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5)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묘월 을목(卯月 乙木)(1) - 건록격(健祿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묘월 을목(卯月 乙木)(1) - 건록격(健祿格) - 봄생 삼춘(三春) 을목 -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묘월을목(卯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미생(양띠) 신묘월 을미일 정해시 (해시생) : 신미년주, 신묘월주, 을미일주, 정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을(乙)목이 월령을 득하고 지지로 해묘미(咳卯未) 국을 이루어 목(木)의 세력은 왕성하고 금(金)의 세력은 허탈하다. 제일 좋은 것은 정(丁)화가 투출하여 탁(濁)인 신(辛)금을 극거하는 것으로 정(丁)화가 용신이다. - 초년 운이 토금(土金)으로 행하는 고로 노력은 많이 하였으나 기회..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유월 을목(酉月 乙木)(1) - 편관격(偏官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유월 을목(酉月 乙木)(1) - 편관격(偏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을목 -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유월을목(酉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해생(돼지띠) 을유월 을묘일 정축시 (축시생) : 을해년주, 을유월주, 을묘일주, 정축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칠살(七殺)이 왕하고 식신도 강한 것은 양간(陽干) 일주와 음간(陰干) 일주를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음(陰) 일주는 칠살이 왕한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식신의 제살(制殺)만 있으면 된다. 그러나 양(陽) 일주는 반드시 신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극설교가(剋洩交加)가 되므로 인수..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자월 을목(子月 乙木)(1) - 편인격(偏印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자월 을목(子月 乙木)(1) - 편인격(偏印格) - 가을생 삼동(三冬) 을목 -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자월을목(子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신생(원숭이띠) 무자월 을사일 병자시 (자시생) : 경신년주, 무자월주, 을사일주, 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丙戊兩透(병무량투) 詞林(사림) - 자(子)월 을목에 용신으로 쓸 수 있는 병(丙)화와 무(戊)토가 모두 투출하여 사림(詞林)의 벼슬을 하였다. 지지가 신사(申子) 수(水) 인수국이 되지만 투출한 무(戊)토가 이를 조절하고, 시간 병(丙)화는 일지 사(巳)화에 뿌리가 있다. 그러나 을목 일간이 사(巳)..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신월 을목(申月 乙木)(1) - 정관격(正官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신월 을목(申月 乙木)(1) - 정관격(正官格) - 봄생 삼추(三秋) 을목 -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임신월 을사일 무인시 (인시생) : 갑신년주, 임신월주, 을사일주, 무인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설상공(薛相公)의 사주이다. - 정관격에 재성과 인성이 천간에 모두 투출 했어도 서로 장애가 되지 않으면 대귀한다. - 위 사주에서는 인성인 임(壬)수와 재성인 무(戊)토가 천간에 있는데 재성과 인성 사이에 일간인 을(乙)목이 있어서 무(戊)토가 임(壬)수를 극하지 못하므로 재성과 인성이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2) - 前 걸그룹 멤버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2) - 前 걸그룹 멤버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미생(양띠) 무진월 갑인일 갑자시 (자시생) : 기미년주, 무진월주, 갑인일주, 갑자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협구공재격(夾丘拱財格) 사주이다. - 이 사주는 갑인(甲寅)일 갑자(甲子)시로써 축(丑)을 공(拱)하여 축(丑)중 기(己)토로 재성을 삼는 가운데 무충(無沖), 무파(無破) 무전실(貿塡實)로써 순수격(純粹格)을 이루었다. - 재다신약이나 다행히 갑목이 일지에 건록인 인(寅)을 놓고 진(辰)중에는 을(乙)목의 여기에..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축생(소띠) 경진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을축년주, 경진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此命乏丁(차명핍정) 喜運入南方(희운입남방) 富貴不大之命(부귀불대지명) - 팔자에 경(庚)금 칠살이 왕성하므로 화(火) 식상으로 다스려야 한다. 병(丙)화보다는 화롯불인 정(丁)화를 쓰는 것이 좋은데, 투출한 정(丁)화가 없..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卯月 甲木)(2) - 전(前) 국회의원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卯月 甲木)(2) - 전(前) 국회의원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기묘월 갑자일 을축시 (축시생) : 경오년주, 기묘월주, 갑자일주, 을축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30년생으로 장군 출신 전(前) 국회의원의 사주이다. - 장성 출신으로 국회에서 중요한 일을 수행하였다. 양인(羊刃)월 생으로 연간에 경(庚)금 칠살이 투출함으로 양인가살격(羊刃駕殺格)으로 격국이 잘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고위직에 출세하게 된 것이다. 특히 양인살과 칠살(七殺) 등으로 이루어져 군인이나 경찰 등 무관이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卯月 甲木)(1) - 양인격(羊刃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묘月 甲木)(1) - 양인격(羊刃格)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해생(돼지띠) 기묘월 갑신일 을해시 (해시생) : 을해년주, 기묘월주, 갑신일주, 을해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양인합살(羊刃合殺)하여 제인(制刃)하는 힘을 얻었다. 을해갑(乙亥甲) 대운으로 흘러 전성의 최고위에 이르렀으나, 술(戌)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