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반응형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3) - 바둑기사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술생(개띠) 기유월 갑진일 병인시 (인시생)

: 임술년주, 기유월주, 갑진일주, 병인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2년생으로 정관격(正官格) 사주이다.

 

- 위 명조는 갑(甲)일주가 酉월 약지에 생하여 천간에 임(壬)수가 있고 좌하 진(辰)토와 시지 인(寅)목에 뿌리가 있어 온수생목(溫水生木)하니 천청지윤(天請地潤)이라 마른가지를 전지하여야 하므로 월건 유(酉)금 정관이 용신이 된다.

 

- 시상 병(丙)화가 기(己)토를 보아 유(酉)금을 극하지 못하고 도리어 금(金)을 생하리니 기신이 반위복신이라 한온이 조후하여 금수(金水) 대운이 길하고 인묘(寅卯)대운은 유(酉)금이 절(絶)이 되고 충(冲)이 되어 불길하다.

 

※ 정관격(正官格) : 명리요강(命理要綱)

- 양대음과 음대양이니 甲-辛, 辛-丙 등과 같은 것이다. 나를 극하기는 하나 상하기까지는 않으니 나를 관리함과 같다. 남자는 관성이 관청과 같으므로 민중은 관청이 없으면 질서가 없고, 여자는 관성이 남편과 같으니 여자가 남편이 없으면 예절이 없음과 같다. 

- 관성이 왕하고 일주가 약하면 인성이 있어 관성이 일주를 극하는 사이를 통관시켜 길하며, 재성은 나를 생하는 인성을 극하며 나의 해신(害神)인 관성을 도와 일주가 더욱 약해지므로 불길하다. 차제에 비겁이 재성을 극제하고 일주를 도우면 길하니 대운도 일반이다.

- 관성이 약하고 일주가 왕한데 재성이 있어 약한 관성을 생하면 길하고 상식(傷食)은 약한 관성을 극하므로 꺼리며 대운도 일반이다.

- 만약 일주가 태약하고 간지에 관성이 많으며 재성이 있어 관성을 도우고 인성이나 비겁이 없으면 관성이라도 변하여 살성이 되므로 종살격(從殺格)이 된다. 종살격에는 살이 왕성함을 기뻐하므로 관성운을 만나면 길하고 재성운은 관상을 생하므로 길하다. 인성운은 왕한 관성을 설기하여 기세가 순하므로 길하고 식상운은 관성을 극하여 기세를 역하므로 꺼리며 종살격은 신왕운도 불길하다.

- 정관격에 관성이 왕할 시에는 관운이 불길하고 관성이 약할 시에는 관운이 해가 되지 않는다. 

- 대체로 관격에 관운을 만나면 해가 많으니 남자는 변동이 있고 여자는 가정에 근심이 많다.

 

 

 

 


 

 

 

명조 : 022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신생(원숭이띠) 신유월 갑술일 기사시 (사시생)

: 무신년주, 신유월주, 갑술일주, 기사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08년생으로 종화격(從化格)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갑(甲)일주가 금왕절에 생하여 지지가 신유술(申酉戌) 서방(西方)이 되고 정관 신(辛)금이 투출하니 갑목이 태약하다. 종살격이 당연하나 시상의 일점 기(己)토가 갑기합화토(甲己合化土)하여 종화격이 되었다. 만약 종살격이라면 초년 금(金)운이 길할터인데 1920년(庚申년) 신사(辛巳)월에 사망하니 종화격이 분명하다.

 

※ 갑기합화토격(甲己合化土) : 명리요강(命理要綱)

- 갑(甲)일주가 일주 외에 갑(甲),을(乙)자가 없으며 지지에 인묘(寅卯)자가 없고 해미(亥未) 회국도 없으며 무(戊),병(丙),정(丁) 등 자는 무방하고 진술축미(辰戌丑未)자가 많으며 사(巳),오(午)자는 있어도 무방한데 기(己)자가 시상에나 월상에 1자만 있으면 갑(甲)목이 의뢰할 곳이 없어 기(己)토와 합하여 종화하니, 이 격은 갑기화토(甲己化土)라는 종화격이다.

- 갑목이 화(化)하여 토(土)가 된 이상에는 대운도 같은 토(土)가 왕하는 운이 길하고 나를 생하는 화(火)운도 길하다. 그러나 수목(水木)운은 불길하다. 금(金)운은 대체로 무방하나 특히 경(庚)운은 합하는 갑(甲)자를 충(冲)하므로 불길하다.

 

 

 

 


 

 

 

명조 : 023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을유월 갑인일 병인시 (인시생)

: 경인년주, 을유월주, 갑인일주, 병인시주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목 일간이 유(酉)금 월에 생하여 실기(失氣)했다. 하지만 천간의 갑을(甲乙)이 등라계갑을 이루고 비겁이 중중하니 신강하다. 병(丙)화의 설기만으로는 중화를 이룰 수 없고 억부법을 적용하여 관살을 용(用)해야 한다.

 

- 묘하게도 년간 경(庚)금은 을경합금을 이루게 되어 겁재 을(乙)목이 갑목과 묶이어 일주가 왕해지는 것을 막고, 다시 관살로 화(化)하여 왕한 일주를 극제한다. 자연 사주의 흉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니 이것이 탐관망겁이 된 사주이다.

 

※ 탐관망겁(貪官忘劫)

- 합(合)을 탐하여 겁재가 자기 역할을 망각한다는 의미이다. 예로, 갑(甲)목 일간이 신왕하여 관살이 용신인 경우, 다시 겁재 을(乙)목이 있으면 사주가 태왕 해져 흉한 가운데, 경(庚)금이 투출하여 을경(乙庚) 간합되니, 사흉신중 하나인 을(乙)목 겁재를 합거하여 용신인 관살로 화(化)한다. 이렇게 되면 왕한 일주를 극제하여 일주가 태왕 해 지는 것을 막게 되어 사주의 흉함이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명조 : 024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사생(뱀띠) 계유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기사년주, 계유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29년생 사주이다. 

 

- 이 사주는 일지에 편관(偏官)을 둔 갑신(甲申)일주 여명으로 소실(小室)로 세 번 시집을 가게 되었다.

 

 

 

 


 

 

 

명조 : 025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해생(돼지띠) 정유월 갑인일 임신시 (신시생)

: 신해년주, 정유월주, 갑인일주, 임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1971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명식에 나타난 관성 금(金)이 3개로 이른바 관살혼잡으로 애인과 남편이 뒤섞인 상태이다. 흔히 일찍 시집을 가면 이별하게 되는 사주이다. 

 

- 신축(辛丑)대운 2007년 정해(丁亥)년에 남편의 기운이 동하고 있어 혼자 살기는 어려운 구조이다. 하지만 위 사주의 명주는 혼자 살 각오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혼자 살려면 홀로 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경제력이 받쳐줘야 한다. 그러나 재물과도 인연이 깊지 못하다. 

 

- 재물과 인연이 깊지 못한 이유는 무재 사주이며 신약 사주로 재물을 쥘 능력이 약하며 대운의 흐름 역시 재물을 깨는 흐름이기 때문이다.

 

 

 

 

 

 

 

 

 

 

 

명조 : 026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술생(개띠) 계유월 갑진일 무진시 (진시생)

: 갑술년주, 계유월주, 갑진일주, 무진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34년생 사주이다. 

 

- 재왕관왕하여 신약 할 경우, 관성이 재성보다 왕성할 때는 인성을 용신으로 하여 살인상생격으로 쓸 수 있으나, 재성이 관성보다 왕하면 인성을 용신으로 쓸 수 없는 것은 인성이 재성에 의해서 상해(傷害)되기 때문이다. 

 

- 위 명은 재성 토(土)가 왕하여 갑(甲)목을 용신으로 하여 재성인 왕토를 소토하여야 한다. 갑(甲)목 용신에, 계(癸)수 인성이 희신이고, 용신을 극하는 정관 금(金)이 기신이다. 그렇기 때문에 금(金)을 극하는 술(戌)중 정(丁)화가 약신이 된다.

 

- 위 사주의 주인은 암자(庵子)에서 공양주 생활을 하는 분으로 길림성에서 왔다. 초년부터 무(戊)토 대운까지 길흉이 상반이었다. 진(辰)토 대운에 팔자의 진(辰)토와 술(戌)토가 충(冲)하여 왕토가 태왕해지니 관성인 금(金)이 매몰되고 용신인 목(木)이 절(折)하여 부군과 사별하였다. 정(丁) 대운에는 길림성에서 대구의 모 사찰로 오게 되었다. 

 

- 시상 편재에 신왕한 명조뿐만 아니라 신약 하더라도 길운을 만나게 되면 횡재수가 있다. 공양주 생활 동안은 급여가 적지만 병인(丙寅)과 을(乙)목 대운에 길림성으로 돌아가서 부자 소리를 들으면서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명조 : 027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신생(원숭이띠) 정유월 갑진일 을해시 (해시생)

: 병신년주, 정유월주, 갑진일주, 을해시주

출처-별난 사람들의 별난 사주이야기 108제 2, 김동환, 여산서숙, 2015.01.05

 

 

◆ 책의 내용 요약

- 1956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유(酉)월의 갑목으로 정관격이지만 정(丁)화가 투간하여 관(官)을 쓸 수가 없다. 명예를 바라면 불리하다. 그렇기에 내 몸을 불살라 살아야 하는 명조가 되었다. 

 

- 계묘(癸卯) 대운에 월주를 천격지충(天擊地冲)한다. 월주는 가정궁이므로 가정사가 발생한다. 2011년 신묘(辛卯)년에 이혼하고 출가하여 스님이 되었다. 그러나 2013년 계사(癸巳)년에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 2013년 계사(癸巳)년은 인수가 상관 정(丁)화를 끄고, 사(巳)화는 사신(巳申) 형살이며, 또한 갑(甲)목이 장생하는 해(亥)수와 사해충(巳亥冲)이 되는 해였다.

 

※ 천격지충(天擊地冲)

천격지충(天擊地冲)이란? 대운에서 일간지를 치는 운일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하늘 천(天) 부딪칠 격(擊)자로 사주 일간을 극하거나 충하여 부딪침을 말한다. 또한 월주, 시주, 년주를 충(冲)하여 충돌할 때도 천격지충(天擊地冲)이라 한다. 

대운에서 년주를 치는 운일 경우 관재가 따르고, 월주를 칠 경우 가정사나 부모 형제로 인한 고통이 발생하고, 시의 간지를 칠 경우는 자손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자신의 간강 문제도 돌봐야 한다.

 

 

 

 


 

 

 

명조 : 028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신생(원숭이띠) 신유월 갑술일 을해시 (해시생)

: 무신년주, 신유월주, 갑술일주, 을해시주

출처-상태명리(狀態命理), 정수호, 서연, 2019.12.21

 

 

◆ 책의 내용 요약

- 1908년생 사주이다. 

 

- 일주가 신약하고 관살(官殺)이 태왕하니 일생을 체력을 이용하여 관살에 항거하며 살았다. 

 

※ 체력 노동과 비체력 노동 사주

◆ 체력을 활용하는 사주
- 일반적으로 신약 재중(財重)으로 신(身)과 재(財)의 역량 차이가 큰데 종격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는 일주가 대개 체력 위주의 일에 종사한다. 실제 많은 사람들이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직 직종에 종사한다.

- 일주가 특별히 왕하고 나아가 재성이 특별히 약하다면, 즉 신(身)과 재(財)성의 역량의 차이가 크고 일주가 일기전왕격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사람 또한 체력  위주의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 일주가 신약(身弱)에 관살이 태왕하고 다시 종격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체력 위주의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 신왕하고 비겁이 왕하지만 전왕격을 구성하지 않고, 나아가 재관 식상이 태약하다면, 대개는 체력을 필요로 하는 일을 한다. 신(身)과 비견이 왕하다면 이것은 그 사람의 체력이 왕성한 것을 표시하는데, 이런 경우는 어떤 일정한 방식을 통하여 왕신의 역량을 소모하여야 한다. 그런데 명국의 재관이나 식상이 태약하므로 극설모로 왕신을 치료하지 않는다면, 명국의 평형 작용을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명주는 오직 현실 생활에서 체력을 소모하는 방식으로 신왕에서 오는 적재된 에너지를 소모하여 평형에 다다르게 하여야 한다.

- 신약하고 재성이나 관성 혹은 식상이 태왕하다면 신(身)과 극설모성을 서로 비교하여 보면 그 역량의 차이가 크지만 종격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일주는 체력을 필요로 하는 노동 위주로  생업을 한다. 일주가 태약(太弱)하지만 종격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정황은 대개 재관이나 혹은 식상이 왕한 것이다. 특히 일주가 종(從)하지 않는다면 오직 체력으로 재관과 식상에 대항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체력을 필요로 하는 일에 종사한다.



◆ 체력을 사용하지 않는 팔자
- 신(身)과 재성의 역량이 비슷하다면 비체력 관련 일에 종사한다. 

- 명국이 식상생재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

- 신과 관의 역량이 비슷하고 또한 인성이 있어 통관하는 자.

- 특수 격국에 해당하는 경우.

- 명국이 특수 격국을 구성하고 있다면, 대개는 비체력 노동자이다. 예를 들어 일주가 일기전왕격이나 양기전왕격 그리고 종관살, 종식상 등의 격국은 모두 비체력 노동자이다. 

- 보통 격국 중 일반적으로 신(身)과 재관(財官) 혹은 식상의 역량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명주는 비교적 체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에 종사한다. 

 

 

 


 

 

 

명조 : 029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오생(말띠) 기유월 갑술일 병인시 (인시생)

: 임오년주, 기유월주, 갑술일주, 병인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42년생 사주이다. 

 

- 유(酉)월의 갑목으로 금강목약한데 인오술(寅午戌) 화국에 병(丙)화가 투간하여 약한 일주를 설기하고 재성 기(己)토도 투간하여 화(火)의 생을 받을 받으니 재성이 왕하다. 극설이 교가하여 신(身)이 더욱 약하게 되었다. 년상의 임(壬)수 인성으로 생목해주어야 된다.

 

- 신약 사주에 인성위용(印星爲用)하여 임수 용신에 금(金)이 희신이며 사주의 병(病)은 재성인 기(己)토이고 약신은 인(寅)목이 된다.

 

- 미(未)토 대운 갑진(甲辰)년에 유진합금이 되어 결혼하고 을사(乙巳)년에 약신을 도우고 사유(巳酉)합으로 희신이 되니 득자하였다.

 

- 상관대운인 오(午)대운에 희신인 관성을 상해(傷害)하니 남편이 미국으로 가서 현지처를 만들어 살림을 차렸다. 이후 사(巳)대운 이혼하게 되었다. 

 

- 위 사주는 임오(壬午)년주 기준으로 신유(申酉) 관성이 공망이고 갑술(甲戌)일주 기준으로도 신유(申酉) 공망으로 관성이 호환공망이 되어있는 사주이다. 

 

- 갑(甲)대운은 약신이 되어 길하고 진(辰)토 대운은 인수의 고장에 다시 진유합금으로 희신이 되어 길하다. 또한 정인 계(癸)수 대운 역시 길하지만 묘(卯)대운은 월지 정관과 충(沖)하며 용신 임(壬)수가 사(死)지에 들어가니 길하지만은 않다.

 

 

 

 


 

 

 

 

명조 : 030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을유월 갑인일 정묘시 (묘시생)

: 경인년주, 을유월주, 갑인일주, 정묘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50년생으로 프로 바둑기사의 사주이다.

 

- 정해(丁亥) 대운 1969년 기유(己酉)년 입단하여 기축(己丑)대운 1997년 정축(丁丑)년에 9단에 올랐으며 총 4차례 우승을 하였다. 

 

- 유(酉)월 초기 사령으로 경(庚)금이라 편관격(偏官格)이며 시상의 정(丁)화와 년지와 일지의 인(寅)중 병(丙)화로 인하여 제살태과가 되어 있다. 금(金) 용신에 화(火)가 기신이다. 

 

- 시간에 상관과 겁재가 강하여 아들은 없으며 딸만 2명을 두었다.

 

 

 

 

 


 

 

 

 

 

 

2020/05/02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1) - 정관격(正官格)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5/03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2) - 판사 부인의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7/07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유월 갑목(酉月 甲木)(4) - 동일 사주 포함 - 가을생 삼추(三秋)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31 ◆ 갑목일간(갑목일주) 유월갑목(酉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