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2) - 인수격(印綬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갑자월 갑술일 갑자시 (자시생)
: 무진년주, 갑자월주, 갑술일주, 갑자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68년생으로 황금영(黃金榮)의 명조이다.
- 자(子)수와 진(辰)토가 신(申)금을 공협하고 자(子)수와 술(戌)토는 해(亥)수를 공협하니 해(亥)수와 신(申)금은 건(乾)궁과 곤(坤)궁이다. 지지에서 모르게 모이는 길한 기운이다. 이름하기를 공협하여 천관지축격(天關地軸格)이라 한다. 마땅히 극도로 출세한다.
- 하지만 애석하게도 무진(戊辰)생의 공망이 술해(戌亥)공망으로 신(申)금과 해(亥)수가 함께 공망에 떨어져 완전하지 않아 허망하다. 천하를 태평하게 다스리고자 하나 하늘이 위험하다고 말린다.
※ 황금영(黃金榮)
- 강소 소주 사람으로, 그의 가문은 절강 여요, 옛 상해의 청방 우두머리 집안이었다. 1920년대, 1930년대에 두월생과 함께 "상해 3대 대형"이라고 불렸는데, 상해 사람들은 "황금영 애전, 장소임 선타, 두월생 회주"라고 이야기했다. 황금영은 중국 공산당의 반혁명 진압 운동으로 유명한 인물이기도 하다.
▼ 황금영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포스팅
상해암흑가 3대보스의 최후
:realImgView('http://cfs5.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MDRkd2NAZnM1L...
blog.naver.com
명조 : 012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경자월 갑자일 병인시 (인시생)
: 신유년주, 경자월주, 갑자일주, 병인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목이 중동에 생하여 목은 쇠하고 금(金)은 차갑다. 화(火)를 써서 따뜻하게 하여야 한다. 화(火)를 쓰는 것은 금(金)을 또한 제하는 뜻도 있다. 하물며 시에 록왕이 있고 일양(一陽)이 해동하니 이른바 차가운 때 따뜻함을 만나 발영(發榮)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로 목(木)은 반드시 화(火)를 얻어야 생발한다. 이러므로 과갑에 연달아 오르고 벼슬이 시랑(恃郞)에 이르렀다.
명조 : 013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무자월 갑진일 을해시 (해시생)
: 경인년주, 무자월주, 갑진일주, 을해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음)1950년생으로 합살조후격(合殺調候格)의 사주이다.
- 갑(甲)일주가 동지 후에 생하여 세지(歲地)에 인(寅) 록(祿)이 있고 을해(乙亥)시에 장생이 되니 신왕한 사주다. 경(庚)금 칠살이 투출하여 무(戊)토의 생조함을 받으며 을(乙)목 비겁이 칠살 경(庚)금을 합거하니 귀격이다.
- 인(寅)중 병(丙)화가 기가 부족하여 조후가 못되며 대운이 동남(東南)으로 되었으나 대운 천간에 경금과 신금, 임수와 계수가 개두되어 발달이 적은데 좌하에 재고(財庫)가 있으므로 내조가 많을 것이다.
- 이 명이 병인(丙)寅시에 났으면 무토가 제습하고 병(丙)화가 조후하여 남방운에 크게 대부귀하였을 것이다.
명조 : 014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술생(개띠) 무자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경술년주, 무자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김선구, 온북스, 2014.02.20
◆ 책의 내용 요약
- 1910년생 사주이다.
- 차명은 갑자(甲子)일 갑자(甲子)시로 자요사격(子遙巳格)을 이루었다. 자(子)월에 출생하여 일주는 신왕하다. 월상 무(戊)토가 인성 자(子)수를 극하여 인성작용을 못하게 한다고 하나 시상에 양간인 갑(甲)목이 투간하여 무(戊)토를 제(制)하고 또 무토가 칠살을 생금(生金)하니 인성이 용신이다.
- 인묘진(寅卯辰) 동방운에 경찰에 투신하여 충남 도경(道警)의 요직에서 근무하였다. 경술생의 12신살 수옥살이 자(子)수에 해당이 된다. 수옥살이 주중에 많이 있어 경찰과 인연이 되었다. 계사(癸巳)대운 경자(庚子)년에 퇴직하게 되었다.
※ 자요사격 : 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 자요사격의 용신은 자(子)수가 생왕한 것을 가장 좋아하고 기신은 자(子)수가 형충(刑沖)하고 합거하면 사(巳)화를 요합하지 못하여 좋지 못하다. 세운에 경(庚), 신(申), 신(辛), 유(酉) 금을 꺼리고 축(丑)토는 합이되고 오(午)화는 자오충이 되어 가장 나쁘다. 또한 사(巳)화와 관성이 전실(塡實)되어 나타나면 파격이 된다.
명조 : 015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병자월 갑오일 기사시 (사시생)
: 기묘년주, 병자월주, 갑오일주, 기사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39년생 사주이다.
- 명리학의 해법은 왕약한열(旺弱寒熱)의 조화에 있다. 자(子)월의 갑목이 자(子)수의 생을 받아 왕지이나 팔자중 다섯자가 식상과 재성이니 설기가 심하여 왕이반약(旺而反弱)이다. 따라서 묘(卯)목에 의지하고 자(子)수의 생을 받아야 한다. 즉 인비생부하여야 한다. 자묘형(子卯刑)과 자오충(子午沖)이니 용신으로서는 흠이 있으나 그 외의 의지처는 없다. 따라서 묘(卯)목이 용신에 자(子)수가 희신이다.
- 초년 수목(水木)운에 부가(富家)에서 생장하여 공부도 잘하여 명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였다. 계(癸)수 대운 중 행정사무관으로 행정부처에 근무할 때는 전도가 밝았다. 그러나 유(酉)대운 말에서 임(壬)대운으로 바뀌는 교운기에 교통사고로 왼쪽다리가 불구가 되니 이는 원국에 기기사(己己巳) 곡각살에 자오충(子午冲)하고 묘(卯)목 용신과 유(酉)금이 상충하는데 사고 당시는 해(亥)월로 사해충(巳亥沖)으로 육충이 전비하였기 때문이다.
- 임(壬)대운에 화(火)가 기신에 견수현절하여 흉한데 무오(戊午)년에 좌하와 쟁충이 되고 용신인 목(木)이 사지(死地)가 되니 상처(喪妻)하였다.
- 신(申)대운에 신자(申子) 합수로 희신을 도와 길한데 신(申)운이 관운이 되고 사(巳)화와 사신형(巳申刑)이 되는데 1980년 신유(辛酉)년에 용신인 묘(卯)목을 묘유충하니 퇴직하게 되었다. 하지만 같은 대운 1983년 계해(癸亥)년 이후 사업으로 크게 성공하여 성공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다.
- 신(辛)대운은 기신인 병(丙)화를 합거하니 길하였다. 미(未)토 대운은 신약에 양인을 묘미(卯未)합하여 용신이 되니 득재하였다.
- 경(庚)대운을 지나 오(午)대운에는 자오가 쟁충에 용신 묘(卯)목이 사지(死地)에 들어 흉할 것이다.
- 신약사주가 양인에 의지하고 있을 때 양인을 충(沖)하면 불측지변고(不側之變故)가 일어나고, 양인과 합을 하게 되면 용신이 실하여 길하다.
※ 견수현절(見水顯絶)
: 화(火)가 길신인 때는 병(丙)화 즉 태양이 임(壬)수 강호수를 만나면 태양이 강호수에 반사되어 더욱 빛나는 것처럼 길(吉)운이 되고, 화(火)가 흉신일 때는 병(丙)화가 임(壬)수를 만나면 흉(凶)운이 됨을 말한다.
명조 : 016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곤명, 여명)
: 임오생(말띠) 임자월 갑자일 정묘시 (묘시생)
: 임오년주, 임자월주, 갑자일주, 정묘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3년생 사주이다.
- 경술(庚戌)대운 ~ 기유(己酉)대운 교운기인 29세경에 남편과 사별하였다. 슬하에 두 아들이 있다.
- 위 사주는 남편을 나타내는 관성 금(金)이 없다. 무관 사주이다. 관성 금(金)이 12운성 포태법상 부부궁 일지에서 사(死)지가 되니 남편 복이 사라졌다.
- 유(酉)대운에는 자(子), 오(午), 묘(卯), 유(酉)의 사충(四沖)이 구비되므로 흉운이다. 사주에 도화살(桃花煞)이 많아 술집을 차려서 운영 중이었다. 유(酉)대운인 37세 때 상담한 사주이다.
명조 : 017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오생(말띠) 갑자월 갑자일 정묘시 (묘시생)
: 무오년주, 갑자월주, 갑자일주, 정묘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78년생 사주이다.
- 오(午)중의 정(丁)화가 자식의 별이다. 자오충(子午沖)이 다봉충(多逢沖)하고 오(午)화가 자(子)수에 극이 되어 불구자식을 두게된 사주이다.
※ 불구자손(여명기준) : 명리강론
1) 상식심약(傷食甚弱)에 다봉인수(多逢印綬) 자
:여명의 상식은 자녀가 된다. 그 상식이 재관인을 다봉(多逢)하면 휴수사(休囚死)로 약하고 부실한데, 다시 상식을 극하는 인수(印綬)를 다봉하면 상식에 해당되는 자녀가 다치거나 부실하여 불효자식이나 불구자손이 된다고 추리한다.
2) 상식불균(傷食不均)에 임흉살성(臨凶殺星) 자
: 자녀가 되는 상식이 건실하지 못하고 오히려 형(刑), 충(沖), 다봉극(多逢剋), 공망, 귀문관살, 단교관살 등을 만나면 불구자손이나 불효자식 때문에 마음고생이 많다고 추리한다.
명조 : 018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오생(말띠) 경자월 갑인일 정묘시 (묘시생)
: 병오년주, 경자월주, 갑인일주, 정묘시주
출처-김석귀의 사주(四柱) 감정서, 김석귀, 지식공감, 2013.08.22
◆ 책의 내용 요약
- 1966년생 사주이다.
- 갑(甲)목일주가 지지에 통근하고 인성까지 있어 신강하다. 사주에 강한 것은 화(火)성인 식상이다. 식상이 강하면 피해를 보는 것은 관성이다. 구제할 수 있는 오행은 수(水)성과 토(土)성 두 오행이다. 수(水)성을 용신으로 잡으면 비겁이 신강이라 쓸 수가 없고 토(土)성인 재성에게 부탁하여 식상을 설기하고 관성을 상생으로 보호해야 한다.
- 재성 토(土) 용신, 관살 금(金) 희신, 비겁 목(木) 기신, 인성 수(水) 구신, 식상 화(火) 한신이다.
- 병(丙)화대운에 식상인 화(火)가 관성을 공격하므로 관성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신사(辛巳)년에 신(辛)금이 병(丙)화와 병신합수(丙辛合水)하여 임(壬)수가 되는데 임수는 편인이고 구신(仇神)이다. 인성이 문제가 되면 문서나 이성문제가 불길하다. 이때 남편과 별거중이었고 애인이 있었다. 그런데 또 다른 남자가 와서 애인을 하자고 해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명조 : 019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유생(닭띠) 임자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정유년주, 임자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7년생 사주이다.
- 갑목일주가 중동(中冬)에 출생하고 득령하고 일지 자(子)수에 인수가 투출하여 신왕사주다. 신왕사주는 관살로 일주를 제하거나 식상으로 설기해야 한다. 년지의 정관 유(酉)금은 수왕한 팔자를 생하는 금(金)이라 용신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용신을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용신을 생하는 것이 용신이 되어 시간의 무진(戊辰) 토(土) 편재가 용신이며 금(金) 관살은 희신이 된다.
- 위 사주는 예능에 재능이 많았으나 운이 없어 고생을 많이 하였다. 하지만 진(辰)토대운으로 바뀌어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돈을 많이 벌었다.
- 정(丁)화대운에는 월상의 임(壬)수와 정입합목(丁壬合木)이 되어 재산을 탕진하게 되고 그 이후로 다시 운이 없어 고생을 하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20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신생(원숭이띠) 무자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경신년주, 무자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21년생으로 대학총장을 지낸 사주이다.
- 년월일시 삼중인수(三重印綬) 순수하게 격이루면 대학교수 학총장에 고상학자 분명하다.
- 생년에 지살(地殺)이 있으니 동양 땅 서양 땅에 두루 밟아 보게 된 운명이다.
- 인수(印綬)는 사주에 성국했고 관(官)의 록은 잘 뿌리박았다. 교단에 또는 관계에 올라 십만을 호령하여 산다.
- 인수印綬가 사중(四重)씩이나 있어 교육가로서 대성한다. 학장, 총장의 자리이니 그 성명 삼자 빛내리라.
- 하늘 하나에 땅이 둘이니 두 자당님에 절해 본다. 시간에 편재성이 있어 처궁은 매우 부실하다. 동서(東西)로 재취하였으니 여러 집의 사위노릇 한다.
- 시간에 놓인 진(辰)토 그것은 급각관살로 되어 있다. 처나 아니면 자손 간에 상골 됨이 두렵도다. 토금수목(土金水木) 많이 모여서 사상격(四象格)으로써 귀하다.
2020/03/27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4/01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