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卯月 甲木)(2) - 전(前) 국회의원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기묘월 갑자일 을축시 (축시생)
: 경오년주, 기묘월주, 갑자일주, 을축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30년생으로 장군 출신 전(前) 국회의원의 사주이다.
- 장성 출신으로 국회에서 중요한 일을 수행하였다. 양인(羊刃)월 생으로 연간에 경(庚)금 칠살이 투출함으로 양인가살격(羊刃駕殺格)으로 격국이 잘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고위직에 출세하게 된 것이다. 특히 양인살과 칠살(七殺) 등으로 이루어져 군인이나 경찰 등 무관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명조 : 012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진생(용띠) 정묘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갑진년주, 정묘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자(甲子) 일주가 묘(卯)월에 생하였는데 지지에 목(木)의 여기인 진(辰)토 2개 있어 묘진(卯辰) 동방에 자진(子辰) 수(水)국이 공수(拱水)하여 목을 생하므로 목(木)이 태왕하니 금(金)과 같다. 그렇기에 정(丁)화를 용신으로 사용한다.
- 사(巳)대운에 이르러 정(丁)화가 왕지에 임하니 이름이 궁장(宮牆)에 올랐다. 경(庚)금과 신(辛)금 대운은 남방의 절각된 금(金)으로 비록 형모는 있었으나 대환은 없었다.
- 미(未)토 운은 자(子)수를 극거하니 반궁에 들어가 장학생이 되었고 오(午)운은 자(子)수의 충극으로 추위(秋闈:향시, 초시)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 임신(壬申) 대운은 금수(金水)가 일제히 들어와 형처극자하고 계(季)수 대운에 사망하였다.
명조 : 013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묘생(토끼띠) 을묘월 갑인일 을해시 (해시생)
: 계묘년주, 을묘월주, 갑인일주, 을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지지가 다 목(木)인데 또 수(水)의 생까지 있다. 목(木)과 수(水)로만 되어 있고 타기(他氣)는 없다. 목(木)이 왕극하니 마치 화(火)와 같다. 조상의 유업이 본래 풍부한 집안에 태어났다.
- 축(丑)토 대운에는 형상을 겪었고 임자(壬子)대운은 수(水)세가 왕하고 신해(辛亥) 대운은 금(金)은 통근치 못하고 지지로 수(水)가 왕하니 이 20년 간 경영에 수만의 재물을 모았다.
- 경술(庚戌) 대운으로 바뀌어 토금(土金)이 모두 다 왕하여 재물을 파(破)하고 사망하였다.
명조 : 014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인생(범띠) 기묘월 갑인일 기사시 (사시생)
: 경인년주, 기묘월주, 갑인일주, 기사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50년생 사주이다.
- 갑인(甲寅)일주로 간여지동이며 비견겁이 다봉하고 신왕관쇠라 남편이 호색에 작첩하여 결국은 자살을 하였다.
※ 부군호색(夫君好色) : 명리강론
(1) 간여지동(干與支同)에 다봉견겁(多逢肩劫) 자
(2) 신왕관쇠(身旺官衰)나 식왕관쇠(食旺官衰) 자
(3) 차착일주(差錯日柱)나 괴강일주(魁罡日柱) 자
나와 같은 비견 겁재가 많으면 남편 되는 관(官)을 여러 여인이 섬기는 상이라 부군이 호색하고 작첩하게 된다는 추리를 한다. 견겁은 탈부지신(奪夫之神)이다.
인수나 견겁이 많아 신왕하고 관쇠(官衰)하면, 내가 유력하고 개성이 강해 남편이 나를 제대로 관제하지 못하고 무시를 당하다가 다른 여인에게서 위로를 받는 상이 되며, 상식이 많아 식왕하고 관쇠하면 내가 기가 드세어 부군을 이기는 상이 되므로 부군이 외도를 통해 위로 받으려고 작첩하게 된다는 추리를 한다.
음양차착살은 본래 가문 밖의 별이라 부군이 밖으로 나돌며 바람이 나고, 괴강살은 천강하괴(天罡下魁)로서 천지절멸의 독성(獨星)이라 부부의 도리가 천충지격(天衝地擊) 상이 되어 부군이 외아들로 고독하거나 무책임하게 가출 또는 작첩하게 된다.
명조 : 015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미생(양띠) 기묘월 갑신일 기사시 (사시생)
: 을미년주, 기묘월주, 갑신일주, 기사시주
출처-바꿔보면 보인다, 김용길, 산청, 2015.03.25
◆ 책의 내용 요약
- 1955년생 사주이다.
- 갑목일간이 묘(卯)월에 태어나 묘미(卯未) 목(木)국이 있고 을(乙)목이 투출되어 신왕하다. 힘차게 뻗어 나고픈 생목(生木)이다. 따라서 목(木)기를 설해주는 화(火)가 좋고 뿌리내릴 수 있는 토(土)가 필요하다. 그런데 천간이 기갑기(己甲己)의 구조가 되어 있다.
- 시주의 기사(己巳)는 갑신(甲申)일주와 천간지합했으니 이것이 나의 본처이다. 월간 기(己)토는 비겁인 묘(卯)목 위에 앉아 있고 년간에 을(乙)목 겁재가 있으므로 타인의 처다. 그리고 타인이 경작하며 뿌리내리려 하는 땅이다.
- 따라서 이 사람 갑(甲)목일주는 본처 외에 유부녀(월간 기토)와 합정하게 되고 남이 하고 있는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 그리고 두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을 취할까를 모색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명조 : 016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신생(원숭이띠) 기묘월 갑인일 정묘시 (묘시생)
: 경신년주, 기묘월주, 갑인일주, 정묘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살인상정격(殺刃相停格)이다.
- 이 사주는 갑(甲)일생이 양인 묘(卯)목을 보았다. 년상 경(庚)금이 칠살로 상신(傷身)이나 월지 묘(卯)중 을(乙)목에 을경합(乙庚合)으로 배합되어 이 격이 유정하니 그 경(庚)금 칠살은 상신(傷身)하지 않는다.
- 계선편(繼善篇)에서 말한 "갑이을매(甲以乙妹)로 처경(妻庚)하니 흉위길화(凶爲吉化)라"는 글에 해당하였고 사주가 양인(羊刃)이 왕하여 금(金)운에서 귀(貴)하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17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진생(용띠) 정묘월 갑인일 임신시 (신시생)
: 갑진년주, 정묘월주, 갑인일주, 임신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4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중춘 묘(卯)월 양인월에 출생하여 득령한 가운데 년상에 갑(甲)목이 투출하였고 인묘진(寅卯辰) 동방 목국을 이루어 신왕사주이다. 양인격 신왕사주로 시지의 찰살로 제(制)함이 좋다. 경(庚)금 편관 용신에 토(土) 재성이 희신이 된다.
- 학창시절 체육학을 전공하고 체육선수로 활동하였다. 이후 체육관을 경영하였으나 호운을 만나지 못해 고생을 하였다. 46세 술(戌)토대운에 음식사업을 시작하였는데 크게 번창하여 돈을 많이 벌게 되었다. 이후 신유(辛酉)대운에도 용신운으로 크게 성공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일지와 시지가 인신(寅申) 충형(沖刑)이며 갑진(甲辰) 년주의 공망이 인묘(寅卯) 공망으로 일지와 월지가 공망에 해당이 된다. 그러므로 배우자 자리가 불안하게 되어 일찍 남편과 이혼을 하였고 독신으로 살고 있다.
명조 : 018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계묘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임오년주, 계묘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1942년생 사주이다.
- 사주 원국에 재(財)가 의지할 곳이 없으니 부인이 몹시 허약하다. 성격은 외골수이며 가정적이다. 직장은 세무서에서 근무하였으며 무신(戊申)대운 초 1990년 신미(辛未)년에 사직을 하였다. 이후 금(金) 대운에 세무사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감명 당시는 2000년 경진(庚辰)년이다.
- 전국이 수목(水木)이고 목(木)을 설하는 년지 오(午)화가 하나 있어 종(從)을 반대하고 있다. 양인격이고 화토금(火土金)을 길하게 사용한다. 오(午)화는 자오충(子午沖)을 받고 있으나 종격을 판단할 때 형충육합(刑沖六合)은 제외한다. 오(午)화가 충(沖)을 받는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화(火)가 아주 사라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명조 : 019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축생(소띠) 신묘월 갑자일 임신시 (신시생)
: 신축년주, 신묘월주, 갑자일주, 임신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1년생 사주이다.
- 갑(甲)목이 양인(羊刃) 월에 태어나 신자(申子) 수(水)국과 임(壬)수가 생하니 일간이 신강하다. 여명 신강은 대체적으로 관성을 사용하는데 축(丑)토에 착근한 금(金)이 용신에 축(丑)토가 희신이다.
- 초년 임진(壬辰), 계사(癸巳) 대운은 희신과 용신을 도와 유복하게 성장하였다. 갑오(甲午)대운에 결혼하였으며 오(午)대운에는 신(辛)금이 폐이며 기관지를 상징하기에 갑상선으로 고생하였다. 또한 화금(火金)이 상쟁(相爭)하니 신경노이로제 증상도 있었다.
- 을(乙)대운에는 을신충(乙辛沖)으로 금목(金木)이 교쟁하니 신경쇠약증세와 편두통으로 고통을 받아 마음수양을 위해 유명사찰을 찾아 다니기 시작하였다. 미(未)토 대운에는 용신의 근(根)을 충(沖)하니 신경쇠약증이 강해졌다. 감명 다시가 을미(乙未)대운 1997년 정축(丁丑)년이다. 2000년 경진(庚辰)년에는 방송국의 작가로 활동하였다.
- 직업이 언론사 작가인 것은 천간이 갑무경(甲戊庚)에 천을귀인 축(丑)토가 희신이며 금(金)이 용신인데 금(金)은 태위구(兌爲口)이기 때문이다.
- 병(丙)대운에 용신인 신(辛)금을 병신합(丙辛合)으로 쟁합하여 흉한 가운데 2004년 갑신(甲申)년에 관봉관운이 되니 부부가 이혼을 하게 되었다. 이후 2005년 을유(乙酉)년에는 출가(出家)를 하였다.
명조 : 020
◆ 갑목일간(갑목일주)
묘월갑목(卯月甲木) 갑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축생(소띠) 신묘월 갑인일 을해시 (해시생)
: 신축년주, 신묘월주, 갑인일주, 을해시주
출처-팔자(八字)는 있다. 김갑식, 좋은땅, 2016.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61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년간과 월간에 정관이 쌍투(雙投)하고 정관 신(辛)금과 양인 겁재가 동주(同柱)하니 중혼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위 명조는 첫 번째 남자는 총각이라고 속인 상태에 만나 임신을 하게 되어 자식을 낳았고 이후에 이미 결혼한 유부남인 것을 알게 되어 뜻하지 않게 첩실의 생활을 시작하였다. 2010년도(丙申대운 庚寅년) 다른 남자를 만나 본 남자에게서 벗어났다고 한다.
- 묘(卯)월 갑(甲)목이 일지에 록(祿)을 얻고 시지에 장생도 얻었으니 팔자가 강하다. 그렇기에 음욕(淫慾) 또한 왕성한 사주이다. 년상에 신(辛)금이 투간하여 초년 식상인 화(火)대운을 만나니 갑목이 꽃을 피우고 싶은 마음에 20대 초반 일찍 남자를 만나 첩실로 오랜 기간 생활을 하게 된 것이다.
- 병신(丙申) 대운 2010년 경인(庚寅)년에 새로운 유부남을 만나 경제적 지원을 받고 살게 되었지만 이후 다시 2011년 신묘(辛卯)년에 언니(겁재)의 소개로 새로운 유부남을 또다시 만나게 되었다. 이때 만난 남자가 본처와 이혼을 하고 본인과 결혼을 할 것이라 말하여 그것을 믿고 동거를 시작하였는데 2013년 계사(癸巳)년에 간통죄로 고소가 들어와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2014년 갑오(甲午)년에는 만나지 못하고 그리워만 하게 되었다.
- 2011년 신묘년에 만난 남자는 무술(戊戌)년 갑인(甲寅)월 신사(辛巳)일 신묘(辛卯)시에 출생하였다.
※ 개인
- 위 명주가 새로운 삶이 시작된 시점은 병신(丙申)대운 중반에 해당이 된다. 지지가 중요한 글자이고 천간이 지지를 방해할 때 대운 중반에 가까워질 때 가시적이고 의미 있는 변화가 발생한다. 위 사주는 2005년(乙酉) 9월이 대운 교체기이다.
- 2011년에 만난 신사(辛巳)일주 남자는 신약 명조에 대운이 비겁(比劫)인 금(金) 대운 초입에 위 명조의 여인을 만났다. 두 명의 사주가 희용신(喜用神)의 개념이 있는 금(金)운이라는 환경이 형성 될 때 만났다. 각각의 명조에 시간과 공간적 공통점이 생긴 것이다.
2020/08/11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묘월 갑목(묘月 甲木)(1) - 양인격(羊刃格)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