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사월 을목(巳月 乙木)(1) - 상관격(傷官格)
- 여름생 삼하(三夏)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을사월 을사일 병자시 (자시생)
: 임진년주, 을사월주, 을사일주, 병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상관격이 되었다. 화(火)가 태다(太多)하여 목(木)이 쉽게 불사르니 위험하다. 그러나 년시의 임(壬)수와 자(子)수가 화(火)를 제(制)한다. 상관패인(傷官佩印)하고, 진(辰)토는 하(夏)월에 있으니 조(燥)토가 되었다. 따라서 수(水)에 의지하니 오행이 조화되어 평생 의록이 풍족하다. 이런 사주는 스스로 직업을 찾으면 반드시 부유하고, 정치로 나가면 성공할 수 있다.
※ 사월을목(巳月乙木) : 조화원약평주
사(巳)월 을목은 계(癸)수로 용신을 삼고, 병(丙)화는 참작하여 취한다. 그러고 경신(庚辛)으로 보좌해야 하는데, 이때 신(辛)금이 투출하면 더욱더 청하다. 사월을목은 계인(癸印)을 용신으로 잡는 것이 당연하나, 만일 금수(金水)가 많으면 병(丙)화 상관을 용신으로 삼는다. 이것은 예외의 경우다.
경(庚)금은 계(癸)수를 보좌하는 것이니, 을(乙)목과 상합하지 않아 수(水)원을 만들어야 용신을 삼을 수 있다. 경금은 양(陽)금이고 계(癸)수는 음수(陰水)다. 따라서 경(庚)금이 계수를 보좌하는 것은 신(辛)금이 계(癸)수를 보좌하여 청(淸)하게 만드는 것만은 못하다.
※ 사월을목(巳月乙木) : 궁통보감강해
주용신 : 癸 / 보조용신 : 丙庚辛
사(巳)화 중에 지장간 병(丙)화가 있고 수(水)가 절(絶)지되는 달이다. 계(癸)수 편인 위주로 조후하는 것이 급하고 병(丙)화 상관으로 보조하며, 경신(庚辛) 관살은 팔자 구조를 참조하여 사용한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해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미생(양띠) 신사월 을해일 병술시 (술시생)
: 을미년주, 신사월주, 을해일주, 병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사(巳)월에 생하여 상관이 당령하였는데 가장 기쁜 것은 좌하에 인수(印綬)가 있어 사(巳)화를 충(沖)하여 상관을 제하는 것이다. 일주만 해(亥)수의 생부를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신(辛)금도 보호하여 금(金)을 자양(滋養)하는 것이다.
- 이른바 상관에 인수를 쓰는 독살(獨殺)로 청(淸)하다. 비단 미모일 뿐 아니라 재주도 높아 서화에 모두 정통하였다.
- 꺼리는 바는 술(戌)시로 해(亥)수를 바로 옆에서 극하고 병(丙)화가 투출하여 신(辛)금이 손상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아비의 자식 궁(宮)이 불리하다. 겸하여 뛰어난 재주를 평생 펼치지는 못하였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사생(뱀띠) 기사월 을유일 병술시 (술시생)
: 기사년주, 기사월주, 을유일주, 병술시주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乙)목이 무근(無根)이며, 병(丙)화, 사(巳)화에 설기 당하여 신약하다. 또한 유(酉)금 칠살의 극을 받고 기(己)토, 술(戌)토에 수(囚)되니 쇠(衰)함이 극에 달하였다. 왕쇠진기(旺衰眞氣)에 따르면 목(木)이 극쇠하면 토(土)와 같다 했으니 화(火)의 부조를 요하여 용신은 시간의 병(丙)화이다.
- 무진(戊辰), 정(丁)화 대운은 한신과 용신대운이니 가업이 풍족했고, 묘(卯)대운은 희신운이나 묘유충(卯酉沖)하여 부모를 여의었다. 병(丙)화대운은 경영으로 수만금을 벌었고, 인(寅)목대운에는 인사(寅巳) 형살과 인유(寅酉) 원진이 되어 희신인 목(木)이 손상되고 일지와 월지가 손상되니 파재극처(破財剋妻) 하였다.
- 을축(乙丑)대운은 사유축(巳酉丑) 삼함 금(金)국의 구신운이니 가업을 파하였으며, 갑자(甲子)대운은 갑(甲)목이 갑기합 화토(化土) 하여 한신인 토(土)가 되니 무애무덕하였다. 자(子)수대운은 기신(忌神)운으로 용신인 화(火)를 극거(剋去)하니 이때 사망하였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인생(범띠) 신사월 을묘일 무인시 (인시생)
: 경인년주, 신사월주, 을묘일주, 무인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목일주가 사(巳)화월 상관절에 생하여 인묘(寅卯)가 중첩하며 좌하에 록(祿)이 있으니 일간이 신왕하다. 경신금(庚辛金)이 관살혼잡(官殺混雜)이면서 약하고 조(燥)하다. 원국에 금(金), 화(火), 목(木)이 서로 상극한다. 도화 상관에 미인형이다.
- 묘(卯)대운 중 기유(己酉)년에 도화살이 년과 대운에서 상충(相沖)하여 을유(乙酉)생 남자와 정을 통하여 가출하였다가 방랑생활을 하였다. 이후 무인(戊寅), 정(丁)대운도 불길하겠으며 해(亥)수운과 자(子)수운도 무익하리니 근본이 불미하므로 격이 낮아지는 것을 면하지 못한다.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사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해생(돼지띠) 정사월 을사일 경진시 (진시생)
: 계해년주, 정사월주, 을사일주, 경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23년생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경진(庚辰)시로 법관이 되었으며 후일 변호사로 크게 성공한 사주이다.
※ 을(乙)일주, 정(丁)일주, 기(己)일주 재관이 잘 짜여진 자 법조계 진출
: 을(乙), 정(丁), 기(己)일생은 을(乙)은 인(仁)이고, 정(丁)은 예(禮)이며, 기(己)는 신(信)이되고 을(乙)의 재관은 토금(土金)으로 신의(信義)가 되고, 정(丁)의 재관은 금수(金水)로 지의(知義)가 되며, 기(己)의 재관은 수목(水木)으로 인지(仁知)가 된다. <어진 자의 지혜가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필수 조건이 되므로 을(乙), 정(丁), 기(己)일생이 재관(財官)이 잘 짜이면 법조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축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축생(소띠) 계사월 을축일 병자시 (자시생)
: 신축년주, 계사월주, 을축일주, 병자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1961년생 사주이다.
- 초년 한미(寒微)한 가정에 태어나 공부를 풍족하게 하지 못하였고 22세 결혼하여 딸만 2명을 낳고 점진 발전하였으며 남편은 직장에서 부장까지 올라갔다.
- 42세 정유(丁酉)~무술(戊戌)대운 교체기인 2002년 임오(壬午)년에 부부 불화가 극심하였다. 남편은 자기만 아는 이기주의자이고 바람까지 피웠다. 43세 2003년 계미(癸未)년 시댁 사람들에게 집단 폭행까지 당한 후 이혼하였다. 위자료 7천만 원을 받아서 전세 포함 3층 집을 매입하였다.
- 2007년 정해(丁亥)년에 매입한 집이 재개발 지역으로 확정되었고, 2008년 무자(戊子)년에 일산으로 3년간 임시 이사를 가기로 했다. 새로 만난 남자와는 2007년 정해(丁亥)년에 혼인 신고를 하였다.
- 사축(巳丑) 금(金)국에 칠살 신(辛)금이 투출하였고 인수 계(癸)수와 편관 병(丙)화가 살(殺)을 제(制)하고 설(洩)하니 사주가 귀함을 얻었다. 무술(戊戌)대운까지는 토(土)가 화(火)를 설(洩)하고 수(水)를 극하며 살(殺)은 생(生)하니 가정이 불안한 것이지만 북(北)방 수(水)운으로 들어가면 대발(大發)할 것이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해생(돼지띠) 계사월 을미일 신사시 (사시생)
: 신해년주, 계사월주, 을미일주, 신사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11년생 사주이다.
- 출생한 생년 생월 일시가 모두 음(陰)으로 음팔통(陰八通) 사주이다. 사주에 팔통으로 놓았다고 하여 무조건 길명(吉命)이라 말하지 마라. 신(申)금 관은 살(殺)지에 임했고 암관(暗官)은 충파(沖破)로 상했다. 남편이 수술을 하고 나서 병원에서 객사했다.
- 화성(火星)이 신(辛) 관을 극(剋)했으니 자색(紫色) 옷 입고 상부(喪夫)했다. 맑은 등잔을 홀로 지키니 부부 해로는 못 했도다.
- 사주에 역마성이 있으니 해외만리 나가 다닌다. 명(明)으로 암(暗)으로 다관(多官)하니 사주가 매우 흐리도다. 사(巳)중에 무(戊)토와 경(庚)금이 있어 재(財)와 관(官)이 같이 산다. 행상(紫色)하여 사방 다니다가 남성의 합(合)이 있게 되도다. 화상관(火傷官)과 관살(官殺)이 싸우니 부부는 화합하지 못한다.
- 식신과 상관이 혼합하여 내가 남 낳은 자손 키워본다.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계사월 을미일 경진시 (진시생)
: 병술년주, 계사월주, 을미일주, 경진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46년생 사주이다.
- 을(乙)목이 사(巳)화월 화왕당령한데 병(丙)화가 투간하니 설(洩)기가 심하고 진술미(辰戌未) 3개의 토(土)가 있으니 재(財)도 왕하다. 또한 경(庚)금은 사(巳)화에서 장생하고 3개의 토(土)가 토생금(土生金)하니 관(官)도 왕하다. 극설교가(剋洩交加)하여 인성으로써 약한 일주를 생하고 조후도 하여야 된다. 즉 계(癸)수가 용신에 금(金)이 희신이고 토(土)가 사주의 병(病)이며 목(木)은 약신이 된다.
- 재다신약 사주로 상대(商大)를 졸업하였고 병(丙)대운 1972년 임자(壬子)년에 은행에 취직하여 1975년 을묘(乙卯)년에 약신이 도와 결혼하였다. 신(申)대운에는 1976년 병진(丙辰)년에 득남하고 1978년 무오(戊午)년에 득녀하였다. 이후 정(丁)대운은 지지가 중함으로 무흠하였고 유(酉)대운에는 사유(巳酉) 합금(合金)으로 희신이 도우니 경오(庚午)년에 은행 지점장이 되었다.
- 무술(戊戌)대운에는 사주의 병(病)인 토(土)를 도우니 다사다난하였고 술(戌)대운 말미인 경진(庚辰)년에 퇴직하였다. 이는 진술충(辰戌沖)으로 용신인 수(水)가 니색(泥塞)된 연고이다.
- 향후 기(己)토대운은 용신을 극하여 길운이 아니며 기(己)토는 재성으로 처첩(妻妾)에 의한 손재가 염려된다. 이때를 지나면 금수(金水)운으로 용신과 희신이 만나니 길(吉)하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계사월 을유일 정축시 (축시생)
: 신축년주, 계사월주, 을유일주, 정축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1901년생으로 <비전사주추명설>에 소개된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상관격으로 前 대한전선 사장인 설경동(薛卿東)씨의 명조이다. 기축(己丑) 대운 이후에 북(北)방 수(水)지에 돌입하여 백억을 초과한 일약 재벌로 등장하였다가 병(丙)화 대운에 대손재와 파동(波動)이 있었으나 술(戌)토 대운에 더욱더 부흥하여 수백억 거부로 일국의 대재벌로 꼽혔다. 을유(乙酉)대운에 들어와 불로지객이 되고 말았다. (甲寅년 丙寅월 癸未일 타계)
- 사유축(巳酉丑) 삼합으로 경(庚)금 정관이 발생하여 용신인데, 신(辛)금 칠살이 투출하여 있으므로 관살혼잡이지만 정(丁)화와 계(季)수가 동시에 있으니 설(洩)하고 제(制)하는 상신(相神)이 다 있어 귀격(貴格)이 된다.
- 대운에서도 수화(水火)가 좋은데 북(北)방지에 일약 발전하고 병술(丙戌)대운도 발전에 큰 지장이 없었다. 그러나 서(西)방지 금(金)운에 들어가면 관살(官殺)이 태왕하여져서 불리하다.
※ 설경동(薛卿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발췌
평안북도 철산 출생. 대한전선그룹을 창업하였다. 15세 때부터 신의주에서 곡물도매상을 시작하였다. 신의주에서 5년간 거주한 뒤 함경북도 청진으로 옮겨 일본인과 합자하여 함북약유주식회사(咸北鰯油株式會社)를 설립하여 전무가 되었으며, 1936년 동해수산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하여 사장이 되었다.
이 회사는 1945년까지 어선 70척으로 늘어났고 관련 수산단체에 관여해 활동하였다. 8·15광복 후, 맨몸으로 월남하여 무역을 주도하는 대한선업을 설립하였다.
무역을 하는 한편 적산가옥·토지를 불하받아 팔기도 하다가 원동흥업(遠東興業)을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부동산투자를 하였다. 이 회사들이 번창해가자 수원의 성냥공장을 인수하여 6·25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성냥 업계를 석권하였다.
6·25전쟁으로 전재산을 불태웠으나, 1953년 방직공장을 인수하여 대한방직주식회사를 설립, 사장이 되었다.
당시 방직업은 정책적인 보호를 받고 있어 번창할 수 있었고 정계에도 진출하여 자유당 재정부장이 되었다. 1954년에는 대한전선을 불하받았으며, 1956년에는 대동제당(大東製糖)을 설립하였다.
이후 4·19혁명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4·19혁명과 5·16군사정변으로 타격을 받았다. 5·16군사정변 이후 정부의 기간산업 건설에 참여할 기회를 얻어 대한전선의 시설확충에 전력하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텔레비전·냉장고 등 전자제품 생산과 이의 호경기에 힘입어 그의 기업체군은 대한재벌로 불리게 되었다. 고희에 접어들면서 설원식(薛元植)을 비롯한 2세들에게 사업기반을 물려주고 2선으로 은퇴하였다.
그는 북한에서 월남한 실향 기업인으로 5·16군사정변 이전까지에 우리나라 10대 재벌에 올라간 자수성가형의 기업가였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사월을목(巳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사생(뱀띠) 신사월 을유일 정축시 (축시생)
: 을사년주, 신사월주, 을유일주, 정축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5년생 사주이다.
- 사(巳)월 을(乙)목에 양사화(兩巳火)에 정(丁)화가 투출하니 식상이 태왕하고 사유축(巳酉丑) 금국으로 관살(官殺)도 태왕하여 설기도 심하고 극도 심하다. 그런데 년상의 을(乙)목은 근(根)이 없어 일주를 도와줄 힘이 없다. 그러므로 이 사주는 쇠극격(衰極格)으로 쇠(衰)한 자는 식신상관으로 설기하여 더욱 쇠(衰)하게 하는 동시에 일주를 극하는 관살을 제(制)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상의 정(丁)화가 용신이 된다. 정(丁)화 용신에 토(土) 재성이 희신이 된다.
- 위 사주의 주인은 전기사업을 경영하여 38세 정(丁)화 대운에 수억금을 벌어 잘살고 있는 사주이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