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1) - 정관격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1) - 정관격

반응형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1) - 정관격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신미월 임인일 신해시 (해시생)

: 기묘년주, 신미월주, 임인일주, 신해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정관격 사주로 미(未)토의 지장간 기(己)토 정관이 년간에 투출하였다. 지지에 목(木)국을 이루었으나 두 개의 신(辛)금이 이를 해지하였다. 상관을 만났으나 인수를 가지고 있으니 사주가 맑게 되었다.

 

- 정관격에 식상이 있고, 인수가 용신일 때는 반드시 인수가 중한지 경한지를 분별해야 한다. 만약 상관이 중하고 인수가 중첩하여 있으면 관인(官印)의 운이 좋고 재운은 크게 꺼린다. 반대로 인수가 중첩하여 있으면 식상을 써서 일원의 기를 설기함이 좋고 재운도 인수를 극하니 좋다.

 

- 임인(壬寅)일주가 지지가 목(木)국이 되니 정관 미(未)토가 상관 목(木)으로 변하고, 일지가 상관이니 일원의 설기가 심하다.

 

- 신(辛)금이 식상을 제압하고 일주를 돕는 용신이다. 기(己)토 관성은 인수를 생활뿐이다. 상관이 중하고 인수가 가볍다.

 

- 기사(己巳), 무진(戊辰) 20년간 관살이 인수를 생하니 좋았다. 정(丁)대운 이후로 재(財)가 인수를 파하니 나쁘다.

 

 

 

 

 


 

 

 

 

명조 : 002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오생(말띠) 기미월 임신일 신해시 (해시생)

: 무오년주, 기미월주, 임신일주, 신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일주 좌하의 인수가 재살(財殺)의 기를 인통(引通)하여 일간을 생한다. 운이 서북 금수(金水)지로 주행하므로 소년에 과갑하였다. 관고에 쌓인 책만큼이나 경륜이 풍부했고, 사람들은 그를 문장력이 우수한 보불(黼黻)의 공으로 추대했으며, 최과(催科)에서 무우(撫宇)를 장악했고, 세상에 훌륭한 빛이 되었다.

 

- 위 명조는 금수(金水)와 화토(火土)의 세력이 비슷하다. 하지민 오미합(午未合)이 되어 있고 해(亥)수가 오(午)화랑 떨어져 있어 화(火)를 극하지 못하므로 마치 편관 술(戌)토처럼 관살의 세력이 강하고, 천간에 무(戊)토와 기(己)토가 모두 있어 관살이 혼잡하다. 따라서 식상으로 제살하거나 인성으로 화살(化殺)하여 강한 관살을 약화시켜야 한다.

 

- 위 사주는 목(木)으로 토(土)를 극하지 못하므로 목으로는 관살 혼잡을 제거할 수 없다. 식상인 목은 오(午)화를 생할 뿐 미(未)토를 극하지 못한다. 오미합(午未合), 사미합(巳未合), 오술합(午戌合), 사술합(巳戌合) 처럼 화토(火土)가 붙어 있고 화(火)가 수(水)로 부터 극을 당하지 않으면 목이 화(火)로 설기를 당하므로 목극토가 불가하다.

 

- 따라서 위 사주는 관살을 설하는 정인 신(辛)금과 편인 신(申)금을 용신으로 하고 방신하는 수(水)를 희신으로 삼는다.

 

 

 

 

 


 

 

 

 

 

명조 : 003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진생(용띠) 을미월 임진일 갑진시 (진시생)

: 병진년주, 을미월주, 임진일주, 갑진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임(壬)수 일간이 미(未)월의 휴수(休囚)지에 생했으나 자신의 고(庫)에 통근했다. 진(辰)토는 능히 수(水)를 저장하여 목(木)을 기르는데, 통근한 갑을(甲乙)이 같이 투출하여 토(土)를 극하므로 자식인 목이 모(母)인 수(水)를 생한다는 아능생모(兒能生母)이다.

 

. 작은 혐의는 병(丙)화가 목(木)을 설하여 토(土)를 생하므로 공명은 일금(一今)에 불과 했다. 하지만 묘하게도 중만 년의 운이 동북 수목(水木)으로 (돈이나 곡물을 납부하고 벼슬을 얻는) 연납(捐納)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직위가 번얼에 이르렀고 부(富)는 백여만에 이르렀다.

 

- 위 명조는 지지가 전부 토(土)로 구성이 되어 있다. 강한 살을 제살하여야 하므로 갑(甲)목을 용신으로 삼고 수(水)를 희신으로 한다.

 

- 지지의 토를 극하지 위해서는 수(水)나 목(木)이 있어야 한다. 본 사주는 지지에 수목(水木)은 없지만 지장간에 수목(水木)이 소장되어 세력이 있으므로 목극토가 가능하다. 또한, 제살하는 갑목은 천간에만 있어 세력이 강하지 못하므로 약한 일간을 과도하게 설하여 약화시키지 않는다.

 

- 다만 편재 병(丙)화가 화생토하여 목(木)이 토를 잘 극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이 사주의 병(病)이다. 따라서 반드시 운에서 수목(水木)운이 와야 길하고 화토(火土)운이 오면 흉하다.

 

 

 

 

 

 

 

 

 

 

 

 

 

 

명조 : 004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진생(용띠) 을미월 임오일 계묘시 (묘시생)

: 병진년주, 을미월주, 임오일주, 계묘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초년 병신(丙申), 정유(丁酉) 대운은 화(火)가 신유(申酉)를 위에서 덮고(蓋頭개두)있어 신유(申酉)가 수(水)를 생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재물과 기쁨이 모두 많았다. 무술(戊戌) 대운에는 가업이 풍요했다. 기해(己亥)대운은 토(土)가 무근인데 지지가 목(木)국으로 회합하는 것이 좋으므로 재산의 손실은 있었지만 대환은 없었다. 하지만 경자(庚子)대운에 이르러 가정을 파(破)하고 사망하였다.

 

- 임수가 강한 목화(木火)로 설기가 지나치다. 억제할 금(金)인 인성이 없다. 만약 진(辰)토가 오(午)화 바로 옆에 있었다면 화(火)를 설하여 약화시키면서 임수 일간을 도울 수 있다. 하지만 진토는 오화와 떨어져 있어 화(火)를 설(洩)하여 약화시키지 못하므로 임수 일간을 돕기 어렵다.

 

- 따라서 금수(金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종격(從格)이 되었다. 진미(辰未) 토는 목이 극하고 있어 수(水)를 극하는 관성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그렇기에 토(土)를 용신으로 쓰지 않는다. 약한 일간을 더욱 약화시키는 목(木)을 용신으로 삼고 목의 설기를 강화시키는 화(火)를 희신으로 삼는다.

 

- 목을 강화시키는 미(未)토와 화를 강화시키는 술(戌)토는 모두 좋은 운이다.

 

 

 

 

 


 

 

 

 

 

명조 : 005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신미월 임술일 무신시 (신시생)

: 갑신년주, 신미월주, 임술일주, 갑신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미(未)월의 임(壬)수는 신갑(辛甲)이 존신(尊神)이고 경(庚)금은 그다음이다.

 

- 위 사주는 신(辛)금과 갑(甲)목이 모두 투출하여 갑(甲)목이 무(戊)토와 기(己)토를 파하고, 신술(申戌) 사이에 유(酉)금이 공협되어 있다. 유(酉)대운에 임자(壬子), 계축(癸丑)년에 크게 발복하여 일약 도독(都督)이 되었다.

 

 

 

 

 

 

 


 

 

 

 

 

 

 

명조 : 006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술생(개띠) 기미월 임오일 을사시 (사시생)

: 무술년주, 기미월주, 임오일주, 을사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위 명은 임일주가 토왕절에 생하여 만국이 화토(火土)라 양간이라도 일점의 의지할 곳이 없어 종살격(從殺格)이 되었다. 을(乙)목이 뿌리가 있으면 상관으로 용(用)이 되겠으나 뿌리가 없어 용신이 못되므로 가종격(假從格)에서 을목이 병(病)이 된다.

 

- 경신(庚申), 신유(辛酉)대운에 부귀가문에 생장하여 임(壬)대운 중에 가정에 사소한 액이 있었고, 술(戌)토대운에 화토(火土)가 왕하므로 을목이 쇠약하니 명리와 재물이 대발하였다. 술토운은 화토(火土)의 입묘운이나 병이 되는 목(木)을 억제함이 더욱 중요하므로 입묘됨이 가벼운 연고이다.

 

- 해(亥)대운은 해미(亥未) 합으로 목(木)세가 왕성하여 토를 극하므로 애석하게 요사(夭死)하니 사주의 진리는 병불병(病不病)이 극히 중요하다.

 

 

 

 

 


 

 

 

 

명조 : 007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축생(소띠) 기미월 임자일 갑진시 (진시생)

: 계축년주, 기미월주, 임자일주, 갑진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73년생 사주이다.

 

- 군에서 구타를 당하여 정신이상이 왔다고 모친이 정부에 소송을 제기한 2014년 2월에 상담을 왔다.

 

- 위 명조는 15년간 정신병원에 입원 중이다. 출생 시는 오전 7시 55분으로 정확한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월령이 정(丁)화 정재이다. 재격이 자진(子辰) 수국과 충미충(丑未冲)으로 재(財)가 파괴되어 재격의 파격이 되었다.

 

 

※ 개인

- 토다수탁(土多水濁)의 구조이다. 팔자에 인성 금(金)이 약하여 토(土)와 수(水)의 문제를 화해시켜줄 수 없다. 또한 군대를 간 대운은 병진(丙辰)대운으로 관살혼잡이 지나치며 일간이 입묘(入墓)함과 동시에 편관이 득세하는 때이다. 식신제살을 할 때에 정관이 개입되면 혼란하게 된다. 또한 위 사주는 미월의 기토가 갑목과 갑기합(甲己合)으로 갑(甲)목이 묶이는 것과 동시에 갑기합토가 되어 무(戊)토 칠살로 화(化)하려 한다. 활동력의 상징인 식신이 묶인 것과 살(殺)을 추가하려는 작용이 강하다. 천간은 정신적인 것으로 정신적인 곳에 허상의 살(殺)이 들어온다.

 

- 또한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때는 습토인 진(辰)토 대운 후반과 습목인 상관 묘(卯)목 대운으로 상관견관과 함께 습(濕)한 사주를 더욱 습하게 만드니 정신적 문제나 우울증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수(水)와 목(木)의 문제에서 정신적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임자(壬子)일주와 기미(己未)월주는 자미원진(子未元嗔)으로 정신적 문제를 동반할 소지가 있다. 

 

- 년간에 임수의 양인(羊刃)인 계(癸)수 겁재(劫財)가 투간하였는데 계수 입장에서 겁재가 축(丑)토의 관대지에 좌하여 있다. 12운성 관대(冠帶)지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때는 사람을 이유 없이 괴롭히는 것이다. 왕따 시키는 사람 중에 관대(冠帶)지나 양인(羊刃) 등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계축(癸丑) 백호대살이 자축합으로 일지로 끌려 들어온다. 역시 자축합이 추가적으로 살(殺)로 화(化)한다.

 

- 일간이 강한 양간(陽干)의 재격이 관성이 강하여 재성(財星)의 설(洩)기가 심하다. 또한 지지에 천살과 월살, 화개살이 중중하여 삶에 막힘이 많다.

 

*. 자미두수(紫微斗数) 명반을 살펴보면 위 사주는 20대 초반에 태양화기(太陽化忌)를 삼방사정 중 대한의 관록궁에서 맞는다. 태양화기(太陽化忌)는 삐뚤어진 남성성으로 피해를 보는 것이다. 관록궁은 직장이나 조직 단체를 의미한다.

 

 

 

 

 

 

 

 

 

 

 

 

 

 

 

 

명조 : 008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묘생(토띠) 을미월 임술일 계묘시 (묘시생)

: 신묘년주, 을미월주, 임술일주, 계묘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51년생 사주이다.

 

- 임수일간이 미(未)월에 생하여 일지에 술(戌)토를 있어 극수(克水)하고 세 개의 상관이 일간을 설기하여 신약하고 조열하다. 그렇기에 시상의 계(癸)수가 용신이고 정인 신(辛)금이 희신이다. 제수(除水)하는 토(土)가 사주에 병(病)이며 목(木)은 소토하는 약신이 된다.

 

- 초년 신유(申酉)대운은 희신이 되어 길하였고 유(酉)대운 계축(癸丑)년은 대운이 도화 충(冲)하고 용신을 도우니 결혼하였다.

 

- 유(酉)대운 식상인 을묘(乙卯)년에 희신을 도화 득남하고 무술(戊戌)대운과 기(己)토대운은 사주의 병(病)이 득세하여 부군의 박봉 등으로 생활고를 겪었으며 백사무성이였다.

 

- 해(亥)대운은 용신대운으로 북방 수(水)기가 있는 인천에서 숙박 사업으로 발재하였다. 수(水)가 길신이면 숙박 서비스업을 할 수 있다.

 

- 향후 자(子)대운과 신(辛)대운은 용희신 대운으로 길(吉)하다. 그러나 축(丑)토 대운은 축술미(丑戌未) 삼형이 성국되어 관재구설, 건강, 부군의 문제 등이 염려된다. 또한 임수(壬戌)일주는 백호 괴강일주이고 신묘(辛卯)년주의 공망이 오미(午未)공망으로 월지 정관이 공망이 된다. 축(丑)토 대운에는 신묘(辛卯)년주 기준으로 고진과숙에 해당이 되어 부군이 크게 걱정된다.

 

 

 

 

 


 

 

 

 

명조 : 009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사생(뱀띠) 기미월 임신일 계묘시 (묘시생)

: 계사년주, 기미월주, 임신일주, 계묘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3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임(壬)일생이 미(未)월에 생하여 기(己)토가 투출하여 정관격 사주이다.

 

- 지지가 사미(巳未)로 화국이며 시지 상관 묘(卯)목이 임수를 설하고 정관은 일간을 극하여 일주가 신약하게 되었다. 금(金) 인수가 용신이며 수(水) 비견겁이 희신이다. 

 

- 30대 초반 계해(癸亥)대운에 음식업 사업을 경영하여 수억금을 벌었다.

 

- 갑(甲)대운에는 월상의 기토가 합거되어 손해를 보았고 자(子)수대운에는 다시 사업이 번창하여 수억을 또 벌었다. 이렇게 운이 잘 들어오면 무엇을 하든 성공할 수 있다.

 

 

 

 

 


 

 

 

 

명조 : 010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을미월 임진일 경술시 (술시생)

: 신유년주, 을미월주, 임진일주, 경술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위 사주는 진(辰)일생이 사주에 다시 술(戌)토를 만나 경찰관 총경이 되었다.

 

※ 경찰관 사주 : 사주첩경

- 생일 기준으로 형살(刑殺: 삼형, 자형 등)이 있는 자
- 사주 중에 수옥살(囚獄殺)이 있는 자
- 천라지망인 진(辰), 술(戌), 사(巳), 해(亥)일생이 사주 중에 다시 진(辰), 술(戌), 사(巳), 해(亥)를 만난 자
*. 위와 같은 사주가 경찰과 같은 구속, 수사 등과 관련된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도리어 감금, 포로, 납치 등을 당하게 된다.

 

 

 

 

 


 

 

 

 

 

 

 

 

2020/02/21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2) - 경찰서장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2) - 경찰서장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2) - 경찰서장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사생(뱀띠)..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3/09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3) - 관살용재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3) - 관살용재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3) - 관살용재격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