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유월 신금(酉月 辛金)(1) - 건록격(建祿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유월 신금(酉月 辛金)(1) - 건록격(建祿格)

반응형

 

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유월 신금(酉月 辛金)(1) - 건록격(建祿格)

 

 

 

- 가을생 삼추(三秋) 신금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유생(닭띠) 기유월 신유일 병신시 (신시생)

: 정유년주, 기유월주, 신유일주, 병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身强殺淺(신강살천) 辛日坐酉(신일좌유) 丙宮生印(병궁생인) 太守(태수).

 

- 일간 신(辛)금이 강하고 병정(丙丁) 관살은 약하므로 신강살천(身强殺淺)하다. 신금일간이 유(酉)금 건록에 앉아 있고, 관살혼잡이지만 화(火) 관살이 기(己)토 인수를 생하여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되며, 신(申)중에 수기(秀氣)가 발하게 하는 임(壬)수가 암장되어 있다. 태수(太守)의 벼슬을 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이 사주는 신강살천(身强殺淺)하고 관인상생하여 지부(知府)가 되었다. 병정(丙丁) 관살이 인수를 생하는데, 신(申)궁에 경(庚)금과 임(壬)수가 암장되어 납속주명(納粟奏命)하는 명이다.

 

※ 酉月壬水(유월임수) : 궁통보감

주용신 : 壬

월의 지장간 신금이 사령하여 매우 왕성하다. 오로지 임수 상관을 써서 신금을 씻고 유통시킨다.

 

 

 


 

 

 

명조 : 002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신유월 신유일 무자시 (자시생)

: 무진년주, 신유월주, 신유일주, 무자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002> 명리정종

- 고전 명조이다. 

 

- 차명(此命)이 육음조양(六陰朝陽)의 진격(眞格)이니 추령(秋令) 금왕절에 생하여 신(辛)금이 월간에 투출하였으며 자(子)수가 일위(一位)뿐이므로 대귀의 명이다. 위 사주가 중직을 장악한 대제상(大帝相)으로 세력이 만강(萬彊)하였으니 "신(辛)금이 양견(兩見)되면 귀하지 못하다"는 이론은 부당한 학설임을 확실하게 해주는 예시라 하겠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002> 자평진전평주

- 고전 명조로 장지현의 사주이다. 

 

- 조양격(朝陽格)이라는 것이 있다. 무거조병(戊去朝丙)이니, 신(辛)일간이 무자(戊子)시에 출생하면 정관을 얻고, 병(丙),무(戊)는 사(巳)화에서 록을 공유하고 있으니 사(巳)화를 끌어온다는 것이다. 천간에 목화(木火)가 없어야 비로소 조양격이 성격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사주 원국에 화(火)가 없다면 아침해를 기다릴 필요가 없고, 재(財)가 무(戊)토를 극한다면 일주의 조양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 위 사주는 조양격으로 토금수(土金水)의 대운이 좋고 목(木)운은 평범하고 화(火)운은 꺼린다. 

 

- 서락오 : 신(辛)일간이 무자(戊子)시에 출생하고 사주에 관살이 없으면 육음조양격이 성격된다. 자(子)수가 사(巳)화를 동하게 만들고 사(巳)중의 병(丙)화가 일간의 정관으로 용신이 된다는 것이다. 이 학설이 왜곡됨이 있으니 어찌하여 신금일간만 아침해가 있고, 을정기계(乙丁己癸) 음일간은 아침이 없다고 하는가? 더군다나 신금일간 가운데서도 신사(辛巳)일주와 신미(辛未)일주는 조양격이 되지 못한다고 한다. 위 사주를 보면 토금(土金)이 모두 왕하니 자(子)수가 설기하는 용신이 되니 종왕격과 이치가 같다. 토금수(土金水)운이 길하고 목화(木火)운을 꺼린다. 

 

 

 

 

명조 : 003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신유월 신축일 무자시 (자시생)

: 무진년주, 신유월주, 신축일주, 무자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003> 명리정종

- 고전 명조이다. 

 

- 차명 또한 신(辛)일주가 무자(戊子)시를 얻었으니 육음조양격인 바 축(丑)토가 있어서 자(子)수를 반합하니 감복(減福)할 것 같지만 유축(酉丑) 금국을 이루고 축(丑)토가 신왕지이므로 귀명이다. 또한 신(辛)자가 월상에 투출하나 부귀가 극창(極昌)하였으니 고가에 "신일단단봉무자(辛日單單逢戊子)"란 문의(文義)가 신(辛)금을 양견함을 지적하는 문구가 아님이 명백하다 하겠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002~003> 조화원약평주 

- 위 두 사주는 모두 육음조양격이다. 앞 사주(명조002)는 천간에 무(戊)토가 출간했으나 지지에 있는 자(子)수를 상하게 하지 않아 금수(金水)가 청(淸)하여 귀(貴)가 있어고, 뒤의 사주(명조003)는 자축합(子丑合)이 병(病)이 되기 때문에 용신이 상(傷)하여 지위가 낮았다.

 

※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 : 명리정종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은 육신(六辛)일이 사주에 관살이 없으면 바야흐로 취용하는 것이니 신(辛)일주가 병(丙)화로써 관성을 삼는바 신(辛)일생이 자(子)시를 만난다면 자(子)수가 사(巳)화를 동(動)해 오고 사(巳)화가 병(丙)화를 동합하여 신(辛)금일생이 관성을 얻는 것이다. 그런데 육음조양격은 신해(辛亥), 신축(辛丑), 신육(辛酉)일 삼일에만 해당된다.

신사(辛巳)일은 사(巳)중 병(丙)화가 있으므로 파격이 되고 신묘(辛卯)일은 묘(卯)목과 자(子)수가 형파(刑破)되므로 사(巳)화를 동합(動合)해 오지 못하므로 취용할 수 없다. 신미(辛未)일은 미(未)중의 정(丁)화가 칠살이 되어 신(辛)금을 파하므로 취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주에 사(巳)화가 있어서 파격함을 두려워하고 오(午)자가 자오충(子午沖)하여 사(巳)화를 동합해 올 수 없어도 또한 두려워한다. 

오직 재(財)운은 좋으나 관살(官殺)운이 와서 파격(破格)함은 두려워 하는데 만일 사주팔자가 정격이든 별격이든 해당사항이 있으면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으로 취용하지 않는다.



※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 : 명리요강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은 신해(辛亥), 신축(辛丑), 신유(辛酉), 신미(辛未)일주이니 이상 4개의 일주가 자(子)시에 생하면 음생양으로 귀격이라 한다. 동서북(東西北)운은 길하고 남(南)방운은 꺼린다고 하며 병(丙),정(丁), 묘(卯), 미(未), 축(丑), 오(午)는 꺼린다.

 

 

 


 

 

 

명조 : 004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축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해생(돼지띠) 기유월 신축일 경인시 (인시생)

: 정해년주, 기유월주, 신축일주, 경인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887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건록격인데 인해(寅亥)가 있으므로 정(丁)화 칠살이 용(用)이 되나니 일주가 왕함은 물론이요 정(丁)화도 인(寅)목에 뿌리가 있으므로 재관(財官) 왕운에 발전한다. 

 

- 무신(戊申)대운은 화(火)가 약하므로 빈한한 가정에서 출생하여 학문은 부족하나 자격이 분명하므로 20세 병오(丙午)년부터 외국인의 사환이 되어 독학하였고, 경술(庚戌)년이후 크게 진출하여 권리직도 지내고 재물도 취득하니 약한 정(丁)화가 남방 화(火)왕운을 만난 연고라.

 

- 51세이후 만주에서 명재구진(名財俱進 : 재물과 명예가 함께 진전)하다가 계(癸)대운 중에 약한 정(丁)화가 상하므로 을유(乙酉)년에 사망하였다.

 

 

 

 


 

 

 

명조 : 005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축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진생(용띠) 기유월 신축일 계사시 (사시생)

: 임진년주, 기유월주, 신축일주, 계사시주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지지에 사유축(巳酉丑) 삼합과 진유(辰酉) 육합의 금(金)국을 이루니 비겁이 태다하여 신왕하다. 비겁이 중중하면 재(財)가 있어 재물을 골고루 분배하면 탈이 없지만 재(財)가 없음이 아쉽다. 다행인 것은 임계수(壬癸水)가 투출하여 신왕한 금기를 설하니 수기유행(秀氣流行)된 것이며 임(壬)수가 용신이다. 따라서 총명하고 단정하며 시예에도 밝았던 것이다.

 

- 아쉬운 것은 지지 사(巳)화 관성은 삼합국으로 쓸려 들어가고 일점 재성이 없으니 관성을 운용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운로가 사오미(巳午未) 남방 화(火)왕지로 흘러 용신인 수(水)와 상호 상쟁하니 자식도 없이 사망한 하였다. 

 

- 이 사주가 무자지명(無子之命)에서 "일주가 왕한데 인수가 중첩되고 재성이 없는 경우"에 해당되는 사주이다.

 

※ 무자지명(無子之命)

: 사주상 자식이 없는 경우를 말함인데, 고전에서의 무자라 함은 아들이 없는 경우를 말함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일주가 왕한데 다시 인수가 중첩되고 재성이 없는 경우
- 일주가 약한데 인수가 경미하고 재성이 없는 경우
- 일주가 약한데 재성이 중첩되고 인수를 만난 경우
- 일주가 약한데 관살이 태왕한 경우
- 일주가 약한데 식상이 왕하고 인수가 없는 경우
- 화염토조(火炎土燥)한 경우
- 토금습체(土金濕滯)한 경우
- 수범목부(水泛木浮)한 경우
- 금한수냉(金寒水冷)한 경우
- 인수가 중첩된 경우
- 재관이 태왕한 경우
- 식상이 사주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우

 

 

 

 

 

 

 

 

 

명조 : 006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자생(쥐띠) 을유월 신유일 을미시 (미시생)

: 경자년주, 을유월주, 신유일주, 을미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 사주이다.

 

- 유(酉)월 금왕절에 좌하 유(酉)금과 시지의 토(土)가 생금하니 일간이 왕하다. 신왕용재(身旺用財)하여 미(未)토에 착근한 을(乙)목이 용신이 된다. 수(水)는 희신이며 금(金)이 이 사주의 병(病)이다. 화(火)운은 약신(藥神)이 된다.

 

- 미(未)토대운 1984 갑자(甲子)년에 용신을 도우고 식신 희신을 도우니 성혼하고 1986 병인(丙寅)년에 약신이 되고 용신을 도우니 득남하고 임(壬)대운 1988년 무진(戊辰)년에 식상인 희신을 도우니 득녀하였다. 

 

- 위 명조의 배우자는 재고(財庫)인 미(未)중에 정(丁)화이니 부군의 직업이 은행원이다. 임(壬)대운에 희신을 도와 용신을 생하니 부군이 승진하였다. 

 

- 오(午)대운에 약신이 되어 왕금을 제거하니 용신이 생기를 얻고 1992년 임신(壬申)년에 희신을 도와 용신을 생하니 득택하였다. 1995년 을해(乙亥)년에 약신과 용신을 부생(扶生)하니 학원을 경영하여 득재하였다. 교육사업은 식상이 길신인 연고이다. 오(午)대운 말 1997년 정축(丁丑)년에 약신이 되니 토지를 구입하였다.

 

- 향후 사(巳)대운 2005년 을유(乙酉)년에 사(巳)와 유(酉)가 1:3으로 합금(合金)하면 군비쟁재하고 군비쟁관하니 손재(損財)와 부군의 건강에 유의하여야 한다. 2006년 병술(丙戌)년은 미(未)중의 정(丁)화가 부군인데 술미형(戌未刑)이 되면 관재구설이 오겠는데 이때도 부군의 건강이 염려된다.

 

- 경(庚)대운은 용신을 합거하여 길운이 아니고 이때 을(乙)목은 재성이 되니 손재가 염려된다. 하지만 진(辰)토대운에는 자진수국(子辰水局)하여 용신을 생하니 길함이 있겠다. 

 

- 묘(卯)대운에는 유(酉)금을 쟁충하여 충발(沖發)된 왕금에 용신이 상해되므로 흉(凶)하다. 신왕한 여명에 일주 간여지동의 명(命)으로 부군의 건강이 항시 유의되는데 신유(辛酉)일주 기준으로 부군 정(丁)화가 있는 미(未)토가 과숙살에 해당도 되기 때문이다. 

 

 

 


 

 

명조 : 007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인생(범띠) 신유월 신해일 임진시 (진시생)

: 무인년주, 신유월주, 신해일주, 임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38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건록용재격(建祿用財格)이다. 신(辛)금일주가 임(壬)수를 보니 귀하고 인해(寅亥) 합목(合木)으로 목(木) 용신이 건강하다. 평생을 공직자로 차관까지 지내고 후에 민선 구청장을 역임하였다.

※ 공직(公職) 종사자

- 건록격(建祿格)이나 귀록격(歸祿格)에 해당하는 자
-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格)을 이룬 자
- 정관(正官)이 길성인 자
- 정인(正印)이 길성인 자


- 월지가 정록이면 건록격이요. 시지가 정록이면 귀록격으로 신왕하여 재관(財官)을 쓰면 일반 공무원으로 국록지객이다. 상관견관(傷官見官)하거나 재살태과(財殺太過) 또는 관살혼잡(官殺混雜)이면 귀록격이나 건록격일지라도 공무원이 아닌 경우가 더 많다.

- 정관을 인수가 통관시켜 주는 경우를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格)이라고 한다. 일주의 정관은 정당한 벼슬이 되고 일주의 인수는 올바른 지식이 되므로 관인상생격은 공무원 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다. 공직자의 길이 아니면 교직자의 길을 간다.

- 정인은 정당한 문서가 되므로 정인이 길성인 사람은 정직한 공무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경(庚)일생이 정(丁)이 정관이거나 기(己)가 정인인 사람과 임(壬)일생이 신(辛)금이 정인인 사람은 평생을 청렴결백한 공직자로 대민봉사를 하나 나라에 충성하는 경우가 많다.

 

 

 


 

 

명조 : 008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해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해생(돼지띠) 계유월 신해일 무자시 (자시생)

: 기해년주, 계유월주, 신해일주, 무자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신(辛)금일주가 중추(中秋) 유(酉)월에 출생하여 연상과 시상에 무기토(戊己土) 인수가 투간하여 신왕사주로 보인다. 하지만 일지, 년지, 시지에 해(亥)수와 자(子)수가 있고 월상에 계(癸)수가 투출하여 식상(食傷)이 왕하여 설기가 심하다. 그렇기에 토(土) 인수로 많은 상관 식신을 제(制)하고 신금일주를 보신(輔身)해야 하므로 토(土) 인수가 용신이 되고 금(金) 비견겁이 희신이 된다.

 

- 초년 디자인을 전공하였으나 운이 없어 취업이 잘 되지 못하여 고생을 하였으나 39세 축(丑)토대운을 만나 사업을 경영하여 큰 돈을 벌어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후 무(戊)토대운에 무계합화(戊癸合火)가 되어 손해를 많이 보게 되었다.

 

 

 


 

 

명조 : 009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기유월 신미일 무술시 (술시생)

: 임오년주, 기유월주, 신미일주, 무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2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약사(藥師)로 자(子)대운 1979년 기미(己未)년에 부인이 외간남자와 통정을 하여 이혼을 요구하고 있었다. 

 

- 부인의 사주는 계사(癸巳)년 갑자(甲子)월 무신(戊申)일 을묘(乙卯)시로 갑(甲)목과 을(乙)목이 천간에 동시에 투간한 관살혼잡(官殺混雜)의 사주이며 대운은 정묘(丁卯)대운으로 목욕(沐浴) 도화(桃花)가 발동되는 시기였다.

 

 

 


 

 

명조 : 010

◆ 신금일간(신금일주)

유월신금(酉月辛金) 신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묘생(토끼띠) 기유월 신사일 기해시 (해시생)

: 정묘년주, 기유월주, 신사일주, 기해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명나라 제11대 황제 명세종(明世宗) 주후총(朱厚熜)의 사주이다.

 

- 사(巳)중 병(丙)화와 무(戊)토인 관성과 인성이 월지 건록(建祿)과 합록(合祿)되어 복택이 스스로 아름답다. 16세에 황제에 오르니 재위 기간이 40년이었다. 계묘(癸卯) 대운 정묘(丁卯)년에 사망하였으니 이는 일간의 건록인 유(酉)금을 파괴하여 그렇게 된 것이 명확하다.

 

※ 명세종(明世宗) : 중국역대인명사전 발췌

주후총(朱厚熜). 명나라의 황제(재위, 1522-1567). 헌종(憲宗)의 손자고, 흥헌왕(興獻王) 주우원(朱祐杬)의 아들이다. 정덕(正德) 16년(1521) 대신들의 상의를 거쳐 무종(武宗)의 종제(從弟)라는 신분으로 황위를 계승했다. 다음 해 가정(嘉靖)으로 연호를 고쳤다. 즉위한 뒤 흥헌왕(興獻王)의 존칭에 대해 상의했다. 신하들이 예교(禮敎)에 따라 당연히 효종(孝宗)을 황고(皇考)로 하고 본래의 생부는 숙부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화를 내며 부모를 바꾸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진사 장총(張璁)이 황제의 뜻에 영합하여 글을 올려 흥헌왕에게 존호를 더할 것을 주청하니 이에 대례의(大禮議)가 일어났다.


원년부터 3년(1524)까지는 중의를 따라 본래 생부모를 흥헌제후(興獻帝后)라 하여 황(皇)자를 붙이지 않았지만, 결국 높여 황고라 했다. 수보(首輔) 양정화(楊廷和)와 장면(蔣冕), 모기(毛紀) 등이 연이어 파직되고, 정신(廷臣)으로 투옥된 사람이 백 수십 명에 이르렀으며, 정장(廷杖)을 받고 죽은 사람도 17명이 되었다. 장총과 계악(桂萼) 등이 이 일로 등용되었다. 이후에도 여파가 가라앉지 않아 보복 투쟁하는 분위기를 조장해 정치가 더욱 문란해져 갔다. 황제가 약을 먹어 신선을 구하려고 하여 중기 이후에는 등용된 신하들이 모두 청사(靑詞)를 지어 총애를 받은 인물이었다.

엄숭(嚴嵩)은 21년(1542)에 입각하여 23년에 수보가 되고, 41년(1562) 처음 파직되었으니, 한 사람이 무려 20년 동안 조정을 장악한 셈이었다. 하언(夏言)과 같은 보신(輔臣)이나 양계성(楊繼盛) 같이 과감하게 발언한 사람들은 모두 살해당했다. 달단(韃靼) 엄답(俺答)의 병사가 경사(京師) 성 아래까지 임박했고, 동남쪽에서는 왜환(倭患)이 날로 심각해져 갔다. 엄숭이 실각한 뒤 황제는 서원(西苑)에 칩거하면서 재초(齋醮)에만 골몰했는데, 결국 금석으로 만든 약을 먹고 중독되어 45년 12월 죽고 말았다. 

 

출처-중국역대인물초상화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