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1) - 재격(財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1) - 재격(財格)

반응형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1) - 재격(財格)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해생(돼지띠) 병오월 임인일 기유시 (유시생)

: 정해년주, 병오월주, 임인일주, 기유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외무부 장관을 지냈던 오조추(伍朝樞)의 사주이다.

 

- 일원을 억부(抑扶)하는 것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이다.

 

- 재성은 왕성하고 일원은 약하다. 다시 월령의 지장간 정관인 기(己)토가 시주의 천간에 투출하였다. 재성과 관성이 모두 왕성하니 일원은 더욱 약해졌다. 그러므로 일원을 생부하는 인성(印星)이 용신이 되며 정관은 용신으로 쓸 수 없다.

 

- 위 명조는 인오(寅午) 화국을 이루고 병정(丙丁) 화와 정관 기토가 투출하였다. 오월의 임수는 일간이 휴수하고 재관이 지나치게 강하니 신약한 일간이 재관을 감당하기 어렵다.

 

- 다행히 년지에 일간의 록(祿)인 해(亥)수가 있고 시지에 유(酉)금 인수가 있어서 일간을 도우니 이를 용신으로 삼는다. 이 사주는 패중유성(敗中有成)이 되었다.

 

 

 

 


 

 

 

 

명조 : 002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임오월 임인일 신해시 (해시생)

: 경오년주, 임오월주, 임인일주, 신해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庚壬兩透(경임양투) 才旺生官(재왕생관) 尙書(상서)

 

- 임(壬)일간이 인오(寅午) 화지에 있으나 시지에 해(亥)수가 일간의 건록이고, 수원(水原)인 경신(庚辛) 금(金)이 투출해 약하지 않다. 강한 화(火) 재성이 오(午)화 중 기(己)토를 생하여 재왕생관이 되고, 신유술(申酉戌), 해자축(亥子丑)의 금수(金水)운으로 흘러 일간이 재관을 감당한다. 사성(尙書)를 지냈다.

 

 

 

 


 

 

 

 

명조 : 003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유생(닭띠) 병오월 임인일 갑진시 (진시생)

: 정유년주, 병오월주, 임인일주, 갑진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태수(太守)를 지냈다.

 

- 진(辰)중 계(癸)수가 있고 연지 유(酉)금이 일간을 돕지만, 지지 인오(寅午) 화(火) 재성국에 병(丙), 정(丁)이 투출이 투출하여 종세격(從勢格)이다.

 

- 화(火) 재성을 돕는 인묘(寅卯) 대운에 발전하였고, 신축(辛丑)대운과 경(庚)대운에는 용신이 대운을 극하여 평범하였다.

 

- 자(子)대운에는 종세(從勢)하는 화(火)를 극하여 사망하였다.

 

 

 

 


 

 

 

명조 : 004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묘생(토끼띠) 무오월 임인일 병오시 (오시생)

: 계묘년주, 무오월주, 임인일주, 병오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병(丙)화가 당권하고 계(癸)수는 무계합(戊癸)으로 화(火)하니 임(壬)수는 말라버린 형국이다. 수(水)가 쇠극(衰極)하여 마치 화(火)와 같다.

 

- 초운이 화(火)운으로 의식이 풍족하였으며, 을묘(乙卯), 갑인(甲寅) 대운에는 명리(名利)가 모두 좋았다.

 

- 계축(癸丑) 대운으로 바뀌어 관성이 쟁합(爭合)을 벌이고 탈재(奪財)하니 재산이 줄고 사망하였다.

 

- 왕(旺)함이 극에 이른 것은 손상이 불가하고 쇠(衰)함이 극에 이른 것은 더함이 불가하다.

 

 

 

 

 


 

 

 

명조 : 005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무오월 임진일 갑진시 (진시생)

: 무진년주, 무오월주, 임진일주, 갑진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이다.

 

- 위 명조는 사주가 다 칠살(七殺)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쁜 것은 진(辰)토가 세 개로 임(壬)수가 고장에 통근한 것이다. 더욱 묘한 것은 금(金)이 없어 시에  투출한 식신으로 제살하니 사주가 아름답게 되었다.

 

- 진토는 목의 여기이니 이것이 바로 일장당관(一將當關) 군흉자복(群凶自伏)이다.

*. 일장당관 군흉자복(一將當關 群凶自伏) : 한 사람의 훌륭한 장수(將帥)가 관문(關門)을 지키고 있으므로 모든 흉노(匈奴)들이 스스로 항복(降伏)을 한다.

 

- 계해(癸亥) 대운에 식신이 생을 만나고 일주가  녹을 얻으니 과갑에 연달아 오르고 갑(甲)대운에는 벼슬이 현령에 이르렀다.

 

- 자(子)대운은 쇠신충왕(衰神沖旺:쇠신이 왕신을 충(冲))하니 사망하였다.

 

 

 

 

 

 

 

 

 

 

 

 

 

 

 

 

 

 

 

 

 

명조 : 006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무오월 임오일 기유시 (유시생)

: 계해년주, 무오월주, 임오일주, 기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임수일주가 왕한 살(殺)이 재(財)를 만나 재살(財殺)이 두려운데 기쁜 것은 계(癸)수와 합이 되고 또한 묘한 것은 계수가 해(亥)수 왕지에 임하니 합하여 화(火)로 화(化)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즉 무(戊)토가 임수를 극하지 않아 유정하다. 합하여 화(火)로 화(化)하면 무정하게 되는 것은 화생토 하기 때문이다.

 

- 대운이 동방 목(木)지일 때는 극토위수(土極衛水)하여 일찍이 청운의 뜻을 이루었고, 대운이 북방(北方) 수(水)운으로 갈 때는 수가 화를 극하여 인수를 보호하니 채용이 마땅하게 되어 도성의 거리를 활보하고 몸을 일사(日舍)에 두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 위 명조는 임수일간이 년주에 계해(癸亥)와 시지에 유(酉)금이 있어 상당한 세력이 있다. 하지만 무기(戊己)토와 강한 오(午)화가 함께 있어 관살이 일간보다 강하고 혼잡하다. 따라가 강한 관살인 무기(戊己) 토를 약화시키는 것이 사주와 일간을 조화롭게 한다.

 

- 위 명조는 천간에 토(土) 관살이 혼잡되어 순수하지 못하므로 제살하여 억제해야 한다. 오(午)화가 해(亥)수로 부터 극을 당해 억제되므로 해중 갑(甲)목으로 혼잡된 관살을 제살할 수 있다. 또한, 천간에도 화(火)가 투간하여 토(土)를 호위하고 있지 않으므로 목극토 할 수 있다.

 

- 따라서 해(亥)중 갑(甲)목을 용신으로 삼고 수(水)를 희신으로 삼는다. 다만 제살하는 갑(甲)목이 지장간에 있어 약하므로 일간을 설(洩)하여 약화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해수와 해중 갑목인 수목(水木)이 편관 무(戊)토를 극하여 계(癸)수를 무계합화(戊癸合火) 하고자 하는 뜻을 제지시킨다.

 

 

 

 


 

 

 

 

명조 : 007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축생(소띠) 무오월 임인일 경술시 (술시생)

: 계축년주, 무오월주, 임인일주, 경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임인(壬寅) 일주가 오(午)월의 술(戌)시에 태어나 살(殺)이 왕한데 또 다시 인오(寅午) 재국을 만나니 살이 더욱 날뛰는 형국이다. 이러므로 객신(客神)은 오(午)화가 아니라 도리어 인(寅)목으로 화(火)의 세력을 돕는다.

 

- 객신(客神)이 기신으로 화(化)하고 무계합(戊癸合)이 화(火)로 변하니 금수(金水)가 다 상해를 입었다.

 

- 을묘(乙卯)대운에 이르러 금수(金水)가 절지가 되어 폐와 신이 막가지고 벙어리가 되었다. 해수(咳嗽)까지 있었는데 갑술(甲戌)년에 목화(木火)가 다 왕하여 사망하였다.

 

※ 적천수 : 객신(客神)

客神游六經而災小(객신유육경이재소)

- 객신(客神)은 기신에 비하여 가벼우나 매몰되지 않고 육도를 돌아다니면 반드시 재앙이 온다. 가령 목이 토의 자리를 돌아다니면 위(胃)에 재앙이 있고, 화가 금의 자리를 돌아다니면 대장이 재앙이 있고, 토가 수의 자리를 돌아다니면 방광이 재앙이 있고, 금이 목의 자리를 돌아다니면 담(膽)이 재앙이 있고, 수가 화의 자리를 돌아다니면 소장에 재앙이 있다.

- 객신이 육경(六經)을 돌아다닌 것은 허한 양의 기운이 천간에 떠 있다는 말이다. 허한 양이 천간에 노출되어 있으면 제하기도 쉽고 화하기도 쉬우니 재앙이 반드시 적다. 즉 병(病)이 천간으로 나타난 것이니 밖에 있는 것은 발산이 쉬어 큰 병으로 가지 않는다. 그래서 적다고 한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천간을 객신이라고 하여 허(虛)하다고 논하거나 지지를 기신이라고 하여 실(實)하다고 논하지는 말아야 한다. 허한 가운데 실함이 있고 실한 곳에도 허함이 있음을 살펴야 한다.

 

 

 

 

 


 

 

 

 

 

명조 : 008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유생(닭띠) 임오월 임오일 계묘시 (묘시생)

: 을유년주, 임오월주, 임오일주, 계묘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

- 고전 명조이다.

 

- 재다신약(財多身弱)하면 재산(財産)으로 인하여 재앙을 받게 된다.

 

- 위 명조는 임(壬)일주가 병정(丙丁) 화로써 재를 삼는데 오(午)월은 재왕절이며 정(丁)화의 록지에 출생하였으므로 비겁이 와서 재성을 두고 싸우게 된다.

 

- 차명은 처로 인해서 화(禍)를 입고 옥중(獄中)에서 사망하였다.

 

- 재성이 있는데 비견이나 겁재가 있으면 비겁이 명중의 재(財)를 가지려고 다투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약한 경우에는 비겁이 있어야 일주를 생조하게 되는 것이니 재다신약(財多身弱)하면 비겁은 기꺼운 길신(吉神)이 된다.

 

- 위 명조가 처액을 당한 것은 재성이 태왕하여 비겁이 있어도 감당할 수 없는 가운데 무인(戊寅)대운 인(寅)목이 재(財)를 방조하고 무(戊)토 칠살이 수(水)를 극멸하므로 비겁은 재(財)에 굴복되고 농락을 당하였기 때문에 마침내 처화(妻禍)를 받은 것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첩경(四柱捷徑)

- 위 사주는 임오일주로 오중 정(丁)화와 기(己)토로써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 격이 기(忌)히는 하(夏)월에 출생하였고 또한 년상의 상관 을(乙)목이 시지에 록근을 세워 그만 불기(不奇)한 격이 되고 말았다.

 

- 묘(卯)목은 임(壬)수의 천을귀인인데 천간에 계수는 양인(羊刃) 겁재로 이것을 귀인두상(貴人頭上)에 대인전(帶刃前)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임수일주는 천원영약(天元贏弱)이 되어 그만 감옥에서 죽고 말았다.

 

 

 

 


 

 

 

 

명조 : 009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유생(닭띠) 무오월 임술일 을사시 (사시생)

: 계유년주, 무오월주, 임술일주, 을사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33년생으로 살화용인격(殺化用印格) 사주이다.

 

- 임수일주가 하지 염천에 생하여 화토(火土)가 성다한 중에 무(戊)토 칠살이 극신하니 일주가 태약하다.

 

- 년간의 계(癸)수가 무(戊)토를 합살(合殺)하며 사유합(巳酉合) 회국으로 금(金)이 용신이다.

 

- 경신(庚申), 신유(辛酉)대운 조년에 부군이 영귀했고, 임술(壬戌)대운은 이해가 상반이다.

 

- 해자(亥子)대운은 금(金)을 극하는 화(火)를 제거하여 길(吉)하며 인(寅)대운은 금(金)이 절지가 되어 불길하다.

 

 

 

 

 


 

 

 

 

명조 : 010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술생(개띠) 무오월 임오일 갑진시 (진시생)

: 무술년주, 무오월주, 임오일주, 갑진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58년생으로 신약비겁용인격(身弱比劫爲用) 사주이다.

 

- 임오(壬午)일주가 오(午)월에 생하여 오술(午戌) 합화로 재성이 태왕하고 사토(四土)의 관살이 있으며 갑(甲)목 식신이 일간을 설기하니 태약하다.

 

- 임오일주는 양간이고 진(辰)중의 계(癸)수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므로 종격은 아니다. 진중 계(癸)수가 용신에 금(金)운은 희신이고 토(土)가 병(病)에 목(木)은 약신이 된다.

 

- 병(丙)대운에 길운은 아니다. 하지만 갑(甲)목이 약신이므로 목성(木聖)인 의상학을 전공하였다.

 

- 진(辰)대운에 임(壬)수가 근을 얻어 길하고 또 관성이 되는데 을축(乙丑)년에 일간을 도우니 성혼하고 다음 해에 득녀하였다.

 

- 을(乙)대운은 약신인 식신을 돕는 가운데 경오(庚午)년에 차녀를 얻었다.

 

- 묘(卯)대운 을해(乙亥)년에 해묘(亥卯) 목이 관성을 극하니 부부가 별거하게 되었고 갑(甲)대운 신사(辛巳)년에 관성을 극하고 병이 되는 토(土)를 생하니 이혼하였다. 이혼은 관성이 기신이고 관살혼잡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 갑(甲)대운 경진(庚辰)년 부터 진(辰)토가 금(金)을 생하고 금(金)이 수(水)를 생하여 커피 매장을 오픈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커피 매장은 수가(水) 길신이기 때문이다.

 

 

 

 


 

 

 

 

 

 

2020/02/19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2) - 재정총장(財政總長)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2) - 재정총장(財政總長)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2) - 재정총장(財政總長) 2020/02/18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1) - 재격(財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1)..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3/13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3) -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3) -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오월 임수(午月 壬水)(3) -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오월임수(午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