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1) - 편인격(偏印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1) - 편인격(偏印格)

반응형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1) - 편인격(偏印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사생(뱀띠) 을해월 갑자일 갑자시 (자시생)

: 기사년주, 을해월주, 갑자일주, 갑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화토득위(火土得位) 관지일품(官至一品)

 

- 지지에 자(子)수와 해(亥)수 등이 있어 수(水)가 범람하므로 사(巳)중 병(丙)화와 무(戊)토를 써서 수를 조절한다. 초반 금수(金水)운은 흉하였으나 일품의 벼슬을 하였다.

 

 

※ 해월갑목 : 궁통보감(窮通寶鑑)

十月甲木(십월갑목) 庚丁爲要(경정위요) 丙火次之(병화차지) 忌壬水泛身(기임수범신) 須戊土制之(수무토제지)

: 해월갑목은 우선 경금 칠살과 정화 상관이 필요하며, 병화 식신은 그 다음에 사용한다. 또한 해월갑목은 임수 편인이 건록을 차지하여 물이 넘쳐서 갑목이 뜨는 수다목부(水多木浮)가 되면 흉하므로, 무토 편재로 임수를 제극한다.
 

若庚丁兩透(약경정양투) 又加戊出干(우가무출간) 名曰去濁留清(명왈거탁류청) 富貴之極(부귀지극) 即乏丁火(즉핍정화) 亦稍有富貴(역초유부귀) 或甲多制戊(혹갑다제무) 庚金無根(경금무근) 平常人也(평상인야) 庚戊若透(경무약투) 雖出比劫(수출비겁) 必定富而壽(필정부이수)
: 해월갑목은 경금 칠살과 정화 상관은 물론 무토 편재까지 투출하면, 혼탁함은 없이 깨끗함만 남아 매우 부귀를 이룬다. 단, 정화 상관이 적으면 부귀가 작다. 갑목이 많아 무토를 극하는 군겁쟁재이면 토생금을 못해 경금의 뿌리가 잘라지므로 보통사람이다. 경금과 무토가 투출하면 비겁이 있어도 재물이 있고 오래 산다.

 
或多比劫(혹다비겁) 只一庚出干(지일경출간) 坐祿逢生(좌록봉생) 乃爲捨丁從庚(급위사정종경) 略富貴(약부귀) 或支見申亥(혹지견신해) 戊己得所(무기득소) 以救庚丁(이구경정) 可許科甲(가허과갑) 若單己透(약단기투) 其力弱小(기력약소) 不過貢監而已(불과공감이이) 用庚(용금) 土妻金子(토처금자) 用丁(용정) 木妻火子(목처화자)
: 해월갑목에 비겁이 많으면 경금 칠살이 천간에 1개 투출하면, 경금 칠살이 약하므로 건록 위에 있거나 재성으로 약한 살을 생해야 한다. 이때 갑목일간은 약한 경금을 녹이는 정화 상관을 버리고 부득이 경금 칠살을 쓰며 약간의 부귀를 이룰 수 있다.

 

 

 

 


 

 

 

 

명조 : 002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계해월 갑자일 을해시 (해시생)

: 무진년주, 계해월주, 갑자일주, 을해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첩경(四柱捷徑)

- 고전 명조이다. 

 

- 이 사주는 갑(甲)일 해(亥)시로써 육갑추건격이 분명하다. 월령에 해(亥)수가 있고 또 이격에 기(忌)하는 재가 생년 무진(戊辰)이 있는 것은 불미하다. 그러나 사주에 봉인(逢印) 인국(印局)이면 첩견재성(疊見財星)이라도 위열명향(位列名鄕)이라고 고가(古歌)에 기록되어 있는데 계(癸)수로 투출 인수하고 해자해(亥子亥)로 인수국을 이루어 있으므로 무진(戊辰) 견재(見財)하였도 크게 귀(貴)하게된 사주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戊出天干(무출천간) 止流水(지류수) 號曰六甲趨乾(호왈육갑추건) 官至封侯(관지봉후)

 

- 연간에 무(戊)토가 해(亥)수의 물을 막고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이 되어 제후가 되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위 사주는 천간에 무(戊)토가 수(水)의 흐름을 막고 있으니, 육갑추건격이 되어 부윤에 올랐다. 해(亥)수는 건궁인데, 육갑(六甲)일이 해월 해시에 태어나면 추건격이라 한다. 그리고 천간 무토가 수(水)를 막고 있어 용재손인(用財損印)한다.

 

 

※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 : 연해자평(淵海子平)

- 유갑추건격(六甲趨乾格)이란 갑(甲)일생이 해(亥)자가 많음을 일컫는 말이니 해(亥)수가 괘(卦)위상 건궁(乾宮)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해(亥)자는 천문의 위치가 되고 북극(北極)의 원(垣)이 되는 바 갑목이 다시 간생(間生)하는 자(字)이니 귀격이 아닐 수 없다.

- 따라서 갑일생이 해(亥)자가 많으면 자연히 부귀하고 사(巳)자는 충해하므로 기휘(忌諱)하며 다시 갑의 록(祿)이 인(寅)자에 있는데 인(寅)을 해(亥)가 합록해 오는 바 합록격(合祿格)을 겸하여 더욱 귀기가 가조(加助)되는 것이다. 재성운을 기(忌)하며 인사(寅巳) 두 자는 또한 충(冲)위이고 전실(塡實)위이므로 기(忌)하며 세운이나 대운이 역연(亦然)하다.

※ 육갑추건격 : 사주첩경(四柱捷徑)

- 육갑(六甲)일 즉 갑자, 갑술, 갑신, 갑오, 갑진, 갑인일생이 을해(乙亥)시를 만난 자는 갑추건(甲趨乾)이라는 격으로써 가장 마땅하도다. 그러나 세운에 봉재(逢財)하고 또 다시 봉관(逢官)이면 재는 추건이 되는 해(亥)자 인수를 극하고 관(官)은 일주를 극하여 관재(官災) 화환(禍患)이 같이 일어나더라.

- 그러나 이 갑추건(甲趨乾)격에 인수가 투출하고 인수 회국을 이루었으면 첩견재성(疊見財星)이라도 겁낼 것 없고 도리어 위열공향(位列公鄕)이 되도다.

- 그리고 만약 세운에 재가 와도 수왕목표(水旺木漂)의 수(水)를 제하고 또 신이 만약 약하다 하더라도 신(申)금 관살이 주중에 자(子)수가 있으면 신(申)금은 자수와 합하여 생수하고 수생갑목신(水生甲木身)하므로 살인상생이 되어 복록이 크게 이르러 오게 되는 것이다.

※ 육갑추건격 : 명리강론(命理講論)

- 갑일주가 해(亥)시에 출생하면 육갑추건격이 성립된다. 갑(甲)은 만물의 비롯이요. 해(亥)수는 천문이며 갑(甲)의 생궁(生宮)이되므로 성립이 된다.

- 운세가 재(財)와 관(官)운이면 재앙이 따르지만 인수국을 이루고 있으면 오히려 재관(財官)이 있어야 고귀해진다.

- 사(巳)운이 들어 해(亥)수를 충거하면 격이 깨지므로 흉이 따른다.

 

 

 

 

 


 

 

 

 

 

명조 : 003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용띠) 계해월 갑자일 을축시 (축시생)

: 무진년주, 계해월주, 갑자일주, 을축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甲)일 간이 해(亥)월에 생하여 수(水)기 다(多)하여 해자축(亥子丑) 북방(北方) 수기(水氣)가 전유하니 귀명이다. 사(巳) 대운은 해(亥)자를 충(冲)하므로 대흉하다. 무기(戊己) 재성운은 장애가 있다.

 

- 초년시절부터 득명하고 운정(雲程)에 직상(直上)하여 명관이 되었다. 연상에 재성 무(戊)토가 솟아 있음은 기(忌)하는 바이며 대운중 인(寅)자는 전실(塡實) 위(位)이므로 감복의 증조(證兆)이다.

 

 

 

 

 


 

 

 

 

명조 : 004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신해월 갑술일 병인시 (인시생)

: 임진년주, 신해월주, 갑술일주, 병인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신임(辛壬)이 나란히 출간했으니 수(水)가 왕성하다. 목(木)이 뜨게 되니 시상 병인(丙寅)이 유용하다. 더구나 인(寅)궁에 있는 갑병무(甲丙戊)가 모두 유기하고, 술(戌)궁에 무(戊)토가 있으니 식신생재격이 되어 만년이 길하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단용무토(耑用戊土) 선빈후부(先貧後富)

 

- 신(辛)금이 생조하는 임(壬)수가 투출하여 수다목부(水多木浮)의 형세다. 술(戌)중 무(戊)토로 수(水)를 제지하고 시간의 병(丙)화로 조후하는 식신생재격이다. 병진(丙辰)운부터 부자가 되었다.

 

 

 

 

 


 

 

 

 

명조 : 005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신해월 갑자일 기사시 (사시생)

: 임진년주, 신해월주, 갑자일주, 기사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 갑기합이 되지만 화오행을 받쳐주는 화토(火土)가 실령하였다. 사(巳)중 병화와 진(辰)중 무토는 팔자의 거센 물로 인해 무력하고, 천간에 투출하지 않아 역할이 없다. 외롭고 빈한하며 질명이 많았으나, 병진(丙辰), 정사(丁巳)대운에 무토가 힘을 받아 약간의 의식은 있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이 사주는 화토격(火土格)이 실령하여, 고독하며 질병이 많았으나 만년에는 의록이 있었다. 화(火)신이 왕지로 흐르면 길하다. 따라서 갑기화토(甲己合土)가 있으면 반드시 화(火)로 용신을 삼아야한다. 임(壬)과 신(辛)이 나란히 출간하여 수다(水多)하니 토가 흩어져 파격된다. 시상의 사(巳)중 병무(丙戊)가 쓰임을 얻어 병진(丙辰)운과 정사(丁巳)운에 의록이 있었다.

 

 

 

 

 

 

 

 

 

 

 

명조 : 006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기해월 갑진일 임신시 (신시생)

: 신축년주, 기해월주, 갑진일주, 임신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고전 명조이다.

 

- 此爲燈火拂劍(차위등화불검) 異路恩封(이로은봉) 妻賢子肖(처현자소)

 

- 갑진(甲辰)일과 을사(乙巳)일주는 임신(壬申)이나 계유(癸酉)시를 만난 경우 등화불검(燈火拂劍)이라고 한다. 과거 급제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녹봉과 토지를 얻었으며, 처와 자식이 잘 되었다.

*. 갑진(甲辰)과 을사(乙巳)의 납음은 복등화이며, 임신(壬申)과 계유(癸酉)는 검봉금이다. 여기에서 등화불검(燈火拂劍)이라는 말이 나왔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위 사주는 등화불검(燈火拂劍)인데, 이로(異路)로 은봉을 받았다. 현명한 아내와 효자를 두었다. 여기서 검()은 임신과 계유를 말한다. 갑진생과 을사생이 임신(壬申)시나 계유(癸酉)시에 태어나면 등화불검이 된다.

 

 

 

 

 


 

 

 

 

명조 : 007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사생(뱀띠) 계해월 갑인일 임신시 (신시생)

: 계사년주, 계해월주, 갑인일주, 임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고전 명조이다.

 

- 갑인(甲寅)일주가 해월에 태어나 한목(寒木)이니 반드시 화(火)를 써야 하는데 사주에 왕한 수(水)가 네 개나 있어 용신을 손상한다. 원국에 토가 없어 왕한 수(水)를 억제치 못하니 불미한 것 같으나 묘한 것은 인해(寅亥) 합으로 사(巳)화가 절처봉생이 된 것이다. 이는 흥발의 조심이다.

 

- 초운 서방(西方) 금지(金地)로 흘러 체용이 다 손상되어 갖은 풍상을 다 겪었다. 이는 다 때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 사순이 지나 대운이 남방(南方) 화토(火土)운으로 바뀌어 용신을 도우니 인수를 버리고 재를 취하여 수만의 재물을 이룩하였으며 첩을 얻어 연달아 아들 넷을 낳았다. 이로써 보건대 인수가 용신일 때 재를 만나면 화가 적지 않으나 인수를 쓰지 않고 재를 취할 때는 발복이 크다.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 갑목 일간이 인(寅)목과 해(亥)수가 있고 간(干)에도 수(水)가 있으므로 강하다. 강한 일간은 금(金)으로 극하든지 화(火)로 설하여 약화시켜야 하는데, 관성인 신(申)금은 일주를 극하는 것이 아니고 강하게 충(冲)한다. 일반적으로 비겁을 충하는 관성은 용신으로 삼지 않는다.

 

- 따라서 식신인 사(巳)화를 용신으로 삼아 강한 일간을 설(洩)하여 약화시켜야 한다. 또한, 인신충(寅申冲)을 화(火)로 해소시켜야 하므로 목(木)을 희신으로 삼고 화(火)를 용신으로 삼는다.

 

- 한편, 용신인 사(巳)화는 해수가 충(冲)하므로 희신인 목(木)으로 사해충(巳亥冲)을 통관하여 해소시킨다.

 

 

 

 

 


 

 

 

 

명조 : 008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신해월 갑인일 갑자시 (자시생)

: 임자년주, 신해월주, 갑인일주, 갑자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이상갑, 지식과 감성, 2018.11.12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고전 명조이다.

 

- 갑인 일원이 해(亥)월에 생하여 수(水)가 왕하고 목(木)도 견고하다. 왕함이 극에 이르렀다. 일점 신(辛)금은 수(水)의 세력을 따르니 목의 왕한 성정을 거슬리지 않아 안정되고 화평하며 역생(逆生)의 차례를 얻었다.

 

- 더욱 아름다운 것은 원국에 토(土)가 없어 수(水)의 성정을 거슬리지 않는 것이다. 초년 운이 북방(北方)으로 반궁에 들었고 과거에 급제하였다. 갑인(甲寅), 을묘(乙卯) 운은 왕신의 성정을 따르니 이름 있는 고을의 수령으로 나갔다.

 

- 병진(丙辰) 운은 그래도 합(合)이 되는 뜻이 있어 비록 벼슬에서 물러났지만 흉구는 면하였는데 정사(丁巳)대운에 이르러 한신이 왕한 수(水)의 성정을 충격하여 그 성정을 거슬리니 사망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응용 현대사주 2

- 사주의 대부분이 수목(水木)으로 이루어져 갑(甲)목 일간이 매우 강한데, 관성인 신(辛)금은 임수와 해수로 설기를 당하고 다른 간지에서 토금(土金)의 도움을 받지 못하니 매우 약하다.

 

- 일간이 강한 신강 사주이며 식상은 없고 관성만 있으니 관성으로 강한 일간을 극해야 한다. 하지만 일간을 극하는 신(辛)금은, 토금의 생조를 받지 못해 약한데 또 많은 수(水)로 설기를 당해 힘을 잃었으니, 목(木)을 극하지 못한다. 즉, 신(辛)금은 관성으로서 일간을 극하는 본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므로 관성을 용신으로 쓸수 없다. 한편, 관성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쓸모없는 관성은 없어져야 좋은 것이다. 때문에 용신으로 쓰지 못하는 약한 관성은 방치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극하여 제거하거나 설(洩)하여 약화시켜 관성의 존재를 없애야 한다.

 

- 위 사주는 신(辛)금을 제거할 화(火)가 없으므로 신(辛)금을 수로 설하여 약화시켜야 하니, 용신은 인성인 수(水)이며 희신은 수의 설기를 더 견고하게 돕는 목(木)이다.

 

- 일간의 입장에서 강한 일간을 더 강하게 하는 수목(水木)만 필요하니 수목이 용신인 종왕격(從旺格)이다. 수(水)가 용신이므로 수(水)를 생하는 금이 희신이라고 해서는 안된다. 신(辛)금을 설하여 약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용신을 수(水)로 삼았으므로, 신(辛)금이 강화되는 금(金)운은 매우 흉하다.

 

 

 

 


 

 

 

 

명조 : 009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해생(돼지띠) 계해월 갑오일 경오시 (오시생)

: 계해년주, 계해월주, 갑오일주, 경오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3년생으로 시상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의 사주이다.

 

- 갑(甲)일주가 인성의 장생지에 생하여 일시 오(午)화가 보온하니 조후로 보면 목화(木和)운이 길하겠지만 여자는 관성이 중하므로 시상 경(庚)금이 용(用)이 된다. 이 경(庚)금이 패지(敗地)에 있으며 수(水)왕절에 뿌리가 약한 격이다.

 

- 축(丑)토 대운에 경(庚)금을 도와 일남일녀를 출생했고, 병정(丙丁) 대운에 손재가 많으니 경(庚)금을 병정화(丙丁火)가 극하기 때문이고 인묘(寅卯)대운에 금(金)이 쇠절되기 때문이다.

 

- 무진(戊辰), 기(己)토 대운에 약금이 봉생하여 부군이 영달하며 재산이 풍족하였다.

 

- 사(巳)대운은 경(庚)금이 장생하니 또한 길하며 오(午)대운은 경(庚)금 용신이 원국에서도 패지인데다 또다시 패극(敗克) 운을 만나서 불길할 것이다.

 

 

 

 


 

 

 

 

명조 : 010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진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자생(쥐띠) 신해월 갑인일 갑자시 (자시생)

: 임자년주, 신해월주, 갑인일주, 갑자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56년생 사주이다.

 

- 이 명조는 갑(甲)목일주가 해(亥)수 편인 월의 왕지에 태어났지만 사주 중에 재성 토(土)가 넷이고 관성 신(申)금에 식신 병(丙)화가 있으니 왕(旺)이 약(弱)으로 변하여 신약한 사주가 되었다. 의지처는 해(亥)중의 갑(甲)목이다.

 

- 즉 목(木)이 용신에 수(水)는 용신인 목(木)을 생하는 희신이고 신(申)금은 목을 상해하는 병신(病神)에 병(丙)화는 병신(病神)인 금(金)을 제거하는 약신이다.

 

- 사주팔자 중 지지의 신해진진(申亥辰辰)이 습(濕)하므로 습을 제거하는 병(丙)화가 길신이다.

 

 

 

 


 

 

 

 

 

 

2020/03/25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2) - 장생(長生)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2) - 장생(長生)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2) - 장생(長生)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3/26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3) - 자요사격(子遙巳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3) - 자요사격(子遙巳格)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해월 갑목(亥月 甲木)(3) - 자요사격(子遙巳格) - 겨울생 삼동(三冬)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갑목일간(갑목일주) 해월갑목(亥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