삼동(三冬) 계수 -  명조 : 001◆ 계수일간(계수일주) 축월계수(丑月癸水) 계수일주 여자(곤명, 여명): 정유생(닭띠) 계축월 계사일 계해시 (해시생): 정유년주, 계축월주, 계사일주, 계시주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위 사주는 계수일주가 동계축월에 출생하여 실시(失時)하였으나 축중 계수가 월상에 투출하고 일지 사(巳)화와 축(丑)토, 유(酉)금이 사유축 금국을 형성하고 시지에 비견, 겁재가 있어 일주가 신왕사주가 되었다.  - 신왕사주는 관살(官殺)로 용신을 삼으면 좋으나 축토는 습(濕)토이므로 용신으로 쓸 수가 없다. 그렇기에 용신을 돕는 자인 년상 정(丁)화를 용신..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 - 세 번의 결혼 및 배우자와 사별 계수일주(계수일간) : 사주 축월 계수(丑月 癸水)(1) - 관살혼잡/살왕신약격  - 겨울생 삼동(三冬) 계수 -  명조 : 001◆ 계수일간(계수일주) 축월계수(丑月癸水) 계수일주 여자(곤명, 여명): 병진생(용띠) 신축월 계축일 계축시 (축시생): 병진년주, 신축월주, 계축일주, 계축시주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계축일주가 축월에 생하여 월일시에 3개의 축토가 있으며 년지에 진토가 있으니 종살격도 될 듯하고, 계축일이 3개의 축토로 축요사격도 될 듯하다. 그러나 진토 관성이 있으니 축요사격은 될 수 없다. 또한 축 중의 계수가 시상에 투출하고 축중의 신(辛)금이 월상에 투출하며 연월일시의 4개이 토가 모두 수기가 있는 습토로 종살도 어렵다...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해월 무토(亥月 戊土)(1) - 편재격(偏財格)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해월 무토(亥月 戊土)(1) - 편재격(偏財格) - 겨울생 삼동(三冬) 무토 - 명조 : 001 ◆ 무토일간(무토일주) 해월무토(申月戊土) 무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신해월 무인일 경신시 (신시생) : 임신년주, 신해월주, 무인일주, 경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 - 고전 명조이다. - 此歸祿格(차귀록격) 四柱見金(사주견금) 火運大發(화운대발) - 귀록격 사주로 금(金) 식상이 강하므로 이를 제어하는 화(火)운에 발전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리정종 - 무(戊)일간이 경신(庚申)시를 얻으니 합록..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술월 무토(戌月 戊土)(1) - 잡기격(雜氣格)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술월 무토(戌月 戊土)(1) - 잡기격(雜氣格) - 가을생 삼추(三秋) 무토 - 명조 : 001 ◆ 무토일간(무토일주) 술월무토(戌月戊土) 무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무술월 무인일 임자시 (자시생) : 병술년주, 무술월주, 무인일주, 임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 - 고전 명조이다. - 丙癸甲皆全(병계갑개전) 惜未出干(석미출간) 只一貢生(지일공생) - 술월무토에 필요한 병(丙)화와 계(癸)수와 갑(甲)목이 모두 있지만 투출되지 않은 것이 아쉽다. 단지 공생에 불과하였다. 신왕에 재관(財官)이 희용신이다. 운..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유월 무토(酉月 戊土)(1) - 상관격(傷官格)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유월 무토(酉月 戊土)(1) - 상관격(傷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무토 - 명조 : 001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신유월 무신일 기미시 (미시생) : 계해년주, 신유월주, 무신일주, 기미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 - 고전 명조로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이다. - 토금(土金) 상관으로 재성이 태중하다. 학문의 뜻을 다하지 못하였으나 다행한 것은 시가 미(未)시로 겁재가 통근하니 용신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 묘한 것은 운로가 아름다워 연납으로 현..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신월 무토(申月 戊土)(1) - 식신격(食神格)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신월 무토(申月 戊土)(1) - 식신격(食神格) - 가을생 삼추(三秋) 무토 - 명조 : 001 ◆ 무토일간(무토일주) 신월무토(申月戊土) 무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무신월 무진일 무오시 (오시생) : 임인년주, 무신월주, 무인일주, 무오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무진(戊辰) 괴강에 시지 오(午)화가 있어서 신왕하다. 신(申)금에서 투출한 임(壬)수 재성을 용신으로 한다. 해자축(亥子丑) 대운에 태수 벼슬을 하였다. 소토(疏土)하는 갑(甲)목은 인(寅)중에 건록을 얻고, 조후하는 병(丙)화는 장생처인 인(寅)궁에 있다. 그러나 모두 투출한 것이 아니라 귀함이 작다...
병화일주(병화일간) : 사주 인월 병화(寅月 丙火)(2) - 월지 장생(長生) 병화일주(병화일간) : 사주 인월 병화(寅月 丙火)(2) - 월지 장생(長生) - 봄생 삼춘(三春) 병화 - 명조 : 012 ◆ 병화일간(병화일주) 인월병화(寅月丙火) 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묘생(토끼띠) 무인월 병술일 을미시 (미시생) : 을묘년주, 무인월주, 병술일주, 을미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무부성입격(無夫星入格) 부여명(富女命)이다. - 병(丙)화가 인(寅)월에 생하며 무(戊)토가 월간에 투출하였는데 사주에 부성(夫星)이 없지만 복(福)이 연면(連綿)하였다. 신쇠(身衰)하므로 남방운(南方運)이 가당하고 용인격(用印格)이므로 인성대운에 부(富)하였다. - 병(丙)화가 인(寅)월에 생하며 인(寅)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