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신월 을목(申月 乙木)(1) - 정관격(正官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신월 을목(申月 乙木)(1) - 정관격(正官格)

반응형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신월 을목(申月 乙木)(1) - 정관격(正官格)

 

 

- 봄생 삼추(三秋)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임신월 을사일 무인시 (인시생)

: 갑신년주, 임신월주, 을사일주, 무인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설상공(薛相公)의 사주이다.

 

- 정관격에 재성과 인성이 천간에 모두 투출 했어도 서로 장애가 되지 않으면 대귀한다. 

 

- 위 사주에서는 인성인 임(壬)수와 재성인 무(戊)토가 천간에 있는데 재성과 인성 사이에 일간인 을(乙)목이 있어서 무(戊)토가 임(壬)수를 극하지 못하므로 재성과 인성이 서로 방해를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대귀했다. 

 

- 그러나 낙엽이 지는 가을의 나무인데 정관은 지지에서 건록이 되고 재(財) 역시 록(祿)을 만났으니 재관(財官)이 태왕하여 신약하다.

 

- 유(酉)대운은 칠살운이니 재(財)를 설하여 인수를 생조하여 가장 좋았다. 갑(甲)대운 역시 일원을 도우니 길했다. 만약 년주가 갑신(甲申)이 아니고 기유(己酉)였다면 갑(甲) 대운에 비겁을 합(合)하고 인수를 파(破)하므로 나빴을 것이다. 이처럼 한신의 배합에 의하여 좋고 나쁨이 달라질 수 있다. 

 

- 술(戌)토 대운은 재(財)가 왕하지만 다행히 인수를 상하지 않았기에 큰 장애는 없었다. 을해(乙亥) 대운 이후에는 북(北)방의 인수로 운이 흐르는데, 해(亥) 대운에는 지지 4개가 모두 충(沖)이 되니 풍파가 없을 수 없었다. 

 

- 이처럼 지지의 배합에 의하여 좋고 나쁨이 달라지는 것이다. 무(戊) 대운에는 재성이 인수를 파(破)하고 인(寅)대운에는 두 개의 정관을 인신충(寅申沖)하니 이때 좋지 않았고 일생을 끝마치고 말았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오생(말띠) 경신월 을축일 무인시 (인시생)

: 무오년주, 경신월주, 을축일주, 무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 강해

- 고전 명조이다.

 

- 知縣(지현) 此化格(차화격) 妻賢子肖(처현자초)

 

- 지현(知縣)의 벼슬을 한 명조이다. 합화격(合化格)으로 처가 현명하고 자식은 잘 되었다. 신(申)월에 합을 하는 경(庚)금이 투출하고 이를 생하는 무(戊)토가 있어 화격(化格)이 되었지만, 화신(化神)을 지지에 있는 인(寅)과 오(午)가 극하므로 조금 귀하게 되었을 뿐이다. 일지 축(丑)중 계(癸)수가 있고, 해자축(亥子丑) 운이 화신을 극하는 화(火)를 조절하여 가화(假化)가 진화(眞化)가 되어 발전하였다.

 

※ 지현은 송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현에서 으뜸이 되는벼슬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경(庚)금이 신(申)월에 있으니 화(化)하여 금(金)이 된다. 년과 시에 인오(寅午) 화(火)국이 금(金)의 왕신과 대적하여 가화(假化)가 되었다. 금(金)신으로 화(化)하여 토(土)로 용신을 삼고, 축(丑)중의 계(癸)수가 기신을 물리쳐 지사(知事)가 되었다. 아내는 현명했으나 자식은 불효했다.

 

 

※ 신월을목(申月乙木) : 궁통보감강해

七月乙木(칠월을목) 庚金乘令(경금승령) 庚雖輸情於乙妹(경수수정어을매) 怎奈干乙難合支金(즘내간을난합지금) 柱見庚多(주견경다) 乙難受載(을난수재) 或丙透干(혹병투간) 又加己出埋金(우가기출매금) 此格可云科甲(차격가운과갑) 有己透(유기투) 加丙(가병) 亦是上命(역시상명) 七月喜己土爲用(칠월희기토위용) 或不見丙癸(혹불견병계) 己土決不可少(기토결불가소) 此則以火爲妻(차즉이화위처) 土爲子(토위자)

: 신월을목은 월의 지장간에 경(庚)금 정관이 있다. 경(庚)금은 을(乙)목과 을경합금을 할 수 있지만, 팔자에 경(庚)금이 너무 거세면 을(乙)목이 합하는 정을 모두 받기 어렵다. 이 경우 천간에 병(丙)화 상관이 투출하여 경(庚)금을 약화시키고, 기(己)토 편재가 경(庚)금을 묻으면 크게 귀하게 될 수 있다. 즉, 기(己)토가 투출하고 병(丙)화가 화생토로 도우면 상격의 사주로 신(申)월 을목은 기(己)토가 있으면 좋다. 병(丙)화와 계(癸)수가 없는 경우 기(己)토가 유력해야 하며 기토를 쓰는 경우 화(火)가 처이고 토(土)가 자식이다.


或癸透(혹계투) 丙藏(병장) 庚少(경소) 此不用己(차불용기) 可許貢拔(가허공발) 無丙(무병) 有癸透者(유계투자) 不失刀筆門戶(불실도필문호) 有支下庚多(유지하경다) 癸又藏者(계우장자) 無丙己二神(무병기이신) 平常人物(평상인물)
: 만약 신월을목에 계(癸)수 편인은 투출하고 병(丙)화 상관은 지장간에 있으며 경(庚)금 정관이 약한 경우, 기토 편재를 사용하지 못하지만 재물을 사용하여 벼슬에 선발될 수 있다. 병(丙)화는 없고 계(癸)수만 투출하면 배합이 적당치 않으므로 낮은 관리가 된다. 지장간에 경금이 많이 있고 계(癸)수도 지장간에만 있으며, 병화와 기토가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或生辰時(혹생진시) 此爲從化(차위종화) 反主富貴(반주부귀) 凡化合格(범화합격) 皆以所生之神爲用(개이소생지신위용) 化金者(화금자) 戊爲用神(무위용신) 特忌丙丁煆煉破格(특기병정하련파격) 從化者以火爲妻(종화자이화위처) 土爲子(토위자) 其餘以金爲妻(기여이금위처) 妻必賢美(처필현미) 以水爲子(이수위자) 子必克肖(자필극초) 但忌刑冲(단기형충) 凡命皆然(범명개연) 不特此也(불특차야)
: 만약 신월을목에 경진(庚辰)시이면 합화격(合化格)이 되어 부귀하다. 합화격은 생하는 기운을 용신으로 하므로 합하여 금(金)이 되는 경우 무(戊)토를 용신으로 한다. 이 경우 병정화(丙丁火)가 왕성해서 화합(化合)하는 금(金)을 극하는 것을 피하며, 무(戊)토를 용신으로 하는 경우 화(火)가 처이고 토(土)가 자식이 된다. 그 밖에는 금(金)이 처이고 수(水)가 자식이 되는데, 이 경우 처는 지혜롭고 아름다우며 자식은 능력이 있고 예의바르다. 모든 운명이 그렇듯이 합화격 역시 형충(刑沖)을 두려워한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축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신생(원숭이띠) 경신월 을축일 기묘시 (묘시생)

: 무신년주, 경신월주, 을축일주, 기묘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08년생으로 신약 록비위용(祿比爲用)의 사주이다.

 

- 을(乙)일주가 신월에 생하여 약지라 경(庚)금이 투출하고 무기축(戊己丑) 토가 생금하니 일간이 태약하다. 다행히 시지 록(祿)에 뿌리가 있어 묘(卯)목을 용신으로 한다. 

 

- 신(申)과 묘(卯)가 현침성이니 치과의사가 되었으며 대운이 실기(失氣)하므로 재물적 성공이 없었고 가정도 실패하여 50세 이전까지 고생이 많았다. 

 

- 50세 이후 을묘(乙卯)대운부터 친구의 도움으로 개원을 하여 발재(發財)하였으니 쇠목이 왕운을 만났기 때문이다. 을묘(乙卯), 갑인(甲寅) 계(癸)대운까지 길하고 축(丑)토 대운은 왕금(旺金)이 유력하므로 불길하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무신월 을미일 경진시 (진시생)

: 임신년주, 무신월주, 을미일주, 경진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미(乙未)일주는 좌하에 묘고(墓庫)를 두고 연간에 임(壬)수 인성이 투출하니 일원이 비록 약하다 하나 을경합금(乙庚合金)으로 종화(從化)가 된 것이 아니다. 임(壬)수를 용신으로 경(庚)금의 굳세고 예리한 기운을 설기한다. 

 

- 인성운으로 흘러 좋은 평판을 얻어 널리 영예로움을 얻었다. 축(丑)대운 축(丑)년 위충현의 모함으로 옥에 갇혀 죽었다. 이는 두 개의 축(丑)토가 미(未)고를 충(沖)한 것이기 때문이다.

 

※ 양련(楊漣)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 호광(湖廣) 응산(應山) 사람으로 자는 문유(文孺), 호는 대홍(大洪)이다. 명(明)나라 때 명신(名臣)이다. 만력(萬曆) 35년(1607)의 진사(進士) 출신으로 벼슬은 상숙지현(常熟知縣), 병부우급사중(兵部右給事中), 도급사중(都給事中), 부도어사(副都禦史)를 지냈다. 위충현(魏忠賢)을 탄핵했다가 하옥(下獄)되어 고문으로 죽었다. 저서로 《양대홍집(楊大洪集)》이 있다. 

 

출처-중국역대인물 초상화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무신월 을축일 병자시 (자시생)

: 임신년주, 무신월주, 을축일주, 병자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32년생 사주이다. 

 

- 연월시에 정관 신(申)금 천을귀인(天乙貴人)과 을축(乙丑)일주 기준의 12신살 망신살(亡身殺)이 월지와 년지에 병립되어 있어 사성 장군을 지내고 후일 정치인이 된 사주이다. 배우자는 을유(乙酉)생 이다. 

 

※ 군인, 경찰직 중 망겁다봉(亡劫多逢) 또는 망겁봉록(亡劫逢祿) 자(者)
: 망신은 자왕(自旺)하여 자만하다가 자망(自亡)한다는 살이고, 겁살은 겁탈하여 합병하고 변혁시킨다는 살로써 전쟁터와 분쟁지역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망겁다봉이면 전쟁이나 분쟁을 방어하고 다스리는 군경직이고, 망겁이 봉록이면 전쟁이나 분쟁 때문에 록(祿)을 받게 되므로 군경직이 된다고 추리한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미생(양띠) 임신월 을미일 갑신시 (신시생)

: 기미년주, 임신월주, 을미일주, 갑신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출처-별난 사람들의 별난 사주이야기 108제 2, 김동환, 여산서숙, 2015.01.05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첩경

- 191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신(申)월 을(乙)일로 본래 신약이나 신(申)궁 임(壬)수가 월상에  투출하여 생신하고 을(乙)목이 일지 미(未)중 을(乙)목에 근(根)하여 아름답다. 그리고 년상 기(己)토 재성은 미(未)중 정(丁)화와 기(己)토에 근하여 생금관(生金官) 하고 신(申)금 관성은 생 임(壬)수하고 다시 임(壬)수 인성은 생일주(生日柱)하니 기(己)토 재성, 임(壬)수 인성, 신(申)금 관성으로 재(財), 관(官), 인(印) 구전(俱全)하여 국제작록(國際爵祿)을 먹어본 귀부인(貴夫人)의 사주이다.

 

※ 삼반귀물(三般貴物) : 사주첩경

삼반귀물이란 정재, 정관, 정인을 말한다.

연해자평 여명(女命) 시결(詩訣)에서 "財.官.印綬 女命逢之 必旺夫라 不能殺多 無混雜이면 身强制伏에 有稱呼라(재.관.인수 여명봉지 필왕부라 불능살다 무혼잡이면 신강제복에 유칭호라)"고 하여 정재.정관.정인의 세가지 물(物)을 귀(貴)라고 하여 명에 잘 배치되어 있으면 그 여인은 크게 귀히 되어 정부인 칭호를 받게 될 것이라고 하였으며,

또 계선편에서는 "남명신강에 우삼기면 위일품지귀라(男命身强에 遇三奇면 爲一品之貴라)"하였는데 소주(小註)에서 삼기란 갑무경(甲戊庚) 을병정(乙丙丁) 기신계(己辛癸)를 말함이 아니고 정관 정인 정재를 삼기(三奇)라고 말하여 이 세 가지 물(삼반물)을 귀중히 여기고 있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물이 동림하여 있으면 자연 그 조정이 잘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니, 가령 신이 약하면 인수로 보신하고 신강이면 관으로써 유제(有制)하고 또 관살이 왕하면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조절하고 인수태왕 관부족이면 재성으로 재자약살(財滋弱殺)하게 되는 것이니 이 삼반물이 사주에 놓여 있으면 대체적으로 귀하게 될 수 있는 소질이 다분히 있게 되는 까닭이라고 하였다.

단왈: 삼반귀물(三般貴物) 일명 삼기인데 日柱高强(일주고강)에 有品大貴(유품대귀)라.
단언하면: 삼반귀물을 일명 삼기라 하는데 일주가 높고 강하면 품계가 크게 귀함이 있다.

 

 

 

◆ 책의 내용 요약 : 별난 사람들의 별난 사주이야기 108제 2

- 이 사주는 신(申)월 을(乙)목이 갑신(甲申)시를 만나서 신(申)금 정관이 월과 시에 있고 년일지의 미(未)토가 토생금(土生金)으로 생조하여 왕하고 미(未)토의 재성 또한 미(未)중 정(丁)화가 있어 화생토(火生土)하며 임(壬)수 인수는 신(申)금 관(官) 위에 앉아 관인상생으로 생조한다. 더불어 사주가 무형무충(無刑武沖)으로 맑고 청귀한 명조이다. 

 

- 청(淸)이라는 뜻은 맑다 즉 청결하다 깨끗하다 라는 뜻인데 여명에 일관일살(一官一殺)로 관살혼잡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부성이 득지하여야 하고 사주에 재(財)가 있어 관(官)을 생하고 인수가 있어 일주를 생조하고 일점의 혼탁도 없을 때 청귀(淸貴)한 것이라 전해지고 있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사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미생(양띠) 병신월 을사일 임오시 (오시생)

: 신미년주, 병신월주, 을사일주, 임오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31년생으로 전(前) 국세청장 부인의 명조이다.

 

- 신축(辛丑)대운인 초기인 1978년 무오(戊午)년에 남편이 도지사에서 국세청장으로 가게 되었다. 본인은 병(病)이 생겼고 같은 해에 친정 부친 상(喪)을 당하였다.

 

- 배우자의 사주는 정묘(丁卯)년 병오(丙午)월 갑오(甲午)일 무진(戊辰)시이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자생(쥐띠) 경신월 을해일 병술시 (술시생)

: 무자년주, 경신월주, 을해일주, 병술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48년생으로 법원지청장을 역임했던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을목일주가 신(申)월 금(金)왕절에 태어야 재성과 관성과 상관으로 인하여 신약(身弱)하게 되었다. 수(水)가 약한 일주를 생하는 용신에 금(金)은 희신이고 토(土) 재성은 사주의 병(病)이며 목(木)은 약신이 된다. 

 

- 위와 같은 사주에서 수(水)가 용신(用神) 혹은 길신(吉神)이면 지방장관 등으로 추론할 수 있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해생(돼지띠) 임신월 을유일 경진시 (진시생)

: 기해년주, 임신월주, 을유일주, 경진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목일주가 초가을 신(申)월에 출생하여 경(庚)금과 임(壬)수가 천간에 모두 투출하여 어느 것으로 격(格)을 잡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생긴다. 하지만 경금이 사령할 때 생하였으니 정관격(正官格)으로 한다. 재관(財官)이 강하고 일주가 약하니 월상의 임(壬)수 인수로 용신을 한다. 목(木) 비견겁은 희신이 된다. 

 

- 그리고 이 사주는 시지의 진(辰)중 무(戊)토 정재와 시상의 경(庚)금 정관과 월간의 임(壬)수 정인은 월지 신(申)금에서 장생이며 년지 해(亥)수에 록근(祿根)한다. 재관인(財官印) 삼귀(三貴)를 놓아 귀격(貴格)의 사주이다. 

 

- 28세 해(亥)수대운에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생활을 하던 중 자(子)수대운을 만나 한층 더 승승장구하게 되었으며 남편도 잘 만나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사주이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신월을목(申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사생(뱀띠) 경신월 을사일 정해시 (해시생)

: 계사년주, 경신월주, 을사일주, 정해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3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을목일주가 초가을 신(申)월에 출생하여 실시(失時)하고 신(申)중 경(庚)금이 투출하여 정관격(正官格)이다. 그리고 년지와 일지의 사(巳)화가 관을 극하고 일주를 설(洩)기함이 심하다. 다행히 시지의 해(亥)중 임(壬)수의 생을 받아 살인상생이 되므로 수(水) 인수가 용신이며 목(木) 비견겁이 희신이 된다. 

 

- 철도청 직원으로 근무하였으나 운이 없어 회사생활에 고생이 많았다. 을(乙)목대운으로 바뀌어 퇴사를 하고 사업 경영을 시작하였지만 을(乙)목이 월상의 경(庚)금과 을경합(乙庚合)이 되어 금전적 손해를 많이 보았다. 

 

- 하지만 50세 묘(卯)목대운부터 희신운이 들어와 사업이 번창하고 돈도 많이 벌게 되어 더욱 잘 살게 된 사주이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