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묘월 임수(卯月 壬水)(1) - 정임합화격(丁壬合化格)
- 봄생 삼춘(三春)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묘월임수(卯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기묘월 임신일 기유시 (유시생)
: 경오년주, 기묘월주, 임신일주, 기유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수목상관격(水木傷官格)이다. 정관 기(己)토가 두 개나 천간에 투출하니 상관견관이 되었다. 기쁜 것은 년지 오(午)화 속에 정(丁)화와 기(己)토가 들어 있는 것이다. 재관동궁(財官同宮)이니 상관생재, 재생관하여 흉이 길이 되었다.
※ 상관용재(傷官用財) : 자평진전(子平眞詮)
故有傷官用財者(고유상관용재자) 蓋傷不利於官(개상불리어관) 所以爲凶(소이위흉) 傷官生財(상관생재) 則以傷官爲生生官之具(즉이상관위생생관지구) 轉凶爲吉(전흉위길) 故最利(고최리) 只要身強而財有根(지요신강이재유근) 便爲貴格(편위귀격)
: 상관격에 재를 쓰는 상관용재의 사주가 있다. 무릇 상관은 정관을 극하므로 흉한 것으로 여기는데 상관이 재를 생하게 되면 상관은 도리어 정관을 생하는 도구가 되어 흉이 변하여 길이 되니 가장 유리하게 된다. 다만 신강하고 재성이 뿌리가 있어야 귀격이 된다.
명조 : 002
◆ 임수일간(임수일주)
묘월임수(卯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술생(개띠) 정묘월 임인일 갑진시 (진시생)
: 갑술년주, 정묘월주, 임인일주, 갑진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정임합(丁壬合)하여 목(木)으로 변하고, 봄에 출생하고 시에 갑진(甲辰)을 만나니 화신인 목(木)의 원신이 투출했다. 그러므로 화목격(化木格)이 되었다.
- 기세가 목에 편중되어 있으니 화신(化神)이 왕해지는 운이 좋고, 화신에게 비겁이 되는 동방 목(木)의 대운이 가장 좋다. 화신에게 관살이 되는 운을 꺼리고, 일주가 환원(還元: 고유의 오행으로 돌아가 옴, 관살이나 인수를 만날 때 화원)하는 운 역시 꺼린다.
- 화기격(化氣格)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보면, 정임화목(丁壬化木)에서 일주가 임(壬)수이면 해자축(亥子丑) 화신의 인수운도 화기를 생하니 길하다. 갑기화토(甲己化土)는 인묘진(寅卯辰) 대운으로 가면 화신 토를 극하니 크게 꺼린다. 화기격에는 갑기화토격(甲己合土格), 을경화금격(乙庚化金格), 병신화수격(丙辛化水格), 정임화목격(丁壬化木格), 무계화화격(戊癸化火格)의 다섯 가지가 있다. 그 보는 법은 다 비슷하다.
명조 : 003
◆ 임수일간(임수일주)
묘월임수(卯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자생(쥐띠) 정묘월 임인일 갑진시 (진시생)
: 갑자년주, 정묘월주, 임인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24년생 사주이다.
- 위 명은 임수가 묘(卯)월에 생하여 간지에 극설이 많으니 약한 임수가 왕한 정(丁)화와 합하여 종화(從化)가 되는바 정임(丁壬) 2자가 본성을 버리고 합화목하므로 수목(水木)운이 길하고 금(金)운은 불길하다. 신(申)대운 계축(癸丑)년에 8월에 거세하였다.
※ 정임합화목격(丁壬合化木格) : 명리요강(命理要綱)
정(丁)일주가 시상에 임(壬)이나 월상에 임(壬)이 1개만 있고 간지에 갑을(甲乙), 인(寅), 해묘미(亥卯未) 등으로 구성되고 간지에 경신(庚申), 신유(辛酉)가 없으면 정과 임이 합하여 목(木)으로 화하는바 수목화(水木火)운이 길하며 금(金)운은 불길하고 계수는 정(丁)화를 충극하므로 불길하다. 대개 종화격(從化格)은 왕으로 화(化)가 되면 대길하게 된다. (※ 임(壬)일주가 정(丁)화를 만난 것도 동일하다.)
명조 : 004
◆ 임수일간(임수일주)
묘월임수(卯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정묘월 임오일 갑진시 (진시생)
: 기묘년주, 정묘월주, 임오일주, 갑진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이 사주는 임(壬)수가 중춘에 태어나 화상(化象)이 참되다. 가장 기쁜 것은 원신인 갑(甲)목이 투출한 것이다. 화기(化氣)가 유여하다. 남은즉 설함이 마땅하다. 이래야 화신(化神)이 아름답게 된다.
- 기쁜 것은 좌하가 오(午)화로 오화는 진(辰)토를 생하니 수기(秀氣)가 유행하는 것이다. 이러므로 소년에 과갑에 올라 한원에 이름이 높았다.
- 애석한 것은 중년 운이 수(水)왕지로 현과에 나가기가 어려웠다. 끝내는 현령에 머물렀다.
※ 화상(化象)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如化神旺而有餘(여화신왕이유여) 宜洩化神之神爲用(의설화신지신위용) 化神衰而不足(화신쇠이부족) 宜生助化神之神爲用(의생조화신지신위용)
: 가령 화신이 왕하여 남음이 있으면 마땅히 화신을 설하는 신으로 용신을 하고 화신이 쇠하여 부족하면 마땅히 화신을 생조하는 신이 용신이 된다.
명조 : 005
◆ 임수일간(임수일주)
묘월임수(卯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묘생(토끼띠) 정묘월 임오일 계묘시 (묘시생)
: 기묘년주, 정묘월주, 임오일주, 계묘시주
출처-자평진전강해(子平眞詮講解), 심효첨, 이을로, 동학사, 2009.11.13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강해(子平眞詮講解)
- 고전 명조이다.
- 임수일간과 합(合)하는 정(丁)화가 월간에 있으니 정임합(丁壬合)으로 목(木)이 되고, 묘(卯)월이 합화하는 목(木)월이며, 화신(化神)인 목이 팔자에 강하고, 임수일간이 약하므로 정임화목격(丁壬化木格)인 화기격(化氣格)이다. 화기격의 희용신은 화신을 돕는 운이다. 화신이 강하면 기운을 빼주어야 하고, 약하면 돕는 것이 좋다. 위 사주는 화신인 목이 강하므로 기운을 빼주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목(木)은 화(火)를 이용하여 설기하는 것이 좋고, 이를 방해하는 계(癸)수 겁재는 기신이 된다.
- 임수일간이 합화를 하는데 이를 방해하는 계수 겁재가 있으므로 엄격하게 격국을 분류하면 가화격(假化格)이다. 가화(假化)를 진화(眞化)로 만들려면 연간의 기(己)토 관살이 계수를 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토 관살이 묘목인 살지(殺地)에 있어 무력하고, 연간에 있으니 거리가 멀어 극을 할 평편이 아니다. 팔자에서 진화를 하지 못하면 운에서 진화를 해야 하는데 중반운이 해자축(亥子丑) 수(水)로 흐르기 때문에 진화를 만드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향시에만 합격하고 큰 발전을 하지 못했다.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이 명조는 앞의 <명조:004>와 단지 시간의 바뀌었다. 화상(化象)이 더욱 참되다. 혐의가 되는 것은 겁재가 쟁재(爭財)하는 것이다.
- 연간의 기(己)토는 격이되고 있어 무근(無根)으로 계(癸)수를 극하지 못하고 오(午)화도 유행이 없다. 계수는 탈표지객(奪標之客)으로 비록 향방에 들었으나 끝내는 출사치 못하였다.
2020/03/15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묘월 임수(卯月 壬水)(2) - 상관격(傷官格)
2020/03/16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묘월 임수(卯月 壬水)(3) - 前 법무부 장관 사주 포함
2020/03/19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묘월 임수(卯月 壬水)(4) - 前 은행장 사주 포함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