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4) - 월지 천을귀인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31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미생(양띠) 신축월 갑오일 을축시 (축시생)
: 신미년주, 신축월주, 갑오일주, 을축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음)1931년생으로 농수산부 차관을 지낸 명조이다.
- 종재격(從財格)으로 좋은 사주이다. 갑(甲)일주가 천을귀인(天乙貴人)을 연, 월, 시지에 두고 있으며 월간 신(辛)금의 천을귀인인 오(午)화를 다시 일지에 두고 있으니 복이 많은 사주라 할 수 있다.
- 부인은 갑술(甲戌)년 병인(丙寅)월 신해(辛亥)일 신묘(辛卯)시생으로 목(木)이 기신인 가운데 금(金)대운을 만나 귀부인이 되었다.
명조 : 032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해생(돼지띠) 신축월 갑자일 갑술시 (술시생)
: 신해년주, 신축월주, 갑자일주, 갑술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송나라 학자이자 시인인 소강절(邵康節) 선생의 사주이다.
- 적천수에 이르기를 "수(水)의 기운이 분주하게 흐르면 성품이 온유하다"라고 한다. 온전한 금수(金水)의 기운이 지지에 서북(西北)으로 모여 있으니 우수하며 그 왕성한 세력을 종(從)한다.
- 금수목(金水木)이 상생하여 그 사람이 강하고 부드러움이 상제(相濟: 서로 도와서 성취하다)하여 사람됨과 덕을 갖춘 자질이니 학문이 쌓이고 행실이 돈독하여 그 이름이 오래도록 높았으니 한 시대만의 인물이 아닐 정도로 훌륭하다.
※ 소강절(邵康節) : 인명사전 발췌
: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儒學者). 이름은 옹(雍), 자는 요부(堯夫). 강절은 그의 시호이다. 이정지(李挺之)에게 도가(道家)의 《도서선천상수(圖書先天象數)》의 학을 배워 신비적인 수학을 설파하였으며 또 이를 기본으로 한 경륜(經論)을 주장했다. 왕안석(王安石)이 신법을 실시하기 전에 톈진[天津]의 다리 위에서 두견새 우는 소리를 듣고 천하가 분주할 것임을 예견하였다 한다.
명조 : 033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신축월 갑인일 을해시 (해시생)
: 신축년주, 신축월주, 갑인일주, 을해시주
출처-바꿔보면 보인다, 김용길, 산청, 2015.03.25
◆ 책의 내용 요약
- (음)1961년생으로 대학교수의 사주이다.
- 갑인(甲寅) 거목이 축(丑)월 생으로 신(辛)금 정관이 년월에 투출되어 정관격이라 칭하는 사주이다. 축(丑)월은 겨울이고 신(辛)금이 들어있는 자갈밭이라 생목인 갑(甲)목이 뿌리박으려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일지 인(寅)중 병(丙)화 식신을 감추고 있으며 축월 다음에는 생목이 힘을 얻는 봄이 오므로 희망찬 밝은 꿈을 지닌 채 어려움을 이겨 나갈 수 있다.
- 생목은 금을 제일 기(忌)하고 화(火)를 좋아하고 토를 좋아한다. 그러므로 정관 신(辛)금이 득록하는 유(酉)대운이 가장 힘든 시기였다. 정(丁)화 대운은 좋은 때고 병(丙)화 대운 역시 좋다. 갑일주가 해(亥)시를 만났고 인(寅)중 병화가 최대 희신이므로 교육자인 대학교수가 되었다.
- 월간 신(辛)금 정관은 겁재를 막아 주는 역할을 하지만 생목인 갑목을 힘들게 하는 역할도 겸한다. 그러므로 직장생활로 가게 되나 그에 따른 고통은 신(辛)금이 뿌리를 얻는 운에 오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사주는 일주 자체가 힘이 있고 병(丙)화를 감추고 있으므로 어려운 환경을 뚫고 나가게 된다.
명조 : 034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사생(뱀띠) 기축월 갑신일 병인시 (인시생)
: 을사년주, 기축월주, 갑신일주, 병인시주
출처-김석귀의 사주(四柱) 감정서, 김석귀, 지식공감, 2013.08.22
◆ 책의 내용 요약
- (음)1965년생으로 재다용비격(財多用比格) 사주이다.
- 갑목일주가 지지 인(寅)목에 통근하고 비겁이 적당한 힘을 유지하고 있다. 사주에 강한 것은 토(土)성인 재성이다. 재성이 강하면 피해를 보는 것은 수(水) 인성이다. 수(水) 인성을 구제할 수 있는 오행은 목(木)성과 금(金)성인데 금성을 용신으로 하면 비겁이 신약하기 때문에 쓸 수가 없다. 그렇기에 비겁이 재성을 공격하고 인성을 보호해야 한다.
- 목(木) 비겁이 용신, 수(水) 인성이 희신, 금(金) 관살이 기신, 토(土) 재성이 구신, 화(火) 식상이 한신이다.
- 계(癸)수 대운에 계수 인수 희신운으로 인수(印綬)가 희신이면 문서쪽이나 이성쪽으로 길하게 된다. 2001년 신사(辛巳)년에 신(辛)금이 사주의 병(丙)화와 병신합수하여 임(壬)수 편인으로 화(化)하여 편인운이 된다. 임(壬)수 편인은 문서이고 신(辛)금 정관은 직장이며 동시에 남자이다. 자영업을 시작해서 생각보다 운영이 잘되고 있는 가운데 손님으로 왔다가 알게 되어 친하게 된 사람과 연인이 되었고 결혼을 생각하게 되었다.
명조 : 035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미생(양띠) 기축월 갑신일 갑술시 (술시생)
: 을미년주, 기축월주, 갑신일주, 갑술시주
출처-김석귀의 사주(四柱) 감정서, 김석귀, 지식공감, 2013.08.22
◆ 책의 내용 요약
- (음)1955년생으로 재다용비격(財多用比格) 사주이다.
- 갑(甲)목일간이 지지에 통근하지 못하고 신약하다. 사주에 강한 것은 재성인 토(土)성이다. 재성이 강하면 피해를 보는 것은 인성인데 구제할 수 있는 것은 목(木) 비겁과 금(金) 관성이다. 하지만 관살은 사주에 없으므로 자격이 미달이다. 비겁이 재성을 극하고 인성을 보호해야 한다.
- 목(木) 비겁이 용신, 수(水) 인성이 희신, 금(金) 관살이 기신, 토(土) 재성이 구신, 화(火) 식상이 한신이다.
- 갑(甲)목 대운에 갑목은 사주 기(己)토와 갑기합토국하여 무(戊)토 편재로 구신운이 된다. 갑목 비견이 합(合)하여 편재 구신으로 변질되면 재물이나 여자 욕심 때문에 함정에 빠지게 된다.
- 갑(甲)대운 2001년 신사(辛巳)년에 사주의 년간 을(乙)목과 을신충(乙辛冲)이다. 용신 비겁은 더욱 약해지고 재성은 강하게 되어 비겁이 흔들리는 현상이다. 가정이 있는데 여자를 만났는데 그 여자가 만나기만 하면 빨리 이혼하라고 매달리는 상황이다.
명조 : 036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진생(용띠) 기축월 갑술일 무진시 (진시생)
: 경진년주, 기축월주, 갑술일주, 무진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甲)일간이 간지에 토왕재성(土旺財盛)할 뿐이므로 일주는 종재(從財)하게 된다.
- 무자(戊子)대운은 무(戊)토는 길운이요 자(子)수는 흉한 운이나 자축합(子丑合)하고 간에 무토가 재성을 도울뿐 아니라 무(戊)토와 자(子)중 계수는 합화(合化)하니 유정하여 존명(存命)하였고 정해(丁亥)대운은 정(丁)화가 길신인데 해(亥)중 무(戊)토가 암존한 것과 함께 해중 갑(甲)목이 정(丁)화를 생하니 정화가 생토하는 중재 역할을 하므로 평안하였다.
- 병술(丙戌) 대운은 대발할 운이나 형충(刑冲)이 되므로 여의(如意)하지 못하였다.
-을(乙)목은 유목(柔木)이고 을경합하므로 사망하는 것은 면하였다. 갑(甲)목대운에 사망하니 만일 식상인 병정사오(丙丁巳午)가 있으면 설목화화(洩木化火)하므로 무방하였을 것이다.
- 종재격에 식상이 있으면 제일 기휘(忌諱)하는 비겁 대운을 만나도 무방하고 학문에도 취미(趣味)를 붙이는 것이다.
명조 : 037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축생(소띠) 신축월 갑인일 갑자시 (자시생)
: 신축년주, 신축월주, 갑인일주, 갑자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범도서(范都書)의 사주이다.
- 본명은 공귀격(供貴格)이다. 자(子)수와 인(寅)목 사이에 천을귀인 축(丑)토를 공귀(供貴)하고 신(辛)자와 축(丑)자가 다 같이 있어 전실(塡實)되고 태과한데 대운이 다시 신약의 서방(西方)운으로 행하니 백의(白衣)로 일생을 마치었다.
- 공귀격은 귀인이 전실됨을 대기(大忌)하고 공위(拱位)인 일주와 시주 사이에 공귀를 형충함을 꺼린다. 또 사주에 관성이 있어서 일주를 충하는 것 또한 꺼리고 칠살이 있어서 공귀가 불능하게 되면 또한 그 복록이 반감해야 하는바 세운이나 대운에 있어서도 동법이다.
명조 : 039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술일주 (곤명, 여명)
: 신사생(뱀띠) 신축월 갑술일 임신시 (신시생)
: 신사년주, 신축월주, 갑술일주, 임신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음)1941년생 사주이다.
- 축(丑)월의 갑(甲)목이 사축(巳丑) 금에 두 개의 신(辛)금이 투간하고 신(申)금과 술(戌)토 사이에 유(酉)금을 공협하니 관살이 태왕하다. 인성을 용신으로 하는 살인상생격으로 임(壬)수가 용신에 금(金)이 희신이며 토(土)는 사주의 병(病)이되고 목(木) 비겁이 약신이 된다.
- 살(殺)이 왕한데 식상으로 제살하려 하니 사(巳)화는 사축(巳丑)으로 변하여 살이 되고 술(戌)중의 정(丁)화는 신유술 서방인 금에 속하게 되었다. 따라서 왕한 살을 임(壬)수로 살을 설(洩)하는 살인상생격이 되는 것이다. 묘(卯)대운에 약신이 되니 결혼하고 일남일녀를 두었다. 진(辰)토대운에 부상(夫喪)을 당하였다. 이는 관살이 혼잡하고 좌하가 화(火)의 고장지인데 진술충(辰戌冲)으로 화(火) 식상이 동한 연고이다.
- 사(巳)화 대운에 철학 공부를 배우기 시작하여 정(丁)화 대운까지 정착을 하지 못하고 행지(行止)가 부정(不定)하였다고 한다. 이는 남방(南方) 화운은 흉운이고 신(申)금이 역마살이며 사(巳)화는 지살이 되기 때문이다.
- 철학을 공부하면서 본인의 사주를 식신제살격으로 생각하여 화(火)운에 나쁜 것에 대하여 의문을 가졌었다.
- 미(未)토 대운은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을 성국하니 길운이 아닌데 이때는 재성으로 인한 관재구설이 염려된다.
- 위 사주는 살아온 과정을 살펴보니 식신제살격은 아니었다. 또한 종살격(從殺格)으로 볼 수도 있지만 편인 임(壬)수가 있고 갑목은 양간이므로 이 또한 아닌 것이다. 그리고 암명관(暗命官)이 혼잡되면 현모양처가 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하게 된다.
명조 : 039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자생(쥐띠) 기축월 갑술일 갑술시 (술시생)
: 경자년주, 기축월주, 갑술일주, 갑술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술(戌)중에 정(丁)화가 암장되어 있는 가운데, 대운이 남방(南方) 화(火)운으로 흐르니 정(丁)화가 인출되어 순무(巡撫)에 올랐다.
명조 : 040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亥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술생(개띠) 을축월 갑오일 임신시 (신시생)
: 무술년주, 을축월주, 갑오일주, 임신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음)1958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축(丑)월 토왕절에 생하고 한습한 가운데 무술(戊戌)이 있으니 재성이 왕하다. 오(午)화가 목(木) 비겁을 설기하고 재성을 생하고 다시 신(申)금 편관이 재(財)의 생을 받으니 관성도 왕하다. 극설(剋洩)이 교가(交加)하여 신약하므로 월상의 을(乙)목 겁재가 의지처이다. 따라서 목(木) 비겁이 용신이며 수(水) 인성은 희신이 된다. 또한 왕한 금(金) 관살은 사주의 병(病)이고 이 병을 제거하는 화(火)인 오(午)화가 약신(藥神)이 된다.
- 초년 목화(木火)대운에 부가에서 생장하여 법학을 전공하였으나 관성이 사주의 병(病)이므로 사법고시에 실패하였다.
- 무(戊)토대운에 부모님으로 부터 재산을 상속받았으나 진(辰)토 대운에 기신인 왕토(旺土)가 충발하니 사업에 실패하게 되었다. 기(己)토 대운은 남은 재산으로 숙박사업을 하였으나 이 역시도 사(巳)대운에 사축(巳丑) 금국이 되어 사주의 병(病)을 깊게 하니 역시 실패하였다.
- 향후 경(庚)대운은 용신 을(乙)목을 을경합으로 합거하니 길운이 아니며 오(午)대운은 약신이 되어 길하겠다.
2020/04/02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1) - 잡기격(雜氣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丑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4/04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2) - 귀부인(貴夫人)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2) - 귀부인(貴夫人)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2) - 귀부인(貴夫人) 사주 포함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丑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4/05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3) - 부성입묘(夫星入墓)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3) - 부성입묘(夫星入墓)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축월 갑목(丑月 甲木)(3) - 부성입묘(夫星入墓)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축월갑목(丑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을..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