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3) - 국회의원 사주 포함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임자월 갑신일 을축시 (축시생)
: 임인년주, 임자월주, 갑신일주, 을축시주
출처-사주명리학 운세변화, 김동완, 동학사, 2009.05.13
◆ 책의 내용 요약
- 1962년생으로 국회의원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내격으로 정인격이며 동시에 시하정재격, 임임(壬壬) 병존격, 수목왕격 등을 갖추고 있다. 사주의 그릇이 학자적, 선비적 기질을 타고났고 매우 똑똑하고 재주가 많다. 예술이나 문학적 끼도 많고, 사람이 착하고 애정이 매우 강하다.
- 연지의 인(寅)목이 고립되어 있어 간 기능과 관절, 뼈 기능에 이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병진(丙辰) 대운은 신자진(申子辰) 수국이 되면서 목(木)이 힘들어지는 시기이다.
- 사주 원국의 타고난 학자적, 선비적 기질은 강력한 카리스마가 필요한 정치인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나 포용력과 타협정신은 대단하여 포용의 리더십, 협상의 리더십, 타협의 리더십은 투철하다.
- 사주의 주인은 명문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당 대변인을 거쳐 국회의원이 된 사주이다.
명조 : 022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묘생(토끼띠) 임자월 갑진일 무진시 (진시생)
: 정묘년주, 임자월주, 갑진일주, 무진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음)1927년생 사주이다.
- 명조안에 관(官)이 없다. 무관사주이다. 인수격도 무(戊)토 재성 때문에 성격되지 못하였다. 또한 병화 대신에 정화가 있는데 정(丁)화가 임수(壬)에 의해서 정임합(丁壬合)으로 합거되었다. 조후가 부실해진 가운데 자묘형(子卯刑)이 되어있어 구조가 좋지 못하게 되었다.
- 진(辰)토대운에 남편이 사망하여 과부가 된 사주이다.(※ 진토는 갑목일간에 정관인 신辛금이 입묘入墓되는 입묘지이다. 부성입묘지를 배우자궁과 자식궁에 중첩하여 갖추고 있다.)
명조 : 023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묘생(토끼띠) 갑자월 갑인일 병인시 (인시생)
: 계묘년주, 갑자월주, 갑인일주, 병인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음)1963년생 사주이다.
- 초년 학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신유(辛酉)대운에는 이불 만드는 사업을 시작하여 백화점에 납품하면서부터 돈을 많이 벌어 젊은 나이에 부(富)를 성취하였다.
- 사주 추명시 경신(庚申)대운으로 서울 강남에 거주하면서 아들딸을 외국에 유학보내고 본인은 국내와 해외로 골프를 치러 다니면서 여가를 즐기고 있다. 다만 처에게는 애정이 가지 않아 배우자는 종교와 만학과 자식에 의지하면서 지내는 편이다.
- 식신 병(丙)화가 인(寅)목에 뿌리를 내렸으나 계(癸)수의 극을 받고 있다. 계수 인(癸)수는 자(子)월에 유근하여 힘이 있다. 그런데 수목(水木)은 같은 기운이 아니고 목화(木火)는 같은 따뜻한 기운이므로 갑(甲)일주는 병(丙)화와 통한다.
- 그래서 병(丙)화를 보호하고 왕목의 기운을 설하는 것에 중용한다. 대운이 신유(辛酉), 경신(庚申)대운에 사업에 성공하여 부를 얻었으니 종강격(從强格)은 아니라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명조 : 024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해생(돼지띠) 경자월 갑신일 을축시 (축시생)
: 신해년주, 경자월주, 갑신일주, 을축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목(木)이 수(水)를 쫓아 목(木)이 자라나 수(水)가 성(盛)한즉 목(木)이 표류한다.
- 수생목(水生木)하여 수왕목강(水旺木强)하면 금토(金土) 재관을 써서 토(土)로써 수류(水流)를 제어하고 금(金)으로써 성목(盛木)을 조제(造製)하여야 하는데 수(水)기만이 태성하면 불길한 것이다. 결(訣)에 말하기를 "갑자(甲子) 생이 자(子)에 임하여 1~2개의 수(水)가 있음은 기귀(奇貴)한 상이 되나 임계해자(壬癸亥子)가 간지에 있은 즉 목(木)이 물에 떠서 표류하게 되어 기의(寄依)할 곳이 없게 된다."고 하였다.
- 두 명의 동일 사주이다.
- 한 명은 신(申)대운 정유(丁酉)년에 익수(溺水)의 재앙을 피할 수 없었다. 수(水)만 성하고 목(木)은 약하여 나무가 떠내려가는 명세인 때문이다.
- 다른 한명 또한 단수(短壽)하였다. 자(子)월 수왕절에 태어나 지지에 자신(子辰) 수국하니 익수조사(溺水早死)한 명조이다.
명조 : 025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묘생(토끼띠) 갑자월 갑진일 갑자시 (자시생)
: 계묘년주, 갑자월주, 갑진일주, 갑자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3년생 사주이다.
- 자(子)월 갑목은 목욕(沐浴)지이며 왕지인데 자(子)수 2개와 진(辰)토 1개가 쟁합으로 수국을 이루고 계(癸)수가 투간하니 수왕하고 천간에는 3개의 갑(甲)과 묘(卯)목 양인이 있어 일주가 태왕하다. 또한 한습한 가운데 제습할 조토가 있으면 격이 한층 높아졌을 텐데 좌하에 습토인 진(辰)토가 있다. 부득이하게 진(辰)토를 용신으로 정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화(火)는 희신이 된다.
- 축(丑)토, 병(丙)화대운은 용신을 생부하여 유복한 가정에서 생장하였고 인(寅)대운에는 용신 무(戊)토를 장생하니 성혼하였다.
- 정(丁)대운에는 용신을 생하여 득여하고 다복한 가정 생활을 하였으나 묘(卯)대운 1994년 갑술(甲戌)년에 부군이 비명횡사를 당하니 당시 처참한 심정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는 용신인 진(辰)토를 충(冲)하고 묘(卯)목 대운은 약한 토(土)를 쟁합하며 더불어 관이 없는 무관사주에 해당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계묘(癸卯)생의 공망은 진사(辰巳) 공망으로 일지가 공망에 해당이 되며 갑진(甲辰) 백호대살로 배우자 궁의 흉함이 예견된 팔자이다.
- 무(戊)토 대운부터 다방 종업원으로 일하게 되었고 진(辰)토대운에는 수국을 이루니 흉하겠다.
- 기(己)토대운 이후 20년간은 길하겠으나 다시 오(午)대운에 왕수를 충하면 길함이 적다.
- 위 사주는 수목양상격(水木兩象格)이었다면 수목화(水木火) 대운에 길하였을 텐데 묘(卯)목운에 흉하였다고 하니 신왕용재격이 틀림없으며 또한 한습한 가운데 습토만 있고 희신인 화(火)가 팔자에 없으니 격이 낮아졌다.
명조 : 026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묘생(토끼띠) 병자월 갑오일 무진시 (진시생)
: 기묘년주, 병자월주, 갑오일주, 무진시주
출처-사주명리학과 인연법 진여비결 해설, 설질관, 창조명리, 2017.11.17
◆ 책의 내용 요약
- 1939년생 사주이다.
- 인연법 : 양인득세(羊刃得勢)하면 퇴신정배(退神定配)한다. 양인이 득세하면 양인(羊刃)을 뒤로 물리는 글자로 인연합니다.
- 양인을 처리하는 법 중에서 합거(合去)는 말리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 퇴신(退神)은 힘을 빼기 위한 것입니다.
- 무인생이 남편이다. 갑에 묘목이 양인인데 인목이 퇴신이되어 인생의 배우자를 만났다. (※ 자축인묘진사로 행하는 중에 묘(卯)목이 뒤로 물러난 인(寅)목이 퇴신이 된다.)
- 합거는 경(庚)금이고 퇴신은 인(寅)목이고 투출은 을(乙)목이다.
명조 : 027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오생(말띠) 무자월 갑오일 을해시 (해시생)
: 경오년주, 무자월주, 갑오일주, 을해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30년생으로 조산업(助産業)에 종사한 사주이다.
- 갑을(甲乙)일생 월혹시건(月或時乾) 도규지업(刀圭之業) 하게된다.
- 그 사람됨이 강직하여 본심을 변하지 않는다. 인생에 행복이라는 것은 좋은 배우자를 만나는 것에 있다. 그러면 이 팔자는 어떠한가? 남편 경(庚)금이 무근이다. 백 년 살자 하던 맹세가 말뿐이요 실이 없도다.
- 갑(甲)일생이 천문 해(亥)수 활인업(活人業)하라 태어났다. 만약에 의사가 아니면 산파(産婆), 간호원직 하게 된다.
- 인수 자는(子) 충극당하여 일찍모친 이별한다. 인수는 자(子)수요 재는 토(土)로써 충극이 매우 심하도다. 그 아버지 그 어머니께서 일찌기 이별하였겠다.
- 무(戊)토 재가 오(午)화에 근하여 재복은 매우 유족하다.
- 남편 경(庚)금이 화살에 앉아 남편은 황천(黃泉) 같도다. 두 번 시집에도 불행하여 좋지 못한 세월 보낸다.
명조 : 028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진생(용띠) 병자월 갑인일 기사시 (사시생)
: 갑진년주, 병자월주, 갑인일주, 기사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64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갑(甲)목일주가 자(子)월 수(水)왕절에 태어나 자진(子辰) 수국으로 생목하고 갑목, 인(寅)목이 도우고 있으니 신이 태왕하다. 태왕한 자는 식상으로 설기하여야 한다. 목(木)을 설기하는 식상 화(火)가 억부용신에 목(木)은 희신이며 수(水)가 병신(病神)에 토 재성은 약신이 된다.
- 화(火)가 용신이니 중요 일간지 언론사 기사가 되었다.
명조 : 029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임자월 갑오일 병인시 (인시생)
: 임진년주, 임자월주, 갑오일주, 병인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인오(寅午)가 회국하고 있는 가운데 병(丙)화를 용신으로 삼는다. 동목(冬木)에 한기가 있으니, 춘목(春木)의 푸르고 무성함과 비교하지 않는다. 부(富)한가운데 귀격(貴格)을 이루었다.
명조 : 030
◆ 갑목일간(갑목일주)
자월갑목(子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임자월 갑신일 갑술시 (술시생)
: 임자년주, 임자월주, 갑신일주, 갑술시주
출처-바꿔보면 보인다, 김용길, 산청, 2015.03.25
◆ 책의 내용 요약
- 1972년생 사주이다.
- 갑(甲)목 일간이 자(子)월에 태어나 임자(壬子), 임자(壬子)로 수태왕하여 부목이다. 한겨울이라 병(丙)화 조후가 필요하고 시지의 술(戌)토가 온토이니 왕수를 막아준다. 술(戌)중 무(戊)토가 부친성이라 부친덕이 있다. 그러나 조후하는 병화가 없고 천간에 임수가 투간하여 편인격이 되어 수태왕한 것이 불미하다.
- 신(申)중 임수가 년월에 투출되어 왕신이 된다. 그러므로 임(壬)수를 일주의 대행으로 본다. 임(壬)수가 양인 자(子)수에 앉아 있으므로 본인 성격은 외유내강형이고 가는 길은 수생목으로 가니 일간의 갑(甲)목이 용신이다. 태왕한 수(水)를 일간의 대행자로 했으므로 모친과 나는 같은 몸이 되어 뜻이 잘 통하고 모친의 말은 잘 듣는다. 시지의 술중 정(丁)화가 임수의 재성으로 부친인데 술(戌)토는 따뜻한 흙이라 부친은 정 많은 따뜻한 사람이고 부자이며 신진(申鎭) 수국으로 인하여 여러 여성을 거쳤던 분이다.
- 임(壬)수가 갑(甲)목으로 설하므로 남에게 베풀기 좋아하고 정식한 성품이나 화가 없어 수생목, 목생화가 안되니 노력해도 그 결실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화(火) 대운이 되어야 결실이 있게 된다.
- 임(壬)수는 큰 바다이고 갑(甲)목은 노력이고 행동이므로 해양업, 무역 통관 등의 업이 좋으나 운이 좋지 못할 때는 배타는 직업과도 인연이 있다.
- 갑인(甲寅) 대운은 왕수의 기가 순조롭게 설기되니 총명이 발휘되어 학업 우수하고 만사 순조롭다. 을묘(乙卯)대운 역시 왕수가 설기되나 습목이라 진로는 신통치 못하다. 묘(卯)대운에 자묘형이 되어 모친에게 수술사 있던 지 본인에게도 신액이 따른다. 그리고 묘술(卯戌)로 처궁과 합을 이뤄 결혼 성립된다.
- 병(丙)화대운은 노력에 따른 결실 보게 되고 만사가 순조로워 살만하다.
- 진(辰)토 대운은 신자진(申子辰) 수국되어 시지 술(戌)토를 충(冲)하므로 부부이별 및 부친에 유고있게 되며 큰 손실이 있는 운이다. 정사(丁巳)대운은 좋지만 부친의 유산을 놓고 형제간의 문제는 있다.
2020/03/27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1) - 정인격(正印格)
2020/03/29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자월 갑목(子月 甲木)(2) - 인수격(印綬格)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