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5)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임자월 갑신일 을축시 (축시생) : 임인년주, 임자월주, 갑신일주, 을축시주 출처-사주명리학 운세변화, 김동완, 동학사, 2009.05.13 ◆ 책의 내용 요약 - 1962년생으로 국회의원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내격으로 정인격이며 동시에 시하정재격, 임임(壬壬) 병존격, 수목왕격 등을 갖추고 있다. 사주의 그릇이 학자적, 선비적 기질을 타고났고 매우 똑똑하고 재주가 많다. 예술이나 문학적 끼도 많고, 사람이 착하고 애정이 매우 강하다. - 연지의 인(寅)목이 고립되어 있어 간 기능과 관..
상신(相神 : 喜神)의 중요성 - 자평진전(子平眞詮) 사주 명리학 책 도서 상신(相神 : 喜神)의 중요성 - 자평진전(子平眞詮) 사주 명리학 책 도서 중 상신(相神)편 월령에 이미 용신이 있으면 다른 곳에서는 반드시 상신(相神)이 있게 된다. 月令旣得用神(월령기득용신) 則別位亦必有相(즉별위역필유상) 若君之有相(약군지유상) 輔我用神者是也(보아용신자시야) 如官逢財生(여관봉재생) 則官爲用(즉관위용) 財爲相(재위상) 財旺生官(재왕생관) 則財爲用(즉재위용) 官爲相(관위상) 煞逢食制(살봉식제) 則煞爲用(즉살위용) 食爲相(식위상) 然此乃一定之法(연차내일정지법) 非通變之妙(비통변지묘) 要而言之(요이언지) 凡全局之格(범전국지격) 賴此一字而成者(뇌차일자이성자) 均謂之相也(균위지상야) 월령에 이미 용신이 있으면 다른 곳에서는 반드시 상신(相神:喜神)이 있게 된다. 이것은 임금이 재상을 얻어 그 보..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2) - 인수격(印綬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2) - 인수격(印綬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갑자월 갑술일 갑자시 (자시생) : 무진년주, 갑자월주, 갑술일주, 갑자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68년생으로 황금영(黃金榮)의 명조이다. - 자(子)수와 진(辰)토가 신(申)금을 공협하고 자(子)수와 술(戌)토는 해(亥)수를 공협하니 해(亥)수와 신(申)금은 건(乾)궁과 곤(坤)궁이다. 지지에서 모르게 모이는 길한 기운이다. 이름하기를 공협하여 천관지축격(天關地軸格)이라 한다. 마땅히 극도로 출..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무자월 갑인일 병인시 (인시생) : 경인년주, 무자월주, 갑인일주, 병인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자평진전강해(子平眞詮講解), 심효첨, 이을로, 동학사, 2009.11.13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무(戊)토 재와 경(庚)금 관이 모두 한신(閑神)이라서 무용지물이 되었다. 그런데..
십간성정론(十干性情論) 및 여명론(女命論) : 명리요강(命理要綱) 명리학 책 추천 도서 십간성정론(十干性情論) 및 여명론(女命論) : 명리요강(命理要綱) 명리학 책 추천 도서 갑목(甲木) 갑목은 양목(陽木)이니 대림목(大林木)이라 이른 봄에 생하였다면 기후가 냉하므로 화(火)로써 보온해 줌이 길하고, 유묘(幼苗: 어린 묘종)에 금(金)은 소용이 없다. 여름에 생하여 화(火)가 많아도 진(辰)토가 있으면 습토로 열기를 흡수하여 목근(木根)이 생한다. 가을에 생하여 토(土)가 성(盛)하면 신약하므로 불길이요, 겨울에 생하여 지지에 수(水)가 많으면 부목(浮木)이 되나 인(寅)이 있으면 록지로 부목이 되지 않으며, 지기(地氣)는 윤습(潤濕)하고 천기(天氣)는 온화하면 천추에 크게 자랄 것이다. 왕목이 금(金)으로 용(用)이 됨보다 화(火)로 용(用)이 되어 순세(順勢)됨이 더욱 길하다. 을목(乙..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3) - 자요사격(子遙巳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3) - 자요사격(子遙巳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사생(뱀띠) 기해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신사년주, 기해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명나라 승상(丞相)의 명조이다. 금토(金土)가 득위하여 일품에 이르렀다. 금토가 득위 했다는 것은 금(金)이 사(巳)에서 장생하고 토(土)가 사(巳)에서 건록이 된 것을 말한다. 수(水)왕하여 목이 뜨게 되니 사(巳)궁 병무(丙戊)를 용신으로 삼아 용재손인(用財損印)하고, 병(丙)화로 조후용신..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2) - 장생(長生)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2) - 장생(長生)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계해월 갑오일 정묘시 (묘시생) : 계미년주, 계해월주, 갑오일주, 정묘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고전 명조이다. - 갑목이 해(亥)월에 생하였다. 천간으로 계(癸)수가 둘이나 있어 그 세력이 범람하는 형세이다. 겨울의 목(木)이 화(火)를 기뻐하는데 가장 기쁜 것은 묘(卯)시로 정(丁)화가 통근하..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1) - 편인격(偏印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1) - 편인격(偏印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사생(뱀띠) 을해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기사년주, 을해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화토득위(火土得位) 관지일품(官至一品) - 지지에 자(子)수와 해(亥)수 등이 있어 수(水)가 범람하므로 사(巳)중 병(丙)화와 무(戊)토를 써서 수를 조절한다. 초반 금수(金水)운은 흉하였으나 일품의 벼슬을 하였다. ※ 해월갑목 : 궁통보감(窮通寶鑑) 十月甲木(십월갑목) 庚丁爲要(경정위요) 丙火次之(병화차지) 忌壬水泛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