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유월 무토(酉月 戊土)(1) - 상관격(傷官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유월 무토(酉月 戊土)(1) - 상관격(傷官格)

반응형

 

무토일주(무토일간) : 사주 유월 무토(酉月 戊土)(1) - 상관격(傷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무토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신유월 무신일 기미시 (미시생)

: 계해년주, 신유월주, 무신일주, 기미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

- 고전 명조로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이다.

 

- 토금(土金) 상관으로 재성이 태중하다. 학문의 뜻을 다하지 못하였으나 다행한 것은 시가 미(未)시로 겁재가 통근하니 용신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 묘한 것은 운로가 아름다워 연납으로 현좌(縣佐)로 출사하였다.

 

- 정사(丁巳), 병진(丙辰) 대운에 이르러 왕한 인수가 용사하니 벼슬이 주목에 이르고 재물도 풍후하였다. 을묘(乙卯)대운으로 바뀌어 충극(沖剋)으로 안정하지 못하니 파직당하고 낙향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팔자에 재성은 강하고 인수(印綬)가 무력하여 공부하기를 싫어하였으나 운의 흐름이 화토(火土)로 흘러 돈으로 벼슬을 샀으며, 정사(丁巳)대운과 병진(丙辰)대운의 희용신운에는 주목의 지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을묘(乙卯) 관살대운은 기신운으로 직장과 환경을 의미하는 월주와 천충지충(天沖地沖)이 되어 파직하였다.

 

※ 유월무토(酉月戊土) : 궁통보감

八月戊土(팔월무토) 金洩身寒(금설신한) 賴丙照暖(뇌병조난) 喜水滋潤(희수자윤) 先丙後癸(선병후계) 不必木疏(불필목소)
: 유월무토는 월령 금(金)이 무(戊)토를 설기하여 무토가 약하고 차다. 병(丙)화로 따뜻하게 해주어야 하며, 조후하는 병(丙)화로 인해 조토가 되면 금(金)을 만들지 못하므로 수(水)가 자윤(滋潤)해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병(丙)화 편인을 먼저 사용하고 계(癸)수 정재를 다음으로 사용하며, 목(木) 관살이 이 둘을 반드시 소통시켜야 할 필요는 없다.


丙癸兩透(병계양투) 科甲中人(과갑중인) 丙透癸藏(병투계장) 可許入泮(가허입반) 癸透丙藏(계투병장) 納資得官(납자득관) 若丙藏又無癸(약병장우무계) 卽多不透(즉다불투) 此皆常人(차개상인) 癸丙全無(계병전무) 奔流之客(분류지객)
: 팔자에 병(丙)화 편인과 계(癸)수 정재가 투출하면 유(酉)월과 오행간의 생이 이어지므로 상관생재가 되어 귀하다. 병(丙)화는 투출하고 계(癸)수는 지지에 있으면 공부하는 학생이며, 반대로 계(癸)수가 투출하고 병(丙)화는 지지에 있으면 재물로 귀하게 된다. 병(丙)화와 계(癸)수가 모두 지지에만 있으면 평범한 사람이고, 병(丙)화와 계(癸)수가 모두 지지에 없으면 팔자가 편고하여 분란만 일으키는 사람이다.

或四柱皆辛(혹사주개신) 無丙丁(무병정) 此名傷官格爲人淸秀(차명상관격위인청수) 卽不能拾芥(즉불능습개) 亦可武庠(역가무상) 一見癸水(일견계수) 富而且貴(부이차귀)
: 사주에 신(辛)금 상관이 강하고 병정화(丙丁火) 인수가 없는 경우 상관격이 된다. 상관격은 상관패인을 이상적으로 보므로 인수가 있으면 좋다. 병정(丙丁)화가 지지에 암장되어 있거나 상관과 서로 해치지 않으면 귀하다. 상관격인 경우 사람이 맑고 뛰어나며, 부귀와 명예를 얻지 못하더라도 무예와 인연이 있다. 이 경우 1개의 계(癸)수 재성을 보면 상관생재로 오행의 기운이 생으로 재성에 이어져 부귀를 이룬다.


或支成水局(혹지성수국) 壬癸出干(임계출간) 此名才多身弱(차명재다신약) 愚懦無能(우나무능) 若天干有比刼分散才神(약천간유비겁분산재신) 頗言衣食(파언의식)

: 유월무토가 지지에 수(水) 재성국을 이루고 임계수(壬癸水)가 투출하면, 재성이 강하여 일간이 약해진 재다신약이 되어 위인이 어리석고 무능하다. 재다신약인 경우 인수(印綬)가 아닌 비겁(比劫)을 쓰므로, 천간에 무기토(戊己土) 비겁이 있어 재성을 분산하고 일간을 도우면 의식이 있다.
 

 

 


 

 

 

명조 : 002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기유월 무오일 경신시 (신시생)

: 임오년주, 기유월주, 무오일주, 경신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

- 상관은 비록 길신은 아니지만 수기(秀氣)인 것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문인학사의 사주에 상관격이 많다. 여름의 목(木)이 수(水)를 보고 겨울의 금(金)이 화(火)를 보면, 더욱 수기가 빼어나다. 격국 가운데 상관격이 가장 종류가 많고 변화 또한 가장 많다. 기후를 보아야 하고, 강약을 보아야 하고, 희기(喜忌)를 살펴야 하고, 순잡(順雜)을 관찰해야 하니, 정미롭고 정미로워 일괄적으로 논할 수 없다.

 

- 상관격에 재를 쓰는 상관용재(傷官用財)의 사주가 있다. 무릇 상관은 정관을 극하므로 흉한 것으로 여기는데 상관이 재를 생하게 되면 상관은 도리어 정관을 생하는 도구가 되어 흉이 변하여 길이 되니 가장 유리하게 된다. 다만 신강하고 재성이 뿌리가 있어야 귀격이 된다.

 

- 위 사주는 사춘방(史春芳)의 사주이다.

 

- 정관을 생하는 도구는 재성이다. 결국 정관을 쓰는 사주는 상관을 보지 말아야 하고, 상관을 쓰는 사주는 정관을 보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정관과 상관을 병용할 수는 없지만 상관격에 정관이 있을지라도 재성이 투출하면 그 해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 상관생재격인데 정관을 보지 않았다. 신강하면 설기가 되면 좋고, 신약하면 설기를 꺼린다. 그러므로 신강함이 제일 중요하다. 재성이 뿌리가 있고 다시 상관이 있어 재를 생하니 더욱 청순하여 귀하게 된 것이다. 

 

- 무(戊)일주에 경신(庚申)시는 전록격도 된다. 그런데 일주가 인수를 깔고 앉았고 천간에 기(己)토가 투출했으니 양인격으로 논해도 된다. 대운은 식상운과 재운이 좋으니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대운 30년간 아주 화려한 삶을 누렸다. 이것이 바로 신강재천(身强財淺)한 사주에는 재(財)운이 좋고 상관운도 좋다는 말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연해자평

- 차명이 무(戊)일간으로 경신(庚申)시를 만나서 을경합(乙庚合) 묘신합(卯申合)하여 을묘(乙卯) 관(官)이 합래하므로 합록격(合祿格)이 되었다. 추절에 생하여 초중년에 창달할 귀명이요. 갑인(甲寅), 을묘(乙卯) 대운은 흉운이다. 인성이 있어 복력을 소감(少減)할 명이다.

 

 

 


 

 

명조 : 003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신유월 무술일 계해시 (해시생)

: 계해년주, 신유월주, 무술일주, 계해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3년생 사주이다. 

 

- 무(戊)일주가 유(酉)월 태약지에 생하여 간지에 수(水)가 5요. 유(酉)금이 생수하니 일점 무(戊)토가 수중에 부침하는 격이다. 좌하에 온(溫)한 무(戊)토가 있어 양간이 종재(從財)가 안되고 술(戌)토 비견이 용신이다. 좌하비겁용(坐下比劫用) 사주가 되었다. 

 

- 남방 30년 화토(火土)운에 지방 명예도 있고 재산도 부(富)했으나 진(辰)토대운에 술(戌)토를 충산(沖散)하여 전국이 수(水)로 화하니 거세했다. 토(土)의 충(沖)은 무방이나 위 사주의 경우는 수중약토(水中弱土)를 충하여 불길했던 것이다.

 

 

 


 

 

명조 : 004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술생(개띠) 기유월 무술일 을묘시 (묘시생)

: 임술년주, 기유월주, 무술일주, 을묘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

- 고전명조로 상관용관격(傷官用官格)의 사주이다.

 

- 무(戊)토가 유(酉)월에 생하여 토금(土金) 상관이다. 지지의 두 술(戌)토는 건조하고 또한 후중한 토(土)인데 묘한 것은 년간의 임(壬)수가 토(土)를 윤택하게 하고 금(金)을 설(洩)하며 목(木)을 생하니 족히 관성을 용신으로 할 수 있다.

 

- 해(亥)대운에 재관이 다 생부를 얻으니 공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임자(壬子) 대운에 일찍 벼슬의 뜻을 이루었다. 계축(癸丑) 대운은 유축(酉丑) 공금하니 막힘이 많았으나 갑인(甲寅), 을묘(乙卯) 20년간 벼슬이 시랑에 이르렀다.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

- 정관을 생하는 도구는 재성이다. 결국 정관을 쓰는 사주는 상관을 보지 말아야 하고, 상관을 쓰는 사주는 정관을 보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정관과 상관을 병용할 수는 없지만 상관격에 정관이 있을지라도 재성이 투출하면 그 해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 토금상관격(土金傷官格)이다. 시에 정관 을(乙)목이 투출하니 상관견관(傷官見官)이 되는 것 같지만, 년간에 임(壬)수 재성이 투출하니 상관은 재(財)를 생하고 재는 다시 정관을 생하고 있다. 따라서 정관(正官)이 손상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상관이 도리어 정관을 생하는 도구가 되고 있다. 흉이 변하여 길하게 된 것이다.

 

 

 


 

 

명조 : 005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진생(용띠) 기유월 무인일 을묘시 (묘시생)

: 임진년주, 기유월주, 무인일주, 을묘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52년생 사주이다.

 

- 유(酉)월 금왕(金旺) 토약한데 지지에 인묘진(寅卯辰)에 을(乙)목이 투간하였으니 관(官)왕하고 진유금(辰酉金)에 임(壬)수가 투간하니 극설(剋泄)이 교가하여 신약하다. 좌하 인(寅)중 무(戊)토가 장생하지만 인(寅)목은 어디까지나 관성이니 불용하고 진(辰)토에 근을 둔 기(己)토가 약한 신(身)을 부조하는 용신이다. 그리고 인(寅)중 병(丙)화는 희신이다. 목(木)이 사주의 병(丙)이고 금(金)은 약신이 된다.

 

- 초년 무(戊)토대운은 용신을 도와 길하고 신(申)대운에 신자합수(申子合水)가 되어 기신 재성으로서 병신(病神)을 생하고 그 병신인 목(木)이 용신인 토(土)를 극상하고 사충(四沖)하니 부친이 돌아가셨다. 

 

- 정(丁)대운은 희신이 되어 길하고 미(未)토대운 을묘(乙卯)년에 묘미목(卯未木) 즉 관성이 되니 성혼하고 병진(丙辰)년과 무오(戊午)년에 자녀를 득하였다.

 

- 병오(丙午)대운은 희신이 되니 부군이 출신하여 다복한 가정으로 행복하였고 을(乙)목 대운은 지지가 길운으로 무흠이었으나 위병으로 고생하였다.

 

- 사(巳)대운 역시 용신을 생하여 길하였다.

 

- 갑(甲)대운은 관살혼잡에 용신인 기(己)토를 갑기합(甲己合)으로 합거하여 흉한 가운데, 신사(辛巳)년에 좌하 인(寅)목 관살과 인사형(寅巳刑)하고 신묘(辛卯)월에 정관 을목과 을신충(乙辛沖)하고 유금과 묘유충(卯酉沖)하니 상관견관이 되어 배우자와 사별하였다. 이는 관성이 기신이고 괴강살이 있기도 한 까닭이다.

 

- 향후 진(辰)토 대운은 용신을 도와서 길하겠다. 하지만 습토가 되어 효력이 적다. 향후 수목(水木) 대운은 사주의 병(病)을 생조하니 길운이 아니다. 

 

- 여명에게 기신관성도화(忌神官星桃花)가 있으면 이성관계가 염려되는데 운이 나쁠 때는 손재가 발생한다.

 

 

 

 

 

 

 

 

명조 : 006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소띠) 계유월 무오일 정사시 (사시생)

: 기축년주, 계유월주, 무오일주, 정사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9년생으로 MC 허참의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무토일주가 유(酉)월 신(辛)금 상관 사령에 태어나 상관패인격(傷官佩印格)이 잘 이루어져 20~30대였던 70~80년대에 최고 전성기를 누렸다. 노년도 용신인 화(火)운이라 끊임없이 대길하다. (사주자료 : 전형일 박사 제공) 

 

<출처 : KBS 가족오락관 1995.06.15 방송분>

 

 


 

 

명조 : 007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술생(개띠) 신유월 무술일 경신시 (신시생)

: 무술년주, 신유월주, 무술일주, 경신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8년생으로 의사의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무토일주가 유(酉)월에 출생하여 실시(失時)하고 유(酉)중 신(辛)금이 월상에 투출하여 상관격이다. 무(戊)토일주가 좌하 술(戌)토와 년지 술(戌)토에 근을 하였으나 월지가 상관이며 신유술(申酉戌) 금(金)국에 금(金)이 왕하여 신약사주가 되었다. 그러므로 화(火)인수가 용신이며 토(土)비견겁이 희신이 되었다.

 

- 위 명조는 의사로 23세 무오(戊午)대운부터 운이 좋아 대학병원에 근무하였으며 이후 38세 사(巳)화대운에는 의원을 개원하여 돈을 수억금을 벌었다. 하지만 43세 병(丙)화대운에 월상 신(辛)금과 병(丙)화가 병신합수(丙辛合水)하는데 부동산에 투자를 하게 되면서재산을 모두 탕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이혼까지 하고 혼자 산다. 

 

- 여명의 사주에서 식신상관이 태왕하면 부부궁이 부실하게 되어 이혼하거나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다.

 

 

 


 

 

명조 : 008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계유월 무진일 병진시 (진시생)

: 기묘년주, 계유월주, 무진일주, 병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39년생으로 고위 공직자의 사주이다.

 

- 무진(戊辰)일주가 일덕격(日德格)이며 시간 역시 병진(丙辰)시로 일덕(日德)을 만나 아름답다. 다만 자식이 없는 것이 아쉽다. 

 

※ 일덕격(日德格) : 명리강론

- 갑인(甲寅), 경진(庚辰), 무진(戊辰), 경진(庚戌), 임술(壬戌)일 생에 해당이 된다

.- 팔자에 형(刑)과 충(沖)을 꺼린다. 공망과 괴강 충도 꺼린다. 또한 강한 재성과 관성이 주중에서 회합하는 것도 크게 꺼린다. 

- 대운이 신왕운으로 행하면 마음이 자선심이 많아지고 또 일덕이 주중에 겹쳐 있으면 복록이 더 풍성해진다.

- 만약 팔자에 형(刑)과 충(沖)이 많으면서 신약하면 가난하게 되고 위험하다.

- 신왕운에서 발복 한 후에 다시 한번 괴강(魁罡) 대운을 만나면 불귀객이 되고 만다. 또한 일덕격이 순청하고 신왕하면 기술로 대성하거나 큰 대신이 된다.

 

 

 


 

 

명조 : 009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을유월 무자일 계축시 (축시생)

: 경오년주, 을유월주, 무자일주, 계축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명나라 명신(名臣)이자 문학가인 왕오(王鏊)의 사주이다.

 

- 무(戊)토와 계(癸)수가 을(乙)목과 경(庚)금이 각자 서로 합이 되었다. 경(庚)금 식신은 유(酉)월에 왕성하고 귀함은 축(丑)토에 있고 계(癸)수 재성은 자(子)수에 건록이라. 금수(金水)가 상생하고 있다. 또한 오(午)화에 일간이 통근하니 무(戊)토일간이 약하지 않다.

 

- 무(戊)토와 계(癸)수, 자(子)수와 축(丑)토가 일시(日時)간에 천지덕합(天地德合)이다. 천을귀인과 건록이 서로를 보호하니 당연히 이름을 그 시대에 떨치고 신하로서 귀함이 극에 이르게 된 것이다.

 

왕오(王鏊)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오현(吳縣) 사람으로 자는 제지(濟之), 수계(守溪)이고, 호는 졸수(拙叟), 진택선생(震澤先生)이다. 명(明)나라 때 명신(名臣)이자 문학가이다. 성화(成化) 11년(1474)의 진사(進士) 출신으로 벼슬은 편수(編修), 시강학사(侍講學士), 강관(講官),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郎), 호부상서(戶部尚書), 문연각대학사(文淵閣大學士)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고소지(姑蘇志)》, 《진택집(震澤集)》, 《진택장어(震澤長語)》가 있다.

 

 

<왕오 : 출처-한국인문고전연구소>

 

 


 

 

명조 : 010

◆ 무토일간(무토일주)

유월무토(酉月戊土) 무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신생(원숭이띠) 계유월 무인일 기미시 (미시생)

: 갑신년주, 계유월주, 무인일주, 기미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사주중에 인사(寅巳)역마 항공계에 직업이요.

 

- 생년 신(申)금이 지살(地殺)되어 이향(離鄕)하는 나그네의 사주이다. 사주 인(寅)목이 역마성 되어 해외만리에 출입한다. 인(寅)목 역마는 병(丙)화를 암장하여 불같이 염상(炎上)하는 항공기다. 따라서 비행기 타고 다니는 비행기 안내양이 되었다.

 

- 무(戊)일생에 신유(申酉) 상관은 친절하기 그 짝이 없도다. 생일 무(戊)토가 좀 허약하여 비위의 질병이 있게 된다. 기미(己未)시에 의하여 보토(補土)하니 화토(火土)를 작용할만하도다. 

 

- 생일 무인(戊寅)일은 양착살(陽錯殺)되어 외삼촌이 고독하리라. 또 이살은 부군형제가 시들하며 남편의 덕 조차 없도다.

 

- 정관(正官)과 상관(傷官)이 혼잡되어 집에 싸움 구설이 많도다.

 

- 남(南)방 오(午)화운 마을에서 화(火)기가 구름을 뚫는다. 그러다가 사(巳)화대운에 사유금국(巳酉金國)으로 만길을 곤두박질한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