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3) - 교통총장(交通總長)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3) - 교통총장(交通總長)

반응형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3) - 교통총장(交通總長)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사생(뱀띠) 기해월 임술일 갑진시 (진시생)

: 신사년주, 기해월주, 임술일주, 갑진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81년생으로 엽공작(葉恭綽)의 명조이다.

 

- 임일주가 해(亥)월 건록이며 소설(小雪) 이후에 출생하니 임(壬)수가 사령이다. 기쁘게도 해중 갑(甲)목 원신이 시간에 투출하여 기토와 갑기합토(甲己合土)하여 신(辛)금 인수를 생하고 있다.

 

- 일지에 술(戌)토 재고가 있고 재성은 암장되어 있어 인수를 상하게 하지 않는다. 길신이 깊이 암장되어 있는 것이다.

 

- 을미(乙未), 갑오(甲午)대운 20년간 재성이 왕한  곳을 만나 목화(木火)가 상생하여 마땅히 얻은 바가 많다.

 

 

 

출처-중국연대인물 초상화

 

 


※ 엽공작(葉恭綽)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 광동(廣東) 번우(番禺) 사람으로 자는 유보(裕甫), 옥보(玉甫), 왕호(玉虎), 왕부(玉父), 예호(譽虎) 등이고, 호는 하암(遐庵), 서명은 구완(矩園), 실명(室名)은 선실(宣室)이다. 근대의 정치가이자 서화가(書畫家), 수장가(收藏家)이다.

- 조부(祖父)는 엽연란(葉衍蘭), 부친은 엽패함(葉佩含)이다.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 사학관(仕學館)을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 가서 동맹회(同盟會)에 가입했다.

- 북양정부(北洋政府) 교통총장(交通總長), 손중산(孫中山) 광주국민정부(廣州國民政府) 재정부장(財政部長), 남경국민정부(南京國民政府) 철도부장(鐵道部長), 북경대학(北京大學) 국학관(國學館) 관장(館長), 중앙문사관(中央文史館) 부관장(副館長), 제2회 중국정현(中國政協) 상위(常委) 등을 역임했다.
 
- 저서로 《하암시고(遐庵詩稿)》, 《하암청비록(遐庵清秘錄)》, 《하암사(遐庵詞)》, 《하암담예록(遐庵談藝錄)》 등이 있다.

※ 경인(庚寅)대운 1968년(戊申년) 8월 6일, 베이징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만 86세)

 

 

 

 

 

 


 

 

 

 

 

 

명조 : 022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해생(돼지띠) 기해월 임자일 계묘시 (묘시생)

: 신해년주, 기해월주, 임자일주, 계묘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71년생 사주이다.

 

- 해(亥)월의 임수가 금수(金水)가 왕한가운데 정관 기(己)토는 지지에 뿌리가 없으니 사용할 수 없고 시지의 묘(卯)목을 용신으로 삼는다. 인(寅)목처럼 양목이고 인중의 병(丙)화라도 있으면 부귀하는 사주가 될 텐데, 강한 물을 설기하는 힘이 부족하여 복이 부족하다.

 

- 계묘(癸卯) 대운 상관운에 기축(己丑)년의 정관운을 만나 상관견관하니 남편이 죽어버렸다. 생이별이 아니고 사별한 것이다. 이는 위 명주에 자(子)수 양인과 자묘형(子卯刑)의 형살까지 있기 때문이다.

 

- 계묘(癸卯)대운 기축(己丑)년은 신미(辛未)일 신사(辛巳)일은 위 명주가 30대 후반으로 의료사고로 남편이 사망한 때이며 이것으로 송사까지 발생하였다.

 

 

 

 

 


 

 

 

 

 

명조 : 023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해생(돼지띠) 기해월 임진일 임자시 (자시생)

: 신해년주, 기해월주, 임진일주, 임자시주

출처-계의신결(稽疑神訣), 최국봉, 태중출판사, 2015.11.25

 

 

◆ 책의 내용 요약

- 1911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윤하격(潤下格)의 파격이다. 사주 중에 토(土)가 없고 운이 서북(西北) 방향으로 흘렀다면 문제는 달랐을 것이나 격이 깨지고 운이 남쪽 방향으로 흐르니 평생 세상을 등지고 진리탐구에 몰두한 도인(道人)의 명조이다.

 

- 신유(申酉)대운까지는 교직에 있었고 가정도 원만하였으나 을미(乙未) 대운 중 하루아침에 가족을 다 잃고 단신으로 입산하여 30년간 수도생활을 하면서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나이 80이 되도록 독신으로 지내며 후진양성에만 전념한 희대(稀代)의 도인(道人)이다.

 

 

 

 

 

 

 

 

 

 

 

 

 

 

 

 

 

명조 : 024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신해월 임자일 병오시 (오시생)

: 임자년주, 신해월주, 임자일주, 병오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인연법 : 기운정체(氣運停滯)하면 통기정배(通氣定配)한다.

 

- 위 사주는 갑인(甲寅)생이 좋은 처다. 갑인(甲寅)생 처를 만나 처덕이 태산 같은 치과의사의 사주이다.

 

- 왕한 수(水)기와 시간의 병(丙)화의 사이를 이어 주는 갑인 식신을 만났다. 그 식신 갑(甲)인이 병(丙)화 재성을 생조하므로 처덕이 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신왕에 식왕의 처와 재왕이니 참 아름답다.

 

- 살인상생의 경우와 같이 살(殺)이 일주를 극할 때 인성이 들어가서 서로 소통시켜 준다. 이것을 통기(通氣)라고 한다. 만약 일주가 갑(甲)일생일 때 경(庚)금이 극해오면 일주가 힘들다. 이 두 갑목과 경금을 소통 즉 이어주는 것을 찾아 본다. 즉 임(壬)수나 계(癸)수가 통기시켜 주니 인연이 된다는 뜻이다. 또는 절처봉생도 같은 의미가 된다. 이때 일주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명식의 천간의 관계를 모두 잘 살펴본다.

 

 

 

 


 

 

 

 

명조 : 025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정해월 임자일 정미시 (미시생)

: 경인년주, 정해월주, 임자일주, 정미시주

출처-바꿔보면 보인다, 김용길, 산청, 2015.03.25

 

 

◆ 책의 내용 요약

- 1950년생 사주이다.

 

- 일간이 양쪽 월간과 시간에서 합(合)이 되었다면 유리한 쪽으로 간다.

 

- 신왕한 임(壬)수가 월시간에 정(丁)화를 만나고 있다. 임(壬)수 일간은 어느쪽으로 가야할지 망설이며 저울질하게 된다. 그러다가 시지 미(未)토에 통근한 시간의 정(壬)화와 합을 맺어가게 된다.

 

- 즉 월간의 정(壬)화는 첫여자이고 시간의 정(壬)화는 두 번째 여자인데 그 사이에서 이리갈까 저리갈까 저울질 하던 임수는 결국 본처를 등지고 나중에 나타난 여자와 합정해 간다.

 

- 그러나 일시간에 자미원진(子未元嗔)이 작용되어 심한 불화속으로 빠지게 된다. 정(丁)화 입장에서 보면 임수일간과 합하여 정화의 절(絶)이 되는 일지의 자(子)수를 만나게 되므로 만나는 여자마다 못살겠다 한다.

 

 

 

 

 

 


 

 

 

 

 

명조 : 026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신해월 임신일 갑진시 (진시생)

: 임진년주, 신해월주, 임신일주, 갑진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2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임수가 해(亥)월에 태어나 일지에 장생지를 놓고 천간에 정인 신(辛)금과 비견 임(壬)수가 투간하여 신왕사주이다. 편관 진(辰)토로 용신을 하고자 하나 습토로서 일주를 제(制)하기 어렵다. 시상의 갑(甲)목 식신이 해중 갑목과 진중 을(乙)목에 근을 하여 왕하다. 갑목 식신이 용신이다.

 

- 인(寅)목 대운에 갑목 용신이 록근하여 지방대학교 교수에 취임하였고, 묘(卯)목 대운에는 서울 소재의 대학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명조 : 027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유생(닭띠) 기해월 기해일 임인시 (인시생)

: 신유년주, 기해월주, 기해일주, 임인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21년생 사주이다.

 

- 추명가 : 壬癸日生 태운여인 백두낭군(白頭郎君) 모시구요

 

- 기(己)토는 생(生) 신유(辛酉)하고 그 신유(辛酉) 금은 생 해(亥)수한다. 그 해수는 다시 인(寅)목을 생하여 그 핵정(核精)이 인목에 집결했다. 그러므로 과연 귀한 자녀 두어 가문을 중흥시킨다. 비록 그렇다 하나 그 남편 기(己)토가 무력하도다.

 

- 초혼은 돌보지 못하고 문득 재혼을 지었다. 임계(壬季)일생이 상(上)에 관성을 보면 나이가 많은 부군을 섬긴다.

 

- 위 사주는 신왕 사주이며 설청(泄淸)하여 그 문예가 뛰어났다. 손에 교편을 쥐고 만인의 이름을 부른다.

 

- 사주에 거듭 지살(地殺)살이 있어 해외 출입이 많겠다. 인(寅)목 식신이 거듭하고 있으니 동서(東西)에서 아들을 낳는다.

 

 

 

 

 

 


 

 

 

 

 

명조 : 028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인생(범띠) 신해월 임자일 신해시 (해시생)

: 임인년주, 신해월주, 임자일주, 신해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2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신왕사주이다. 관살로 일간을 제(制)하는 것이 좋지만 관살은 없고 인(寅)목이 있어 식신을 용신으로 한다. 주류사업을 경영하였는데 운이 없어 고생을 많이 하였고 병(丙)화대운에는 병신합수(丙辛合水)하여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남편과 이혼을 하고 혼자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사주이다.

 

- 부궁이 부실한 것은 여명의 임(壬)수일주가 윤하(潤下)를 놓으면 부부궁이 부실하게 된다.

 

 

 

 

 


 

 

 

 

명조 : 029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해생(돼지띠) 계해월 임진일 신해시 (해시생)

: 계해년주, 계해월주, 임진일주, 신해시주

출처-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김선구, 온북스, 2014.02.20

 

 

◆ 책의 내용 요약

- 위 사주는 임(壬)일생이 진(辰)중 편관 무(戊)토가 다봉금수(多逢金水)를 만나 수다토류(水多土流)되어 남편이 익사(溺死)하였다.

 

임수일주/계수일주 여명 : 부군익사

- 임계(壬癸)일생의 남편인 무(戊)토와 기(己)토가 약하고 수(水)가 왕하면 토(土)는 왕한 물에 씻겨 흘러가버리는 상이 된다. 부군이 익사하지 않으면 알콜중독, 음독사 등을 하게 된다는 추리를 한다.

 

 

 

 

 

 


 

 

 

 

 

명조 : 030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인생(범띠) 계해월 임자일 병오시 (오시생)

: 무인년주, 계해월주, 임자일주, 병오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38년생 사주로 한습조후격(寒濕調喉格)이다.

 

- 임일주가 해(亥)월에 생하여 좌하에 양인(羊刃)이 있으니 신왕인데 제습할 길신인 무(戊)토를 무계합으로 합거하여 불길하며 병(丙)화가 조후함은 길조다.

 

- 병(丙)대운부터 유업인 기업체를 운영하여 일취월장이나 본처와 반복함은 일지에 양인(羊刃)이 있고 일시지가 자오충(子午冲)이 되는 연고이다.

 

- 년시 인오(寅午)가 회국하여 충(冲)함을 구하나 멀리 떨어져 효력이 적다.

 

- 인(寅)대운, 정묘(丁卯)대운은 재물이 왕성하고, 진(辰)토 대운은 습(濕)하므로 불길하나 사오(巳午)대운은 왕화하여 길하다.

 

 

 

 

 


 

 

 

 

 

 

 

2020/03/02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1) - 건록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1) - 건록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1) -건록격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계..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3/03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2) - 윤하격(潤下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2) - 윤하격(潤下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해월 임수(亥月 壬水)(1) - 윤하격(潤下格)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해월임수(亥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