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술월 신금(戌月 辛金)(1) - 잡기격(雜氣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술월 신금(戌月 辛金)(1) - 잡기격(雜氣格)

반응형

 

신금일주(신금일간) : 사주 술월 신금(戌月 辛金)(1) - 잡기격(雜氣格)

 

 

- 가을생 삼추(三秋) 신금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무술월 신미일 임진시 (진시생)

: 병술년주, 무술월주, 신미일주, 임진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印重最喜才鄕(인중최희재향) 壬丙俱透(임병구투) 尙書(상서)

 

- 병(丙)화 정관이 투출하여 운에서 도움을 받고, 신(辛)금을 씻어주는 임(壬)수가 투출하였다. 토(土) 인수가 두터우므로 이를 헤쳐줄 목(木) 재성운이 좋은데 운도 목(木)으로 흐른다. 상서(尙書)의 벼슬을 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천간에 임(壬)수가 투출하여 상서에 이르렀으나, 갑(甲)목이 없어 아들을 두지 못했다. 화토금수(火土金水)가 순서대로 상생하고 있으나 토중(土重)하여 금(金)을 매몰시킬 염려가 있다. 재(財)운으로 흐르면 길하고, 동방 수목(水木)운으로 흐르면 대귀격(大貴格)을 이룬다. 그러나 무(戊)토가 임(壬)수를 극하는데 갑(甲)목으로 구제하지 못하여 대를 잇지 못한다. 

 

 

 

 

명조 : 002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무술월 신미일 정유시 (유시생)

: 병술년주, 무술월주, 신미일주, 정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用戊生金(용무생금) 用丙暖土(용병난토)

 

- 토금(土金)이 강하여 신왕하다. 투출한 무(戊)토와 병(丙)화가 팔자의 병(病)이다. 신(辛)금일간을 씻어줄 임(壬)수가 없고, 두터운 토(土)를 헤쳐줄 갑(甲)목이 없다. 병(病)은 깊은데 약(藥)이 없는 하천한 명이다.

 

※ 술월신금(戌月辛金) : 궁통보감

주용신 : 壬  /   보조용신 : 甲

무(戊)토가 사령하여 왕성하다. 임(壬)수 상관으로 왕성한 금(金)을 설기시키고 갑(甲)목 정재로 토(土)를 파헤친다.

 

 

 


 

 

명조 : 003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인생(범띠) 무술월 신유일 무자시 (자시생)

: 병인년주, 무술월주, 신유일주, 무자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장참정(張參政)의 사주이다. 

 

- 인수(印綬)는 내 몸을 생하니 좋은 것이다.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으로 구별되긴 하지만 둘 다 아름다운 격이다. 그러므로 재성과 인성은 정편(正偏)을 나주지 않고 동일한 격으로 논한다. 인수격 역시 보는 법이 일정하지 않다. 인수격에 정관이 투출한 것이 있는데, 인수를 생조하는 용신으로 정관을 쓰는 것이 아니고 정관(正官) 자체가 용신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은 칠살(七殺)과 정관(正官)이 다른 점이다. 그러므로 신왕하고 인수가 강하다면 너무 많은 것을 근심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정관이 청순하기만 하면 된다. 그것이 위 장참정(張參政)과 같은 사주이다.

 

- 서락오

. 관(官)과 인(印), 혹은 재(財)와 관(官), 혹은 재(財)와 식상(食傷)의 관계처럼 그것들은 서로 상생하면서 쓰인다. 한 가지만 쓰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나 운의 희기(喜忌)를 논할 때는 이와 다르다. 인수격에 정관이 투출한 경우 신강(身强)하면 관(官)이 용신이고 재(財)로써 정관을 생조하면서 인수를 손상하는 것이 좋고, 신약(身弱)하다면 인수가 용신이 되니 재가 와서 인수를 손상함을 꺼린다. 이것은 곧 운의 희기를 말한 것이다. 만약 팔자 원국 자체만을 가지고 말한다면 신왕하고 인수가 왕하다면 정관이 많은 것을 꺼리지 않으며, 단지 정관이 청하기만 하면 좋은 사주로 본다. 위에서 거론한 장참정의 사주는 비슷한 내용 같지만 실상은 다른 점이 있다.

 

. 장참정의 사주는 화(火)가 왕성하여 토(土)가 건조하고 금(金)이 물러져 있다. 기쁜 것은 시주에 무자(戊子)가 있는 것이다. 자(子)수가 토(土)를 윤습하게 하여 금(金)을 생하게 만들어 주고 또 금(金)의 기운을 설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북(東北)방의 금수목(金水木) 대운에 발달했다. 이것은 용신이 정관에 있지도 않고 인수에 있지도 않으며 식신(食神)에 있다. 식상의 자식이 어머니인 일주를 구해 주는 이치라고 하겠다. 단지 월령이 인수라서 인수격(印綬格)에서 논한 것이다.

 

- 시의 자(子)수가 금(金)의 수기(秀氣)가 되니 당연히 금수상관(金水傷官)을 용신으로 취한다. 이럴 때의 금수상관은 관성을 보면 좋지 않다. 술(戌)월에 생하면 아직은 금한수냉(金寒水冷)한 계절이 아니고 원국에 병(丙)화가 있어서 따뜻하게 해주고 있으니, 다시 화(火)의 운으로 갈 필요가 없다. 일단 금수상관을 쓰는 이상, 재(財)와 식상(食傷)의 운이 가장 길하다. 초년운이 해(亥)대운부터 진(辰)대운에 이르기까지 55년간 금수목(金水木)의 대운이니 이렇게 좋은 운이 오래 지속되는 사주도 흔하지 않다.

 

 

 


 

 

명조 : 004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병술월 신해일 신묘시 (묘시생)

: 경인년주, 병술월주, 신해일주, 신묘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신(辛)금이 술(戌)월에 생하니 인성이 당령하였는데 인(寅)목과 합(合)으로 천간의 병(丙)화를 돕고 있다. 비겁인 경(庚)금이나 신(辛)금이 아래의 해(亥)수를 생하지 못하고 또 해묘(亥卯) 공목(拱木)하니 사주가 다 재관(財官)을 이룬다.

 

- 그러므로 두 처와 네 첩을 극하고 세 아들을 두었으나 다 극하였으며 딸을 열둘이나 낳았는데 그중 아홉을 극하였다. 그러나 기쁜 것은 가을의 금(金)으로 유기(有氣)하여 가업은 넉넉하였다.

 

 

 


 

 

명조 : 005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병술월 신해일 신묘시 (묘시생)

: 경오년주, 병술월주, 신해일주, 신묘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30년생으로 신왕용관격(身旺用官格) 사주이다.

 

- 신(辛)일주가 상강(霜降) 토왕절에 생하여 간지에 금(金)기가 태성하니 병(丙)화 관성이 오술(午戌) 회국을 통하여 용신이 된다. 시지에 묘(卯)목이 생화하는 원신이 되는데 묘유(卯酉) 상충이 흠이다.

 

- 무자(戊자), 기축(己丑) 대운은 화(火)기가 무력하므로 신고 함이 많았고 인(寅)대운 을사(乙巳), 병오(丙午)년에 큰 재물을 성취하고 신(辛)대운은 용신 병(丙)화를 합거하므로 불길하다. 그러나 오술(午戌)이 지지에 있어 무흠하다. 

 

- 묘(卯)대운은 길하지만 임진(壬辰)대운은 불길하다. 일시가 상충(相沖)하니 처궁이 다병(多病)함을 면키는 어렵다.

 

 

 

 

 

 

 

 

 

 

명조 : 006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축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묘생(토끼띠) 경술월 신축일 임진시 (진시생)

: 정묘년주, 경술월주, 신축일주, 임진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27년생으로 의사(醫師) 사주이다.

 

- 하술(夏戌) 辛亥 未巳卯日, 경봉(更逢), 일시 진(辰) 或 술(戌)은 수집약칭(手執藥秤)하게 되니 군신좌사(君臣佐使) 제약(劑藥)이라.

 

- 마음씨 곱고 입이 고와서 그 뜻이 매우 고상하도다. 거듭 인수성(印綬星)이 합하여 아버지 한 분에 어머니 양위(兩位)다.  인수성(印綬星)되는 그 축술(丑戌)이 모여서 삼형살(三刑殺)을 조성(造成)하고 있다. 그러면 그 축술(丑戌)은 누구냐 모친(母親)이요. 또 조부(祖父)님이다. 그리고 축술(丑戌)은 소, 개가 되어 형살(刑殺)되니 소, 개에 흉화(凶禍)라. 조부님이나 모친님 중(中)에 소뿔에 죽는 분이 있게 된다. 만약에 소뿔이 아니면 개에 물려 저세상 가게 된다.

- 신일(辛日) 천문성(天門星) 술(戌)이 있는데 또다시 축술(丑戌)로 삼형(三刑)이 된다. 의업(醫業)에 내 몸을 담아서 활인(活人) 적덕(積德)을 펴리로다. 묘진(卯辰)은 신(辛)금에 재국(財局)되어 부유한 집 부인(婦人)이 되리라.

- 일월(日月)에 놓인 축술(丑戌) 삼형은 몸에 수술 자국을 남긴다. 인수와 식신이 합하였으니 생모(生母)를 모시고 살게 된다.

 

 

 

 


 

 

 

명조 : 007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오생(말띠) 임술월 신미일 갑오시 (오시생)

: 무오년주, 임술월주, 신미일주, 갑오시주

출처-통변술 실증 사례집, 한길수, 프로방스, 2017.02.15

 

 

◆ 책의 내용 요약 

- 1978년생으로 감명 당시 대전에 거주하며 ㅇㅇㅇ연구소에서 근무중이 었다.

 

- 술(戌)월에 신(辛)금이 화세(火勢)가 왕해서 수(水)를 용신으로 한다. 즉, 화(火)와 토(土)가 사주의 병(病)이 된다. 여명에 화(火)가 관성으로 남자인데, 흉신이므로 남자 복이 적어 자기 마음에 합당한 인연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일지 남편 궁에 조토(燥土)가 앉아 있는 데다가 월지 술(戌)토와 술미형(戌未刑)이 되어 남편궁이 손상을 입기도 하였다.

 

-  초년에 호운을 만나 ㅇㅇ여대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에서 MBA 과정을 이수했고, 현재는 유명한 ㅇㅇㅇ연구소에서 과장직을 맡고 있다. 

 

 

 


 

 

명조 : 008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해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신생(원숭이띠) 갑술월 신해일 기해시 (해시생)

: 갑신년주, 갑술월주, 신해일주, 기해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술(戌)월의 신(辛)금이 기(己)토가 투간하여 생금(生金)하고 년지의 신(申)금이 도우고 있으니 신왕한데 인성이 왕하다. 인성을 제거하는 재성 목(木)이 용신에 수(水)가 희신이고 금(金)이 사주의 병(病)이며 술(戌)중 정(丁)화가 약신이 된다. 

 

- 미(未)대운에 미(未)중의 정(丁)화가 관성이 되고 배우자 궁인 일지와 해미합(亥未合)을 하여 용신인 목(木)을 도우니 결혼하여 2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후 부군이 사업을 하였는데 경(庚)대운에 재목(材木)을 작성(作成)하여 흥왕(興旺)하였다. 오(午)대운에는 오술(午戌) 합화(合火)하여 사주의 병(病)인 금(金)을 화극금(火剋金)하니 용신 목(木)이 생기를 얻어 득재(得財)하였다.

 

- 기(己)토대운에 용신인 쌍(雙) 갑(甲)목을 갑기합화토(甲己合化土)하여 왕토를 도와서 흉한데 술(戌)중의 정(丁)화는 왕토에 설기가 되므로 남편이 병(病)을 얻었다. 이후 사(巳)대운에는 일지 배우자궁과 사해충(巳亥沖)하고 사술(巳戌) 원진에 사신형(巳申刑)이 되어 흉하던 중에 1991년 신미(辛未)년에 배우자가 있는 술(戌)토와 술미형(戌未刑)하여 남편이 사망하였다. 여명에게 가장 꺼리는 것이 일지 식상인데 신해(辛亥)일주로 배우자궁에 상관을 놓아 더욱 그러하였다.

 

- 진(辰)토대운에는 왕토(旺土)를 충발(沖發)하면 용신인 갑(甲)목이 절(折)되어 흉하겠으며 이때를 지나면 목화(木火)대운으로 용신과 약신을 도우니 말년은 길(吉)하리라.

 

 

 


 

 

명조 : 009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자생(쥐띠) 병술월 신미일 정유시 (유시생)

: 경자년주, 병술월주, 신미일주, 정유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신(辛)금일주가 계추(季秋) 술(戌)월에 생하여 득령(得令)하고 일지 미(未)중 기(己)토에 생을 받고 시지 유(酉)금에 록근하여 일주가 신왕하다. 여명 신왕사주에 관(官)을 우선하기에 천간에 투간한 관성 화(火)를 용신으로 한다. 화(火) 관살 용신에 목(木) 재성이 희신이다. 

 

- 위 명주의 직업은 의사(醫師)로 오(午)화대운에 개원을 하여 수억금을 벌었으며 신(辛)금대운에는 평범하나 사(巳)화대운부터는 다시 수억금을 벌 것으로 보인다. 

 

 

 

 


 

 

 

명조 : 010

◆ 신금일간(신금일주)

술월신금(戌月辛金) 신사일주 남자(곤명, 남명)

: 임자생(쥐띠) 경술월 신사일 임진시 (진시생)

: 임자년주, 경술월주, 신사일주, 임진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장정옥(張廷玉)의 사주이다.

 

- 천간 금수(金水)의 기세가 순수하다. 자(子)수와 술(戌)토 사이에 해(亥)수가 공협하여 술해(戌亥) 천문이고, 진사(辰巳) 라망이다. 상강 후에 태어나니 무(戊)토가 사령한다. 정인이 마땅히 왕하고 일원에 앉은 곳이 사(巳)화 관성이니 가을 금(金)이 화(火)기의 단련을 얻고 술(戌)토가 화(火)의 묘고(墓庫)이니 원기가 암장되었다. 또한 진(辰)토를 얻어 멀리서 충(沖)하니 움직임이 있게 되어 관성(官星)을 용신으로 한다. 

 

- 이어 화토금수(火土金水) 오행이 상생하니 생하고자 하는 뜻이 어그러지지 않아 매우 귀함을 알 수 있다. 

 

- 갑인(甲寅), 을묘(乙卯)대운은 재성의 고향이나 수화(水火)의 뜻을 통하게 하고 재성이 관성을 생하니 관성이 왕하다. 병진(丙辰)대운 이후는 남(南)방으로 바뀌니 관성이 지지에 통근하여 늙어서도 더욱 건장하다. 부귀와 장수가 마땅하다. 그리하여 청나라 일대의 최고가 되었다. 시호는 문화(文和)이며 태묘에 배향되었다.

 

※ 역자주 : 신사(辛巳)일주 지지 사(巳)중 병(丙)화 관성이 합(合)이 되었고 관성이 진(辰)토와 술(戌)토 두개의 인성에 의해서 좌우에서 보호하여 다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벼슬길이 무난하였다. 축(丑)토대운 29세 경진(庚辰)년부터 벼슬을 하여 오(午)대운 84세 을축(乙丑)년까지 56년간 부귀를 누렸다.

 

※ 장정옥(張廷玉) : 중국역대인명사전 발췌 

청나라 안휘(安徽) 동성(桐城) 사람. 자는 형신(衡臣) 또는 연재(硯齋)다. 대학사(大學士) 장영(張英)의 둘째 아들이다. 강희(康熙) 39년(1700) 진사가 되고, 검토(檢討)에 올랐다. 시강학사(侍講學士)와 내각학사(內閣學士), 형부시랑(刑部侍郞)을 역임했다. 옹정(雍正) 연간에 예부상서(禮部尙書)에 발탁되고, 남서방(南書房)에서 근무했다. 보화전대학사(保和殿大學士)로 승진하고 이부상서(吏部尙書)를 겸했다. 악이태(鄂爾泰)와 함께 군기대신(軍機大臣)이 되었는데, 당시 군기처(軍機處)가 막 설립되어 관련 규정을 많이 제정했다. 일처리가 꼼꼼하고 민첩해 세종(世宗)의 신임을 받았다. 건륭(乾隆) 14년(1749) 노병(老病)으로 치사(致仕)했다.

조정에 있은 50년 동안 부귀와 장수(長壽) 등에서 청나라 최고를 누렸다. 『명사(明史)』 편찬을 주관했고, 『성조실록(聖祖實錄)』과 『세종실록』 편찬의 책임을 맡았다. 『청회전(淸會典)』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시호는 문화(文和)다. 저서에 『장회원문존(張懷園文存)』과 『전경당집(傳經堂集)』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정옥 [張廷玉]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임종욱, 김해명)

 

출처 - 위키백과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