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반응형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3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신생(원숭이띠) 신유월 갑진일 임신시 (신시생)

: 무신년주, 신유월주, 갑진일주, 임신시주

출처-내사주 내가 푼다, 임태근, 여시아문, 2003.07.05

 

 

◆ 책의 내용 요약

- 1968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천간에 정관이 투간되어 정관격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신(申)금 편관이 두 개나 더 있어 관살이 지나치게 많다. 정관이 귀한 것이지만 지나치면 역기능이 나타난다. 

 

- 지나친 관살의 힘은 정인 수(水)로 설기시키고 식상인 화(火)로 제재를 가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너무 강한 국가의 힘은 인성의 기능인 적법한 절차를 통하거나 식상의 기능인 감시를 통해 견제하는 것과 같다.

 

- 이 사주는 화(火) 식상이 없어 수(水)로 힘을 빼서 약화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금수(金水)가 너무 많아 춥고 뿌리가 약한 나무가 되어 물에 떠내려가는 형상이다. 뿌리가 없어 이리저리 흔들리니 주체성이 약하게 되었다.

 

- 대운이 수목(水木)운으로 흘러 조직생활은 어렵게 하며 추위에 나무가 생기를 잃었다. 40대 병인(丙寅) 대운부터 목화(木火)운이 오면 조후가 되어 활기 있는 직장생활이 된다. 

 

- 관의 기운을 인성으로 유통시키고 있지만 나의 재능을 발휘하는 식상이 전혀 없어 문서와 관련하여 일을 하는 사무직을 하게 된다. 남자에게 있어서 관은 직업으로 보는데 관이 많으면 혼잡하다고 하며 직업이 여러 번 바뀔 가능성이 많다.

 

- 수(水)가 용신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수(水)에 속하는 직업이 운명적으로는 관계가 있다고 본다. 수(水)는 융통성과 유동성이 가장 큰 특징이므로 보험업, 유통업, 선박, 수산업 등의 회사와 인연이 있다.

 

※ 정관격(正官格)
: 정관격은 공무원도 좋고 회사원도 괜찮다. 윗사람을 모시고 합법적으로 노력하여 출세할 수 있는 조직이면 어디든 무난하다고 보겠다. 재성과 상생을 이루면 재성, 경제 분야로 진출하고 인성까지 연결되어 상생되면 높은 자리에서 결재권을 가지는 고위직에 오르거나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학자가 될 수도 있다.

 

 

 


 

 

 

 

명조 : 032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기유월 갑인일 경오시 (오시생)

: 임자년주, 기유월주, 갑인일주, 경오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무오(戊午)생 부인

- 1972년생 사주이다. 

 

- 무오(戊午)생 처를 만나 임자(壬子)대운 2002년 임오(壬午)년에 아들을 낳고 원만한 가정생활을 하면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주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을묘(乙卯)생 부인

- 위 사주와 동일 사주이다. 

 

- 을묘(乙卯)생 부인을 만났다. 명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월상의 기(己)토 정재를 을묘(乙卯) 겁재와 양인(羊刃)이 극제한다. 임자(壬子)대운 2005년 을유(乙酉)년에 이혼하게 되었다.

 

※ 배우자의 인연 : 명리강론
: 배우자의 인연에 따라, 자식인연, 부부해로, 부귀빈천, 신병재난, 직업관계 등에 큰 영향을 준다.

 

 

 

 


 

 

 

명조 : 033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묘생(토끼띠) 기유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정묘년주, 기유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27년생 사주이다. 

 

- 정관 유(酉)금과 양인 묘(卯)목이 충(沖)이되어 군경직을 하였고 자진(子辰) 수토합덕으로 국책사업을 성공시켜 크게 출세한 사주이다.

 

※ 고산거목(高山巨木)
: 갑(甲)목이 무(戊)토를 만나면 고산거목이다. 정상에 우뚝 선 모습이다. 때로는 힘들고 벅찬 일이 많으나 홀로 의연하고 당당하다. 오히려 아래를 바라보고 이해하며 말없이 포용하는 좋은 명운이 많다. 고독한 영웅이다.

 

 

 


 

 

 

 

명조 : 034 - 035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신생(원숭이띠) 정유월 갑신일 경오시 (오시생)

: 병신년주, 정유월주, 갑신일주, 경오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 034

- 1956년생 사주이다. 

 

- 유(酉)월 갑목에 편관이 중첩하여 관살이 왕하고 식상 역시 강하여 일간의 설기가 심하다. 하지만 일간을 도와주는 인수와 비겁이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간을 더욱 쇠극(衰極)하게 해주는 식상으로 관살을 제어하는 것이 용신이 된다. 

 

- 식상 용신에 재성이 희신이 된다.

 

- 위 사주는 사(巳)화 대운에 음식점을 경영하여 큰돈을 벌었으나 42세 임(壬)수대운에 월상의 용신인 정(丁)화가 정임합목되어 재산을 모두 탕진하게 되었으며 남편과도 이혼하였다. 

 

- 여명의 사주에서 관살이 혼잡하고 태왕할 경우 결혼을 늦게하지 않으면 혼자 살게 되는 사람들이 많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조 035

- 유(酉)월 갑목에 편관이 중첩하여 관살이 왕하고 식상 역시 강하여 일간의 설기가 심하다. 하지만 일간을 도와주는 인수와 비겁이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간을 더욱 쇠극(衰極)하게 해주는 식상으로 관살을 제어하는 것이 용신이 된다. 

 

- 위 사주는 오(午)화 대운에 호텔리어로 취직을 하여 근무를 하였고 사(巳)화 대운에는 호텔 매니저로 승진하고 승승장구하였다. 하지만 42세 임(壬)수 대운으로 바뀌어 월상의 정(丁)화가 정임합목이 되어 회사에서 퇴직을 하게 되었다.

 

 

 

※ 개인

- 여명에게 관살(官殺)은 직장 혹은 배우자, 명예, 울타리 등으로 해석이 된다. 두명의 동일 사주가 다른 삶을 살았던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임(壬)수 대운에 들어서 관(官)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 한명은 재산 탕진과 이혼을 통해 관살로부터 고통을 받게 되었고, 다른 한 명의 사주는 자신의 청춘을 보낸 믿었던 직장인 관(官)으로 부터 퇴사 명령을 받아 실직한 것이다. 둘 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울타리, 직함 등이 상실된 것이다. 관(官)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때는 명함인 것이다. "나는 어디에 속한 누구입니다."라는 타이틀이 관(官)이다.

 

 

 

 

 

 

 

 

 

 

명조 : 036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신유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계미년주, 신유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유진화(劉鎭華)의 명조이다.

 

- 갑목일주가 유(酉)월 태어나니 낙엽은 떨어지고 목(木)기는 메말랐다. 왕한 금(金)기가 월령을 장악하고 있으며 일시가 인신(寅申) 충형(冲刑)하고 있다. 염려스러운 것은 처자가 다치는 것이다. 

 

- 다행히 병(丙)화 식신이 신(申)금 칠살을 극제하여 시지의 건록이 다치지 아니하게 되며 멀리 연간에 정인 계(癸)수가 있어 역시 병(丙)화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 계(癸)수 정인은 왕한 금기를 빼어나게 설기하여 관성 신(辛)금은 일주를 극하지 아니한다. 각각의 위치가 적당하다. 

 

- 대운에서 화(火) 식상과 수(水) 인성과, 목(木) 겁재를 만나면 자연 발복 한다.

 

※ 유진화(劉鎭華)
직예성 직강법정전공학당 출신이며, 신해혁명 때 반청활동에 참가하였고, 중화민국 성립 후 협서군 정부군으로 입대하여 협서성장을 지냈다. 이후 중원대전에서 장개석에 투항하여, 협진총독, 하남주석, 호북성총독, 안위성 주석을 지냈다.

 

 

 

 


 

 

 

 

명조 : 037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자생(쥐띠) 신유월 갑진일 병인시 (인시생)

: 무자년주, 신유월주, 갑진일주, 병인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48년생 사주이다. 

 

- 갑목일주가 중추절에 태어나 실시(失時)하고 유(酉)중 신(辛)금이 월상에 투간하여 정관격으로 신약한 사주이다. 그러나 시지에 인(寅)목과 일지의 진(辰)중 을(乙)목에 근을 하였고 년주 자(子)수의 생을 받으니 극신약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관살이 왕하여 인성으로 관인소통을 해주어야 한다. 

 

- 수(水) 용신에 목(木) 비견겁이 희신이 된다. 

 

- 초년에 조실부모하고 장녀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가정을 꾸렸으며 동생들을 키우며 고생을 많이 했다. 그리하여 늦게 결혼하게 되었지만 이혼하게 되었다.

 

- 을묘(乙卯)대운에 호운을 만나 모텔 임대업을 하게 되었고 수억금을 벌어 잘살게 된 사주이다. 갑인(甲寅)대운 역시 호운으로 건강하고 오랫동안 돈을 많이 벌 것으로 보인다.

 

 

 

 


 

 

 

명조 : 038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미생(양띠) 을유월 갑신일 갑술시 (술시생)

: 을미년주, 을유월주, 갑신일주, 갑술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5년생 사주이다. 

 

- 유(酉)월의 갑목일주가 지지에 신유술(申酉戌) 금국(金局)을 이루고 있어 재(財)와 살(殺)이 태왕하다. 살(殺)이 왕하여 종살격으로 볼 수 있지만 년상의 을(乙)목이 년지 미(未)중 을(乙)목에 근을 얻어 종(從)하지 않는다. 그러나 관살이 왕하여 살인상생을 시켜줘야 하기에 신(申)중 임(壬)수로 용(用)한다. 

 

- 수(水) 인성 용신에 목(木) 비견겁이 희신이 되는 사주이다. 

 

- 초년 수(水)대운으로 의사가 되어 종합병원에 근무하였고 자(子)수대운에는 병원에서 크게 능력을 인정받고 근무하였다. 기축(己丑)대운에 종합병원을 나와 의원을 개업하였지만 사업이 부실하게 되여 크게 손해를 보고 어쩔 수 없이 다시 다른 병원에 취직하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39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계유월 갑자일 경오시 (오시생)

: 기묘년주, 계유월주, 갑자일주, 경오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39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지지가 자오묘유(子午卯酉)로 구성된 사패구전격 사주로 도화살이 많아 일생을 부랑방탕하게 보냈다. 하지만 말년에는 목사가 되었다. 

※ 사패구전격(四敗俱全格) : 명리강론

- 지지 네 글자가 자오묘유(子午卯酉)로 다 짜이면 사패구전격이 성립된다. 일명 사왕격(四旺格)이라고도 한다. 

- 오행의 왕궁이면서도 목욕궁이 자오묘유가 되므로 왕극즉패(旺極則敗)요. 욕(浴)지는 패지라 육친상으로는 불길하고 흉하나 사회적으로는 큰 성취가 따른다고 보는 것이 사패구전격이다. 

- 성격되면 제왕의 귀나 정승의 귀가 따른다. 귀와 함께 풍류도 따른다. 일반 용신 정법에 따른다.

 

 

 


 

 

 

명조 : 040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계유월 갑신일 정묘시 (묘시생)

: 갑신년주, 계유월주, 갑신일주, 정묘시주

출처-바꿔보면 보인다, 김용길, 산청, 2015.03.25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갑목일주가 금왕(金旺)하여 계(癸)수에 의지하고 시지 묘(卯)목에 뿌리가 있다. 생목(生木) 되어 뿌리박을 토(土)가 있어야 좋은 명조인데 년일지 신(申)중 무(戊)토가 있으나 미약하다. 

 

- 생목은 금(金)을 기(忌)하니 형조사(兄早死)했다. 월간 정인 계(癸)수가 생신하는 희신이 되어 해양생활(生水)하게 되었다. 

 

- 신약에 계(癸)수 인성이 처성인데 유(酉)금 도화지에 않아 년주 갑(甲)목 비견에게도 정을 주므로 처가 외정을 가졌다. 축(丑)토 대운 1986년 병인(丙寅)년에 일지와 형충(刑冲)하니 처가 이혼하자고 한다.

 

 

 

 


 

 

 

2020/05/02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5/03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7/03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