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3) - 관살용재격
- 여름생 삼하(三夏)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을미월 임인일 기유시 (유시생)
: 신유년주, 을미월주, 임인일주, 기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전 헌병사령관을 역임했던 장군의 사주이다.
- 임수가 미(未)월에 생하여 기(己)토가 사령할 때며 시상에 기(己)토가 투간하여 정관격 사주이다. 사주의 병(病)은 정관과 함께 을(乙)목 상관이 투출한 것이다. 이 상관을 제거하는 신(辛)금이 약신이다.
명조 : 022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진생(용띠) 을미월 임신일 경술시 (술시생)
: 병진년주, 을미월주, 임신일주, 경술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76년생 사주이다.
- 임수일간의 흐름을 방해하는 관살인 토(土)의 기운을 금(金)으로 통관하므로 오행의 순환 상생이 잘 되어 있는 연예인의 사주이다.
※ 통관(通關)
- 두 기가 대립하여 다투고 있을 것 같으면 상생으로 뚫어서 유통시키고 화해시켜야 한다.
- 일주로 명주를 살펴볼 때, 격국의 상황이 기가 막혀 있으면 그 막힌 기가 뚫려야 명조의 기운이 화평하게 된다.
※ 개인
- 위 명주는 신묘(辛卯)대운 후반에 상관이 강해지는 시기에 이혼하였다. 현재에도 방송에 나오고 있다. 하지만 팔자에 토(土)가 강하여 발전에 한계가 있다. 년주와 시주에 진술(辰戌)이 충(冲)하고 월지에도 토가 강하게 있어 목극토나 목생화하는 활동으로 크게 빛을 못 보고 있다.
- 토생금하는 직업을 갖게 되었다면 발전성이 더 높았을 것이다. 토생금은 다 정립된 가치체계를 공부하여 그것으로 자신을 높이는 것이다. 임수일간이 위 팔자처럼 년주에 한 개의 병(丙)화가 투출하면 빛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병(丙)화는 대중성이다.
명조 : 023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소띠) 신미월 임인일 갑진시 (진시생)
: 기축년주, 신미월주, 임신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배우자 인연법 : 좌하배성(坐下配星)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
- 위 임일생의 일지에 편재 인(寅)목이 있고 그 지장간에 배성인 재성 병(丙)화가 투출하여 처가 되니 병(丙)화가 투출한 병신(丙申)생 여인이 처가 된 사주이다.
명조 : 024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오생(말띠) 계미월 임신일 경자시 (자시생)
: 경오년주, 계미월주, 임신일주, 경자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위 사주는 정관격으로 정관용재격이다.
- 태어난 달이 화왕절이나 타지에 금수(金水)가 태왕하여 오(午)화가 용신이 된다. 목화(木火) 대운에 발복한 명조이다.
※ 관살용재격(官殺用財格) : 명리강론
- 정관격이나 편관격이면서 재성이 용신이 되는 경우다. 신왕하고 관왕한데 신이 더왕하여 재가 관살을 자양하면 크게 발복하며 높은 자리로 나아간다. 반드시 먼저 재산을 모은 다음에 명예를 구하게 된다.
- 재계에 종사하다가 관계나 사회단체로 진출한다. 대체로 가문을 일으키고 자기 가문을 대표한다.
- 신왕관왕하면 귀인이 되고 신이 태왕하고 재관이 쇠악하면 평민이 되며 신이 쇠하고 재살이 태과한데 인비 용신이 부실하면 천민이 된다. 신왕하고 재관이 건강하면 좋은 명조이다.
명조 : 025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신미월 임진일 갑진시 (진시생)
: 갑신년주, 신미월주, 임진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임진(壬辰)일주가 식상이 천간에 두 개가 있고 지장간에 3개가 있다. 식상이 다섯이라 장모가 여럿인데 또한 일지에 신진합(申辰合)으로 식신이 합신하여 장모를 모시고 산다.
※ 조모중봉 : 식상다자 / 식상다봉
- 조모는 부친(편재)의 모친(인수)이 되므로 식신과 상관이 된다. 그런데 이 식신 상관이 팔자에 3자 이상 있으면 여러 조모를 모셔보거나 또 다른 조모가 계신다는 추리를 할 수 있다.
- 식상다봉자는 조모가 여러 분있거나 장모가 여러 분인 경우가 많다. 장모도 처(재성)의 모친(인수) 즉 식상이 되기 때문이다.
- 식상다봉자는 두 명의 조모를 모셔보거나 장모를 모시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유 연재주의자가 아니면 식색 탐미주의 자도 많다.
- 식상다봉은 남녀를 불문하고 속마음이 여리고 헛 인정이 많으며, 분위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 본의 아닌 실정이 두렵고 살 그리움이 많아 정을 찾아다니는 방황이 염려된다.
명조 : 026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소띠) 신미월 임술일 을사시 (사시생)
: 기축년주, 신미월주, 임술일주, 을사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명주의 부친도 의사였고 본인도 의사이다. 대를 이어서 의사를 하는 집의 사람이다.
- 팔자에 축술미(丑戌未) 삼형살(三刑殺) 전국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렇게 丑戌未 삼형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 의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명조 : 027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사생(뱀띠) 정미월 임인일 임인시 (인시생)
: 정사년주, 정미월주, 임인일주, 임인시주
출처-계의신결(稽疑神訣), 최국봉, 태중출판사, 2015.11.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명조는 천간에 양정(兩丁)과 양임(兩壬)이 서로 합하였으나 월령이 미(未)월로 목고(木庫)이고 갑(甲), 을(乙)목이 투출하지 않아 정임합화격이 성립되지 못하였다.
- 사(巳)화와 미(未)토 사이에 오(午)화가 공협되어 있어 재근이 풍족하다. 대부(大富)를 획득한 사주이다.
- 갑인(甲寅) 대운으로 바뀌어 화(火)기를 조장하여 불록(不祿)하였다.
- 위 명조는 재가 왕성하나 대서(大暑) 후에 출생하여 장차 금수(金水)의 진기(進氣)할 때임으로 재다신약으로 볼 수도 있다.
명조 : 028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신생(원숭이띠) 기미월 임진일 신축시 (축시생)
: 무신년주, 기미월주, 임진일주, 신축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68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관살인 토(土)가 강하다. 일주가 신약하게 되어 인성을 용신으로 하여 태왕(太旺)한 토(土) 관살을 설(洩)하여 일간을 생한다. 또한 팔자에 토(土)가 강하여 토(土)를 제거하는 목(木)이 약신이며 화(火)는 사주에 병이 되고 수(水) 비겁이 또 하나의 약신이다.
- 초년 금(金)대운에 용신을 도우니 부가(富家)에서 성장하였고 대학을 졸업하였다.
- 술(戌)토 대운은 사주의 병(病)인 왕토를 도와 길운이 아니었다.
- 계(癸)수 대운부터 약신이 되니 길(吉)한데 이때부터 의료기 판매사업을 시작하였다. 의료기는 신(辛), 신(申)의 현침성이 있으며 수(水)는 유통인데 수(水)가 길신이기 때문이다.
※ 개인
- 오행적으로 토(土)는 암(癌)을 상징하기도 한다. 팔자에 토(土)가 많으면 암(癌)관련에 대하여 각별하게 유념을 해야 한다.
명조 : 029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신생(원숭이띠) 신미월 임신일 신해시 (해시생)
: 갑신년주, 신미월주, 임신일주, 신해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20대 초반에 결혼하여 살다가 남편이 첩을 얻어 20대 중반에 이혼하고 말았다. 아들 2명을 두고 나왔다.
- 정관격이나 시간에 건록에 팔자에 금(金) 인수가 왕하여 관(官)이 설기가 심하다. 이렇게 되면 남편 복이 약하게 된다.
명조 : 030
◆ 임수일간(임수일주)
미월임수(未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정미월 임신일 병오시 (오시생)
: 임진년주, 정미월주, 임신일주, 병오시주
출처-김석귀의 사주(四柱) 감정서, 김석귀, 지식공감, 2013.08.22
◆ 책의 내용 요약
- 1952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재관이 강하여 강한 관살을 설기하는 금(金) 인성이 용신이고, 수(水) 비겁이 희신으로 일간을 보호해야 한다. 살중용인격이다.
- 임(壬)대운에 정임합목으로 구신운이 된다. 식상이 구신이면 무엇인가 시작하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 임대운 신사(辛巳)년에 사(巳)중 병화가 임수의 힘을 약화시킨다. 식당업을 하고 있었는데 사업이 부진하여 정리하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려고 고민하고 있었다. 여관업을 하려고 준비한다고 하였다.
※ 개인
- 자(子)대운은 수(水)운으로 숙박, 펜션, 스파 등 힐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수(水)가 길성이라야 하고 기신이면 그것으로 인하여 문제가 되는 것이다.
2020/02/20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1) - 정관격
2020/02/21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미월 임수(未月 壬水)(2) - 경찰서장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