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반응형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신유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계미년주, 신유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안휘성의 주석이었던 유진화(劉鎭華)의 사주이다.

 

- 병신(丙辛)이 서로 합하지만 왕성한 정관인 신(辛)금이 지지에 통근하고 있다. 정관이 많으면 칠살로 변하므로 병(丙)화가 정관을 제압하는 용신이 된다. 

 

십간의 합(合)을 논함」중 일부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만약 갑(甲)일주가 경(庚)금을 만나면 칠살인데 을(乙)이 있어서 경(庚)과 합하면 칠살은 일주를 극하지 못한다. 갑(甲)일주에게는 을(乙)이 겁재인데 을(乙)이 경(庚)금과 합하면 을(乙)은 더 이상 겁재가 아니고 경(庚)은 더 이상 칠살이 아니다. 갑(甲)일주가 정(丁)을 만나면 상관이고 임(壬)을 만나면 효신인데 정(丁)과 임(壬)이 합하면 임(壬)은 더 이상 효신이 아니고 정(丁)은 더 이상 상관이 아니다. 이상은 사기신(四忌神)이 합하여 길하게 되는 경우이다. 

 

 

 

 


 

 

 

 

명조 : 002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을유월 갑자일 을해시 (해시생)

: 경오년주, 을유월주, 갑자일주, 을해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고태위(高太尉)의 사주이다.

 

-  갑(甲)이 중간을 격하고 있으니 년간의 경(庚)금과 월간의 을(乙)이 합이 되고 시간의 을(乙)은 합이 되지 않는다. 관살혼잡이지만 합살류관이 되었으므로 복이 없지 않았다.

 

「천간의 합이불합(合而不合)을 논함」중 일부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은 무엇인가? 예컨대 2개의 신(辛)금과 2개의 병(丙)화, 2개의 정(丁)화와 2개의 임(壬)수와 같은 유형이다. 한 남자가 두 처를 거느리지 못하고 한 여자가 두 남편을 섬기지 못한다고 하여 쟁합, 투합 같은 용어가 생겨난 것이다. 이름이야 어떻든 합이 되는 것인데, 단지 정이 전일하지 못하다고 하겠다. 만약 두 개의 천간이 하나의 천간과 합하려고 하는데 간격이 있다면 쟁투가 없을 것이다.

 

 

 

 


 

 

 

 

명조 : 003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을유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경인년주, 을유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고전 명조로 이참정의 사주이다.

 

- 갑목이 유금의 정관을 쓰는데 칠살인 경금이 혼잡하였다. 그러나 을경합(乙庚合)으로 합살류관이 되니, 칠살이 섞였지만 사주가 맑아졌다.

 

- 병술(丙戌), 정(丁)의 식상운과 해자축(亥子築) 인수운, 무기(戊己)토 재성운이 모두 가능하다. 경(庚)금 운은 칠살이 혼잡하니 마땅치 않다.

 

- 서락요 평주

. 상관을 만났는데 인수가 있는 것과, 칠살이 섞였으나 거살류관(去殺留官)이 되어 사주가 말아지는 것은 불변의 원칙이다. 

 

. 이참정의 사주는 정관인 유(酉)금이 칠살인 경(庚)금의 제왕인데, 을(乙)과 경(庚)이 합하여 그 상극하는 기세를 완화하고 있다. 이른바 갑(甲)이 누이동생 을(乙)목을 경(庚)금에게 시집보낸 형상이니, 흉이 길로 변하였다.

 

. 갑(甲)목이 지지에 통근하고 자진(子辰) 수(水)국을 이루니 재성인 진(辰)토가 인수로 변했다. 인수로써 화살(化殺)하니, 용신은 인수이다. 재생관, 관생인하여 기세가 유통되니 격국이 합으로 인하여 맑아졌다.

 

※ 「정관격」중 일부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정관격에 칠살이 섞이면 식상운이 도리어 나쁘지 않다. 사주에서 겁재와 칠살이 합하고 있으면 식상과 재운도 좋다. 신왕운과 인수운도 역시 좋다. 다만 칠살이 다시 드러남을 꺼린다. 만약 사주에서 상관이 칠살을 합하고 있다면 식상과 재운이 좋지만 인수를 만남은 불리하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 고전명조로 시상편재격이다.

 

- 갑(甲)목일주가 유(酉)월 금왕절에 생하여 년간에 경(庚)금이 투출하니 칠살이 왕하나 월간의 을(乙)목이 합살(合殺)하니 유정하므로 귀명이요. 갑목이 년지에 건록하고 자진(子辰) 수국하며 월간의 을(乙)목이 유조(有助)하니 신왕적살(身旺敵殺)이요. 시상의 무(戊)토 편재를 취용하므로 귀부공명격(貴富功名格)이다. 

 

- 그러나 시상 무(戊)토 편재가 수(水)를 억압하고 생금하니 사주의 대세는 재관이 왕하였으므로 특히 수목(水木)왕운에 대발하였다. 사(巳)대운중에 사(巳)중 경(庚)금이 장생하고 금(金)국을 이루므로 사망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첩경(四柱捷徑)

- 이 사주는 유(酉)월에 갑(甲)목으로 본시 신약이나 인(寅)목과 진(辰)토가 류합(類合)하고 그곳에  착근하였으며 을(乙)목이 투출한 가운데 칠살 경(庚)금을 합거하여 신약이 아니다. 독유(獨有) 유(酉)금 작용하고자 하나 유(酉)금 역시 생 자(子)수하고 자(子)수는 일주를 갑목을 생하느라 유(酉)금 불용(不用)이다. 

 

- 그러므로 시상 편재 무(戊)토 재성이 용신이 된다. 

 

- 중년 무(戊)토대운과 기축(己丑)대운에 대성하여 조정에 출입하였던 사주이다.

 

 

 

 

 


 

 

 

 

명조 : 004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오생(말띠) 정유월 갑오일 갑술시 (술시생)

: 병오년주, 정유월주, 갑오일주, 갑술시주

출처-자평진전강해(子平眞詮講解), 심효첨, 이을로, 동학사, 2009.11.13

 

 

◆ 책의 내용 요약

- 1966년생 사주이다. 

 

- 기신을 해결하는 천간이 없어 정관격의 패격이 된 경우이다.

 

- 유(酉)월 갑목으로 정관격이며 정관격을 순용한다. 재성과 인수를 만나면서 형충파해(刑冲破害)가 없는 관봉재인(官逢財印)이면 성격이 되며, 정관이 상관으로부터 극을 당하는 관봉상극(官逢傷剋)이면 패격이 된다. 패격을 만드는 월간의 정(丁)화 상관이 기신이다. 여기에 식상의 기운이 워낙 강해 전형적인 패격으로 분류된다. 패격이니 귀함을 이룰 수 없는 격이 되었다.

 

- 명주는 감명 당시 직장생활을 하고 있지만 수천만 원의 부채가 있어 부모 집에 얹혀살고 있다. 직장에서도 낮은 학력 때문에 직책이 높지 못하다. 부인 또한 경자(庚子)대운 乙亥년(1995년)에 유방암으로 투병하다가 신축(辛丑)대운 癸未년(2003년)에 뇌종양으로 사망하였다. 자식으로 딸 1명이 있다.

 

 

 

 


 

 

 

 

명조 : 005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미생(양띠) 을유월 갑자일 정묘시 (묘시생)

: 을미년주, 을유월주, 갑자일주, 정묘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정화고조(丁火高照) 태수명(太守命)

 

- 일지 자(子)수가 유(酉)금의 기운을 설기하여 갑목일간을 돕고, 정(丁)화가 투출하여 왕성한 목(木)을 설기하며 한편으로는 월령 유(酉)금을 제련하여 배합이 아름답다. 신사(辛巳), 경진(庚辰)대운에 관성이 득지하여 태수의 벼슬을 하였다. 

 

- 만약 병정(丙丁) 식상이 너무 강하고 일지 자(子)수가 관인상생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면, 용신인 관성을 지나치게 제극하여 좋은 명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 유월갑목(酉月甲木)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팔월갑목(八月甲木) 목수금왕(木囚金旺) 정화위선(丁火爲先) 차용병화(次用丙火) 경금재차(庚金再次)
: 유월의 나무는 왕상휴수사로 수(囚)의 상태이며, 유(酉)월의 쇠는 왕하다. 그러므로 왕성한 금(金)을 제련하기 위해 우선 정(丁)화 상관을 용신으로 한다. 다음으로 병(丙)화 식신을 쓰고, 그 다음에 경(庚)금 칠살을 쓴다.


일정일경(一丁一庚) 과갑정현(科甲定顯) 계수일투(癸水一透) 과갑부전(科甲不全)
: 유(酉)월 갑목에 정(丁)화 상관과 경(庚)금 칠살이 드러나면 귀하지만, 계(癸)수 인수가 천간에 있는 경우에는 정화 상관을 정계충(丁癸冲)하므로 온전히 귀하지 못하다.


병경양투(丙庚兩透 ) 부대귀소(富大貴小) 병정전무(丙丁全無) 승도지명(僧道之命)
: 유(酉)월 갑목에 병(丙)화 식신과 경금 칠살이 투출한 경우, 병화 식신이 생재하고 조후작용을 하므로 재물을 얻을 수 있지만 귀함은 적다. 유월 갑목의 팔자에 병정(丙丁) 식상이 전혀 없으면 강한 금으로부터 갑목을 보호할 방법이 없으므로 하천한 승도가 된다.


병투무계(丙透無癸) 부귀쌍전(富貴雙全) 유계제병(有癸制丙) 심상지인(尋常之人)
: 유월 갑목에 병(丙)화 식신이 투출하고 계수 인수가 없으면 부귀가 온전하지만, 계수가 병화를 극하는 경우에는 평범한 사람이다.


지성화국(支成火局) 가허가귀(可許假貴) 무기일투(戊己一透) 가작부옹(可作富翁)
: 유월 갑목이 지지에 화(火) 식상국을 이루면 병화가 투출한 것보다 못하지만 조금은 귀하게 될 수 있다. 무기(戊己) 재성이 투출한 경우에는 식신생재격이 되어 재물을 모은다.


혹지성금국(或支成金局) 간로경금(干露庚金) 위목피금상(為木被金傷) 필주잔질(必主殘疾) 득병정파금(得丙丁破金) 역주로래암질(亦主老來暗疾) 혹지성목국(或支成木局) 간투비겁(干透比劫) 반취경금위선(反取庚金為先) 차용정화(次用丁火)
: 유월 갑목이 지지가 금(金) 관살국이고 천간에 경(庚)금 칠살이 투출한 경우 갑목이 상하여 질병에 노출된다. 병정(丙丁) 식상이 금 관살을 파괴해도 갑목일간이 극설교집(剋洩交集)의 상태가 되어 늙어서 질병이 있다. 만약 지지 목(木) 비겁국이고 천간에 갑을(甲乙) 비겁이 투출하면 가을 나무가 가지만 무성한 형상이므로 경금 칠살로 다듬는 것이 우선이고, 다음으로 정(丁)화 상관을 쓴다.

 

 

 

 

 

 

 

 

명조 : 006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을유월 갑자일 정묘시 (묘시생)

: 경인년주, 을유월주, 갑자일주, 정묘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 支藏丙火(지장병화) 時逢乙丁(시봉을정) 參政命(참정명)

 

- <명조:005> 유사한 명조이다. 정(丁)화가 경(庚)금을 제련하고 인(寅)중 병(丙)화가 조후하며, 연간에 경(庚)금 칠살이 투출하여 더 귀하게 되었다. 참정의 벼슬을 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이 사주는 지지에 병(丙)화가 암장되어 있는데, 시상에 정(丁)화가 하나 있어 참정의 명이 되었다. 을경살인(乙庚殺刃)이 상합(相合)하여 유정하고, 정(丁)화가 높이 떠서 비추니 제함을 얻었고, 추목이 성(盛)하니 관살운으로 흐르면 길하다. 안으로는 참정이요 밖으로는 태수다.

 

 

 

 

 


 

 

 

 

명조 : 007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사생(뱀띠) 을유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을사년주, 을유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 주문단(朱文端) 공의 명조이다. 사유(巳酉) 금(金) 관살국이고 일시에 자(子)수로 관인상생이 되며, 사(巳)중 병(丙)화가 조후해 귀하게 되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이 사주는 사유회국(巳酉會局), 살인상생(殺印相生), 양간부잡(陽干不雜)을 이루었다. 또한 사(巳)화에 병(丙)화가 암장되어 있어 더욱 귀하게 되었다.

 

 

 

 


 

 

 

명조 : 008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정유월 갑인일 정묘시 (묘시생)

: 병술년주, 정유월주, 갑인일주, 정묘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 천간에 병정(丙丁) 식상이 투출하여 관살을 지나치게 제극하므로 크게 귀하지 않다. 다행히 운이 해자축(亥子丑)으로 흘러 효렴(孝廉)의 벼슬을 하였으며, 묘(卯)대운에 사망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이 사주는 병정(丙丁)이 나란히 투출하여 관성을 심하게 제(制)하고 있다. 그러나 다행히도 금수(金水)운으로 흘러 효렴을 얻었다.

 

 

 

 


 

 

 

명조 : 009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술생(개띠) 을유월 갑인일 경오시 (오시생)

: 경술년주, 을유월주, 갑인일주, 경오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이 명조는 천간으로 경(庚)금이 둘이나 투출하였고 유(酉)월에 생하니 금(金)이 가장 왕한 계절이다. 지지에 인오술(寅午戌) 화국을 두니 칠살을 제하는 공은 있으나 극설(剋洩)이 교가(交加)한다. 

 

- 경(庚)금의 예리함이 바야흐로 왕성한데 제(制)하는 것은 권위가 있으나 그러나 그것은 인수로 화(化)하는 덕만 같지 못하다. 인수로 화(化)하는 덕은 일주에게 보탬이 되나 식상으로 제하는 것은 일주의 기(氣)를 설(洩)한다. 이러한 연유로 볼 때 인오술(寅午戌) 회국은 좋은 것이 아니다. 도리어 화(火)는 병(病)이 된다.

 

- 이러한 연유로 자(子)대운 진(辰)년에 대괴(大魁)로 천하에 이름을 떨쳤다. 자(子)대운은 화국을 충파하여 왕한 오(午)화를 제거하고 예예한 경(庚)금을 설하여 일주를 유익하게 하기 때문이고 진(辰)년은 습토가 화(火)기를 설하고 자(子)수와 합으로 일주의 근원이 되는 연고이다.

 

 

 

 


 

 

 

명조 : 010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오생(말띠) 신유월 갑자일 을해시 (해시생)

: 무오년주, 신유월주, 갑자일주, 을해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18년생으로 월건  정기관성격(正氣官星格) 사주이다.

 

- 갑(甲)일주가 백로 금왕절에 생하여 목(木)기가 쇠약할 때나 을(乙)목 비견이 시상에 있고 해자(亥子)가 지지에 있으니 약목이 도리어 왕한 격이다. 

 

- 여명은 관성(官星)이 중요한 법인데 월건 정기관성에 재성이 유력하고 오(午)화로 통기해 주고 있으므로 흠이 없는 복부(福婦)이다.

 

- 추절에 금수(金水)가 냉하므로 화토(火土)운에 발달하였다. 미(未)토운에 출가하여 무(戊)토대운과, 오(午)화대운, 정(丁)대운까지 부군이 출세했으며, 사(巳)화대운과 병(丙)화대운도 길하나 묘(卯)대운 이후로는 불길할 것이다.

 

 

 

 

 


 

 

 

 

2020/05/03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7/03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7/07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3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