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축생(소띠) 경진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을축년주, 경진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此命乏丁(차명핍정) 喜運入南方(희운입남방) 富貴不大之命(부귀불대지명)
- 팔자에 경(庚)금 칠살이 왕성하므로 화(火) 식상으로 다스려야 한다. 병(丙)화보다는 화롯불인 정(丁)화를 쓰는 것이 좋은데, 투출한 정(丁)화가 없으므로 운이 남(南)방으로 가는 것이 좋다. 부귀가 크지 않고, 서(西)방운인 신유술(申酉戌) 운에 실패한다. 갑(甲)목이 병인(丙寅)시를 만나므로 복성귀인이 되지만 운의 흐름에서 귀함을 살리지 못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이 사주는 경(庚)금은 있으나 정(丁)화가 없고, 동남(東南)운으로 흘러 부(富)는 있으나 귀(貴)는 작았다.
- 을(乙)목이 경(庚)금을 따라 합되고, 신(申)금에 득록하여 살왕(殺旺)하니 제(制)해야 하나 병(丙)화가 출간했다. 경금을 버리고 병(丙)화를 용신으로 삼는다. 갑일주가 병인(丙寅)시에 태어나 복성귀인이 되어 부유하며 복(福)이 많았으나 귀격(貴格)은 아니다.
※ 진월갑목(辰月甲木) : 궁통보감
三月甲木(삼월갑목) 木氣相竭(목기상갈) 先取庚金(선취경금) 次用壬水(차용임수) 庚壬兩透(경임양투) 一榜堪圖(일방감도) 但要運用相生(단요운용상생) 風水蔭德(풍수음덕) 方許富貴(방허부귀)
: 진월갑목은 목(木)기운이 약하므로 먼저 경(庚)금 칠살을 쓰고, 나중에 임(壬)수 편인을 쓴다. 진월갑목 사주에 경(庚)금과 임수가 모두 투출한 경우 공명이 있다. 단 운에서 도와줘야 하고, 풍수의 음덕이 있으면 부귀를 이룰 수 있다.
或見一二庚金(혹견일이경금) 獨取壬水(독취임수) 壬透淸秀之人(임투청수지인) 才學必富(재학필부)
: 만약 진월갑목에 1~2개의 경(庚)금이 있으면 오직 임(壬)수 식신만 취하여 화살한다. 이 경우 위인이 맑고 탁월하여 재주와 학식이 뛰어나다.
或天干透出二丙(혹천간투출이병) 庚藏之下(경장지하) 此鈍斧無鋼(차둔부무강) 富貴難求(부귀난구) 若有壬癸破火(약유임계파화) 堪作秀才(감작수재)
: 천간에 병(丙)화가 2개 투출하고 경금이 지장간에만 있는 경우, 제살태과로 경(庚)금의 날이 무뎌지거나 없어지므로 부귀를 이룰 수 없다. 팔자에 임계(壬癸)수가 있어서 경금을 무력하게 하는 불기운을 꺼줘도 부귀와는 거리가 있으며, 공부하는 학생일 뿐이다.
或柱中全無一水(혹주중전무일수) 戊己透干(무기투간) 支成土局(지성토국) 又作棄命從才(우작기명종재) 因人而致富貴(인인이치부귀) 妻子有能(처자유능)
: 진월갑목이 팔자에 수(水)인수가 없고 무기(戊己)토 재성이 천간에 투출하며, 지지가 토(土) 재성국이 되는 경우 기명종재가 된다. 명주는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부귀를 얻고 처자가 능력 있는 사람이다.
或見戊己(혹견무기) 及比劫多者(급비겁다자) 名爲雜氣奪才(명위잡기탈재) 此人勞碌到老(차인로록도로) 無馭內之權(무어내지권) 女命合此(여명합차) 女掌男權(여장남권) 賢能內助(현능내조) 若比劫重見(약비겁중견) 淫惡不堪(음악불감)
: 진월갑목에 재성인 무기(戊己) 토가 천간에 있고 목(木) 비겁이 많으면 재물을 놓고 다투는 군겁쟁재 또는 잡기탈재(雜氣奪才)의 형상이 된다. 이 경우 남자는 늙도록 고생하며 집안을 다스릴 힘도 없다. 여자도 마찬가지로 늦도록 고생을 하는데 남자의 권한을 갖고 남자를 내조하는 격이다. 비겁을 거듭 보는 경우에는 음란하고 악하다.
或支成金局(혹지성금국) 方可用丁(방가용정) 不然(불연) 三月無用丁之法(삼월무용정지법) 惟有先庚後壬取用(유유선경후임취용) 書曰(서왈) 甲乙生寅卯(갑을생인묘) 庚辛干上逢(경신간상봉) 離南推富貴(리남추부귀) 坎地却爲凶(감지각위흉)
: 진월갑목에 지지가 금(金) 관살국으로 관살이 너무 왕성한 경우 정(丁)화를 용신으로 하지만, 그 밖의 경우는 정(丁)화를 쓰지 않는다. 진월갑목은 경(庚)금을 주용신으로 하고, 임(壬)수를 보조용신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르기를 인묘(寅卯)월 갑을(甲乙)일간의 천간에 경신(庚辛)이 있는 경우, 봄의 나무가 관살을 매우 꺼리므로 화(火) 식상을 만나면 부귀하고, 수(水) 인수를 만나면 흉하다고 하였다.
명조 : 002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인생(범띠) 임진월 갑진일 경오시 (오시생)
: 병인년주, 임진월주, 갑진일주, 경오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왕성한 갑(甲)목이 용신 경(庚)금을 만나고 진(辰)토가 오(午)화를 설기하며, 임(壬)수가 투출하여 중화를 이룬 명으로 용신을 돕는 신유술(申酉戌)운이 좋아 상서(尙書)의 벼슬을 하였다.
명조 : 003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갑진월 갑인일 무진시 (진시생)
: 임오년주, 갑진월주, 갑인일주, 무진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四柱木旺金缺(사주목왕금결) 非僧道(비승도) 卽無子(즉무자)
- 갑목일간이 인(寅)목의 자리에 앉고 습토를 얻어 왕성한데, 이를 제극하는 경(庚)금이 없고 설기하는 화(火)식상도 없다. 또한 임(壬)수도 멀리 있어서 도움이 안 된다. 팔자 배합이 무정하고, 왕성한 비겁이 재성을 치는 군겁쟁재의 상이므로 승도가 아니면 자식이 없다. 연지 오(午)중 정(丁)화는 일간과 너무 멀리 있어서 무정하고, 연간 임(壬)수가 천간에 있어서 수극(秀剋)이 되므로 용신으로 삼기 어렵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목(木)왕하여 금(金)이 이지러졌다. 따라서 승려가 되거나 자식이 없다. 인진(寅辰)이 묘인(卯刃)을 공협하고 있고, 재가 노출되었고, 비겁이 성(盛)하다. 오(午)궁의 정(丁)화가 있으나 간에 임(壬)수가 있어 용신으로 삼기 어렵다. 또한 비겁이 재성을 빼앗아 고빈(孤貧) 한 명이 되었다.
명조 : 004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유생(닭띠) 경진월 갑오일 무진시 (진시생)
: 을유년주, 경진월주, 갑오일주, 무진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모장원(毛狀元)의 사주이다.
- 재격에 칠살이 있는 경우 합살하여 재(財)를 존속시키거나 제살(制殺)하여 재를 생조하면 귀(貴)격이 된다. 위 사주는 칠살을 합거하고 재를 존속시켰다.
- 천간의 을(乙)이 경(庚)금을 쫓아 금(金)으로 변하고, 지지의 진(辰)토가 유(酉)금과 합하여 금(金)으로 변했으니 제가 칠살을 강화시켰다. 당연히 오(午)중의 정(丁)화가 제살하는 용신이 된다. 재가 떼를 지어 칠살을 강화시켜 내 몸을 극하는데 어찌 재를 용신으로 삼을 수 있겠는가? 기쁜 것은 진(辰)월 진(辰)시에 생하여 일간 갑목의 여기(餘氣)가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신약하다.
- 인묘(寅卯)의 신왕하게 하는 대운을 만나고 대운의 병정(丙丁)이 제살하니 귀하게 되었다. 을해갑(乙亥甲) 대운에도 방신하여 좋았다. 그러나 자(子)운은 용신 오(午)화를 충(沖)하니 생사를 가름하는 두려움이 있다. 비록 자진(子辰)이 회합하여 충(沖)을 해소한다고 해도 완전히 해소하기는 힘들다. 신약하면 인수운이 마땅하지만 제살(制殺)하는 사주에서는 인수운이 좋지 않다. 이는 용신인 식상을 극하는 까닭이다.
명조 : 005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묘생(토끼띠) 병진월 갑인일 을해시 (해시생)
: 계묘년주, 병진월주, 갑인일주, 을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인(甲寅)일주가 계춘에 생하였다. 지지가 동(東)방을 이루고 해(亥)시에 생하니 일점 병(丙)화가 투출하였으나 허탈하다. 어미가 많아 자식이 외롭다.
- 진(辰)토는 습토로 화(火)를 설기하고 목(木)을 기르는 가운데 계(癸)수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며 시의 해(亥)수까지 왕하니 어미의 마음이 자애심과 휼고지심(恤孤之心)이 없고 도리어 자식을 멸하는 뜻만 있다.
- 초운이 을묘(乙卯), 갑인(甲寅)으로 자식을 사랑하고 기르는 정이 있어 즐거움이 넉넉하였으나 계축(癸丑) 대운으로 바뀌어 수(水)를 대동한 토(土)로 어미의 마음이 변하여 자식이 평안치 못하고 재산도 많이 기울었다.
- 임자(壬子)대운에 이르러 자식을 극절하니 가업을 파하고 사람도 떠나니 목을 매어 죽었다.
명조 : 006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경진월 갑인일 정묘시 (묘시생)
: 경인년주, 경진월주, 갑인일주, 정묘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인묘진(寅卯辰) 동방으로 목(木)이 왕한데 왕신이 목(木)이 월령을 득한 것이 아니고 토(土)가 당령한 진(辰)월이다. 천간의 경(庚)금이 진(辰)토에 실려 있어 목(木)을 극할 역량이 충분하다.
- 정(丁)화가 비록 시간에 투출하였으나 경(庚)금을 적으로 여기지 않으니 살(殺)이 용신임이 분명하다. 갑신(甲申)대운에 이르러 경(庚)금이 록을 만나고 인(寅)목을 암충하니 과거에 연달아 급제하고 벼슬이 군수에 이르렀다.
- 병(丙)대운으로 바뀌어 살을 극하니 관직에서 물러나 향리로 돌아갔다.
◆ 책의 내용 요약 : 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 지지 인묘진(寅卯辰) 방합 목국이 있으나 월령이 진(辰)토라 방합국이 실령하여 갑(甲)목이 태왕하지는 않으므로 왕목의 순기세(順氣勢)를 따르지 않고 억부법을 적용하여 왕목을 대적하는 것으로 용신을 잡아야 한다.
- 일주가 좌하에 록(祿)과 시지에 양인을 깔았으니 왕하다. 따라서 전벌(剪伐)하는 경(庚)금을 용하여 왕목을 극벌하면 중화를 이룰 수 있다. 용신은 경(庚)금이다.
- 갑신(甲申)대운에 경금이 록을 득하고 왕한 인(寅)목을 암충하니 등과하고 벼슬이 연등했고, 을유(乙酉)대운도 을경합(乙庚合)금과 유(酉)금의 용신운이니 벼슬이 군수에 이르렀다.
- 이후 병(丙)대운은 기신운이라 칠살 경(庚)금 용신을 제압하니 낙직하고 농사일로 돌아갔다.
※ 지전삼물(地全三物)
지지에 방합국이 있음을 말한다. 방합국은 인묘진(寅卯辰), 해자축(亥子丑), 신유술(申酉戌), 사오미(巳午未)의 방(方)이 모두 있는 것을 말하며, 이리되면 자연 지지의 기세가 왕강해지는 것이다. 특히 왕신이 월령을 득한 경우와 득하지 못한 경우를 잘 살피고, 천간에 있는 오행과의 조화 여부를 잘 살피면 사주의 길흉이 드러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지가 인묘진의 방합 목(木)국인 경우에 일주가 목(木)이면 설기시키는 화(火)가 많아야 하고, 일주가 화(火)라면 생조가 태다(太多)하니 목(木)을 전벌하는 금(今)이 있어야하고, 일주가 금(金)이면 재다신약이 되니 토(土)의 부조가 있어야 함이다.
또한 왕신이 월령을 차지하고 있으면 자연 극제하는 신(神)은 월령이 절(絶)일 것이니 억지로 제극하려 함은 왕신을 충분(衝奔)케 할 뿐이니 사주가 흉해지는 것이다.
명조 : 007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병진월 갑진일 기사시 (사시생)
: 계미년주, 병진월주, 갑진일주, 기사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43년생 사주이다.
- 재다신약하므로 신약용인격(身弱用印格) 사주이다. 갑일주가 진(辰)월 청명절에 생하여 좌하가 진(辰)이니 약한 중에 유근하다. 계(癸)수가 간상에 투출했으니 신약한 국에 인성이 용(用)이 된다.
- 초년 목(木)운에 일주를 도우며 토(土)를 제하여 인성을 구해 주는 운이므로 부호 가문에 출생했고 상대 졸업했다.
- 임(壬)대운에 회사에 출신하여 일찍 계장이 되었는바 계축(癸丑), 임자(壬子), 신해(辛亥)운은 길(吉)하다.
- 병(丙)화가 있어 총명하지만 고관이 되기 어려운 것은 인성인 수(水)가 금(金)으로 부터 일점의 생조를 얻지 못하여 근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팔자에 2개의 고장지가 있으니 부국(富局)이며 술(戌)토 대운을 무사하게 넘긴다면 정미(丁未)대운이 불길할 것이다.
명조 : 008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신생(원숭이띠) 병진월 갑술일 을해시 (해시생)
: 무신년주, 병진월주, 갑술일주, 을해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8년생 사주이다.
- 입하전일은 무(戊)토가 사령하는데 병(丙)화가 투간하여 일주를 설기하고 3개의 재성이 있으니 재왕하고 신약하다. 인수로써 약한 일주를 생하여야 되겠다. 즉 수(水) 용신에 금(金)이 희신이고 토(土)가 사주의 병(病)이며 목(木)이 약신이 된다.
- 초년 을묘갑(乙卯甲) 대운은 막내로 태어나 사랑받으며 성장한 가운데 불어불문학을 전공하였다. 갑(甲)운 경오(庚午)년에 오술화(午戌火)가 병(病)신인 토(土)를 생하고 경(庚)년은 갑(甲)운을 충(沖)하여 화(火)기가 기신인데 벽갑인화하여 왕토(旺土)를 생하니 부친상을 당하였다.
- 인(寅)대운은 지살 역마 충(沖)하여 방황기였으나 갑술(甲戌)년에 결혼하였다. 을해(乙亥)년에 용신과 약신을 도우니 득남하였다.
- 계(癸)운에 용신을 도와 길한 가운데 무인(戊寅)년에 쌍둥이를 얻었다.
- 향후 축(丑)토운은 좌하의 술(戌)토와 축술형(丑戌刑)이 되니 부부관계를 돈독하게 해야 되겠다. 이는 원국에 이미 월지와 일지가 진술충(辰戌沖)이 되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 임(壬)운은 병(丙)화가 기신에 견수현절하니 길운이 아니다. 이때를 지나면 금수(金水) 대운은 용신과 희신이 함께 오니 대길하겠다.
- 위 명조는 일지와 시지에 술해(戌亥) 천문을 두고 있어 음양오행 공부에 관심이 아주 많다.
명조 : 009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진생(용띠) 경진월 갑진일 무진시 (진시생)
: 경진년주, 경진월주, 갑진일주, 무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40년생 사주이다.
- 갑진(甲辰)일주로 지원일기격(地元一氣格)의 사주이다. 신약하나 종세하지 않았으며 상류층 집안의 부인으로 살았다. 년월일시가 모두 12운성 쇠(衰)지에 해당이 되고 재(財)와 살(殺)이 태과하여 한 평생 시집 사리에 고생을 했으며 고독을 참고 견디었다.
※ 지원일기격(地元一氣格)
: 지지의 네 글자가 똑같으면 지원일기격(地元一氣格)이 성립된다. 귀기(貴奇)한 격이다. 성격(成格)은 순청(純淸)하여 특이하나 전체의 구성과 강약 여하에 따라 길흉화복이 결정된다. 이 격은 대체적으로 종세(從勢)하는 경우가 많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 12운성 쇠(衰)지
: 여명은 심성이 고와 남편이나 시가의 수모를 잘 참고 견디며 현모양처의 길을 걷다가도 자아에 눈을 뜨면 자신의 잠재능력을 계발하여 사회적인 성공을 도모한다. 갑진(甲辰), 을축(乙丑), 경술(庚戌), 신미(辛未) 일생의 여인은 부부해로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남모르는 고생을 참아내야 한다. 부부해로를 하게 되면 참으로 훌륭한 여인이다.
명조 : 010
◆ 갑목일간(갑목일주)
진월갑목(辰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사생(뱀띠) 임진월 갑오일 기사시 (사시생)
: 신사년주, 임진월주, 갑오일주, 기사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1941년생 한의사 사주이다.
- 초년 자력으로 한의학 공부를 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고 정해(丁亥) 대운까지 큰돈을 벌었다. 그러나 병술(丙戌) 대운부터는 정치에 관심을 가져 낭비가 심하였고 온천사업을 하면서 전 재산을 탕진하였다.
- 갑(甲)과 임(壬)수가 진(辰)토의 여기와 중기를 얻었고 신(辛)금 정관이 진(辰)토에 통기(通氣)하고 임(壬)수 인성을 생하며 인성은 일주를 생하면서 관인상생으로 기운이 끊어지지 않았다. 그렇기에 부종(不從)이다.
- 금수(金水)운을 기뻐하고 화토(火土)를 싫어하는데 병술(丙戌) 대운은 식신과 재성이 왕하여 좋지 못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투자를 하는 것은 불리하다.
2020/08/17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진월 갑목(辰月 甲木)(2) - 前 걸그룹 멤버 사주 포함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