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2) - 대법관 사주 포함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2) - 대법관 사주 포함

반응형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2) - 대법관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자생(쥐띠) 병인월 임신일 임인시 (인시생)

: 갑자년주, 병인월주, 임신일주, 임인시주

출처-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김선구, 온북스, 2014.02.20

 

 

◆ 책의 내용 요약

- 1924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임수일주가 인(寅)월에 출생하여 갑(甲)목 사령에 식신격이고 인중 병(丙)화가 월상에 투간하여 재성용신이며 신(申)중 임수가 시상에 투간하여 일주를 조력하여 묘격(妙格)이다.

 

- 육사를 졸업하여 군장성으로 전역하여 정보 분야의 총수가 되었다. 임신(壬申) 대운에 인신충(寅申冲)하여 파격이 되어 퇴관하게 된 것이다.

 

 

 

 

 


 

 

 

 

 

명조 : 012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임인월 임술일 경술시 (술시생)

: 임오년주, 임인월주, 임술일주, 경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임수가 맹춘에 생하였는데 지지가 화국을 이루니 비록 연월에 비견이 투출하였으나 다 무근으로 천간의 감(坎: 水를 의미)은 쇠하고 지지의 리(離: 火를 의미)는 왕하다. 경(庚)금을 용신으로 하여 항복하게 하여야 한다.

 

- 안타까운 것은 운이 동남(東南)으로 달리니 외지에서 사십여 년을 분주하게 노력하였으나 이룬 것이 없었다.

 

- 오십이 넘어 무신(戊申) 대운으로 바뀌어 경(庚)금이 생을 받고 록왕을 만나니 기회를 얻어 거만(巨萬)의 재물을 일으켰다. 처를 셋이나 들였는데 이미 나이는 육순이었다. 연달아 세 아들을 낳았다.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庚)대운 이후인 술(戌)토 대운에 사망하였다.

 

 

 

 

 

 

 

 

 

 

 

 

 

 

 

명조 : 013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묘생(토끼띠) 갑인월 임인일 기유시 (유시생)

: 계묘년주, 갑인월주, 임인일주, 기유시주

출처-사주명리학 운세변화, 김동완, 동학사, 2009.05.13

 

 

◆ 책의 내용 요약

- 1963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기미(己未) 대운 2006년(丙戌년)에 남편이 물에 빠져 익사하였다. 사주 원국에 정관 기(己)토 관성이 고립되어 있다. 기미(己未) 대운은 미(未)토가 묘미(卯未) 합목을 이루는데, 정관 기(己)토 입장에서는 용신에 해당되는 미(未)토가 오히려 기신인 편관 목(木)으로 바뀌어 위험해진 것이다.

 

 

 

 


 

 

 

 

명조 : 014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축생(정축띠) 임인월 임신일 정미시 (미시생)

: 정축년주, 임인월주, 임신일주, 정미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63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자동차 A/S센터 공장의 여성 오너로 여장부이다. 무신(戊申)대운 2001년(庚辰년) 60대 초반에 황혼 이혼을 하고 다시 첫사랑과 재혼한 사주이다.

 

※ 임(壬)+정(丁) : 명리강론

- 임수가 정화를 만나면 오매불망(寤寐不忘)이다. 자나 깨나 잊지 않고 서로를 그리워한다. 인정을 경계하고 분위기를 조심해야 한다. 서로 끌어당긴다. 예의와 규율을 지키고 분수를 앎이 정도다. 고생이 복이 되는 명운이다. 중정(中正)이 복덕이다.

 

 

 

 


 

 

 

 

명조 : 015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임인월 임인일 임인시 (인시생)

: 임오년주, 임인월주, 임인일주, 임인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82년생 사주이다.

 

- 천간에 4개의 임(壬)수가 통근됨이 없고 연월 인오(寅午) 화국하여 수화(水火)가 서로 의지하는 것 같으나 묘하게도 경칩 이전에 태어나 갑(甲)목이 왕하다. 목기를 얻어 수화(水火)의 기운을 유통하게 하여 상하의 기운을 교류시키고 있다. 수화기제의 세력을 이루었다.

 

- 임수를 시작으로 하여 화(火)기에서 혈처를 맺으니 관살을 만나면 근원이 파하여 혈처를 설기하게 된다.

 

- 격국으로 하자면 육임추간격이다. 연월에 인오(寅午) 화국으로 합하고 재성이 왕성하게 지지를 얻었으나 청하지 않다. 다만 부자의 명조를 이루었다. 또한 관살을 보지 못한 격을 이루었다.

 

- 난세에는 장군들이 그득하고 관위 역시 본래 귀하지 않은 것이다. 부자에 이르는 것이 관위만 갖지 못한 것이다.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대운 20년간 일개 잡초로서 영웅으로 등장하여 뛰어나게 중앙을 장악하게 된다. 재빠르게 호걸이 되어 무지무지한 부를 축척하고 귀함을 이룬다. 진실로 시절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 처첩이 12명인 것은 재성이 왕한 징조이다. 미(未) 대운에 관성이 왕하여 권력과 위세를 모두 잃었다.

 

- 무(戊)토 대운에는 편관이 일주를 극제하고 재성을 설기하여 갑자기 원한 맺히게 죽는다. 이것이 운명이다. 배우지 못하고 술책이 없어 좋은 운명이 부담이 되었다.

 

※ 장종창(張宗昌)

중화민국의 군벌인 봉천군벌의 맹장으로 2차 직봉전쟁 이후 산동독판이 되어 산동을 지배하였으나 방탕하고 폭력적인 생활 때문에 혼세마왕, "개고기 장군"이라는 비아냥을 들었고 재산이 얼마인지, 부하가 얼마인지, 부인이 얼마인지 모른다 하여 "삼불장군(三不將軍)"이란 별명도 있었다.

 

출처 - 나무위키

 

 

 

 

 


 

 

 

 

 

명조 : 016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오생(말띠) 임인월 임인일 임인시 (인시생)

: 임오년주, 임인월주, 임인일주, 임인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42년생으로 <명조:015>와 시대가 다른 동일 사주이다.

 

- 종재격(從財格) 사주이다. 국회사무처장, 법제처장, 대법관 등을 지냈다.

 

임(壬)+임(壬) 전진대해(前進大海) : 명리강론

- 임수가 임수를 만나면 전진대해(前進大海)다. 망망대해로 나아가는 형국이다. 갑(甲)목이나 무(戊)토를 만나면 좋은 일이 생기나 형과 충을 만나면 파도가 높아진다. 갑을목(甲乙木)으로 통기하면 귀해지는 명운이다. 위기가 기회다.

 

 

 

 

 

 

 

 

 

 

 

 

 

 

 

명조 : 017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유생(닭띠) 병인월 임술일 갑진시 (진시생)

: 기유년주, 병인월주, 임술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09년생으로 용인격(用印格) 사주이다.

 

- 임일주가 조춘 한절에 생하여 천간과 지지에 극설이 태다하므로 신약이다. 그러나 양간이므로 종(從)이 되지 않고 연지 유(酉)금이 용(用)이 된다. 병(丙)화가 기신이니 임(壬) 대운부터 기신 병(丙)화를 제하여 출세한다.

 

- 술(戌)토 대운에 처궁은 불리나 술(戌)토도 또한 금(金)을 생하므로 신상은 진전되고 신유(辛酉)대운도 길하였다.

 

- 경(庚) 대운에는 지방은행장이 되었다. 신(申) 대운도 길하나 미(未)토 대운부터 남방(南方)운이라 불길할 것이다.

 

 

 

 

 


 

 

 

 

명조 : 018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임인월 임오일 계묘시 (묘시생)

: 임인년주, 임인월주, 임오일주, 계묘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2년생 사주이다.

 

- 임일주가 인(寅)월에 출생하여 실시하고 인(寅)목과 인오(寅午) 화국에 묘(卯) 상관이 있어 식상과 재가 왕하다. 천간에 비견이 투간하고 겁재 계수가 있어 수(水) 비겁으로 천원일기를 이루었으나 지지에 무근(無根)하여 설기가 심하다.

 

- 위 사주는 수생목 목생화로 가는 상관 용재격(用財格) 사주이다. 그러므로 화(火) 재성이 용신이며 목(木) 식상이 희신이다.

 

- 엔지니어로 회사에 생활을 하였다가 37세 병(丙)대운에 퇴사를 하여 사업을 경영하여 오(午)화 대운까지 수억금을 벌었다.

 

- 정(丁)화 대운에 사업이 부실하게 되기 시작하여 손해를 많이 보고 있다. 앞으로 호운이 없어 계속 사업을 하게 되면 재산을 모두 탕진하기 쉬운 상태에 놓였다.

 

 

 

 

 

 


 

 

 

 

 

명조 : 019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진생(용띠) 경인월 임자일 경자시 (자시생)

: 병진년주, 경인월주, 임자일주, 경자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76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인월임수가 약위반왕(弱爲反旺)하다. 신왕용재하여 병(丙)화가 용신에 인(寅)인목이 희신이고 수(水)가 사주의 병(病)이며 토(土)는 약신이 된다.

 

- 초년 토운에 약신을 도우고 연월에 길신이 있어 부가(富家)에서 성장하였다.

 

- 자(子) 대운에 커피 사업을 운영하였다. 커피 사업을 경영하게 된 것은 일시에 자(子)수 홍염살이 있기 때문이다. 홍염살(紅艶殺)이 기신이면 사치, 외정, 기생 등과 관련이 될 수 있다.

 

- 신왕 사주에 일지와 시지에 양인(洋刃)이 있으니 부부관계가 불길하다. 임자(壬子)일주의 공망은 인묘(寅卯) 공망이고, 병진(丙辰)생의 공망은 자축(子丑) 공망으로 년과 일로 보았을 때 월, 일, 시가 모두 공망이 된다. 이렇게 배우자 궁과 관련된 곳이 공망이면 남성 고객을 상대하는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에 수산업(水産業)을 경영하게 된 것이다.

 

- 자(子)운은 군비쟁재하여 길운이 아니고 정(丁)화 대운은 용신을 도와서 길하며 해(亥)대운은 인해(寅亥) 합목으로 길하지만 식상이 견관하여 관성 토(土)를 극하니 부부이별이 걱정된다.

 

- 병술(丙戌)대운은 길하며, 유(酉)대운은 불길이다. 갑(甲)대운은 벽갑인화하여 대길하지만 신(申)대운에 가면 용신의 근이 되는 희신 인(寅)목과 충(沖)을 하여 위험하다.

 

 

 

 

 


 

 

 

 

명조 : 020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갑인월 임술일 병오시 (오시생)

: 계미년주, 갑인월주, 임술일주, 병오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43년생 사주이다.

 

- 월지에서 투간한 병(丙)화 역마와 인(寅)목 지살을 놓아 공군 출신으로 비행기 조종사가 된 사주이다.

 

개인

- 해묘미(亥卯未)생의 12신살 역마살은 사(巳)화에 해당이 된다. 사(巳)화의 본기는 병(丙)화이다. 임자 대운에 공군 파일럿이 된 것이다. 임술(壬戌) 괴강일주가 년간에 겁재가 투간하여 자(子)수 양인 대운에 계(癸)수가 근(根)을 하였다. 양인은 위험한 것이며 편관은 어렵고 힘든 것이다. 임수 일주가 인오술(寅午戌) 합화의 전국을 놓아 격(格)으로 이야기하면 권력을 상징하는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에 해당이 되며 신왕운으로 흐를 때 발복한다.

 

항공산업계 : 명리강론

[목화(木火) 역마(驛馬)를 놓은자 / 사(巳)화가 역마에 해당되며 관성이나 인수 등에 해당되는 자]


- 목화(木火) 역마란 년이나 생일 기준으로 역마나 지살이 인(寅)목 혹은 사(巳)화에 해당이 되는 자를 말하는 것이다. 사(巳)화 역마를 비행기라고 추리하는데, 원래 화(火)의 성질은 아래서 위로 솟구쳐 오르는 특징을 지녔으므로 지상에서 공중으로 상승하는 비행기로 보는 것이고, 인(寅)목은 병(丙)화인 화의 장생이 되어 사(巳)화와 함께 비행기로 본다. 사(巳)화의 특징 중에 뱀이 머리를 취로 치켜들고 무족(無足)으로 속주(速走)하는 성정이 있다. 또한 사(巳)화는 화의 성분이라 가벼워 염상(炎上)하므로 속칭 "비행기살"로 부르기도 한다.

 

- 사(巳)화가 역마에 해당이 되는 경우 항공계가 아니면 외교관 직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특히 사(巳)화가 관살이나 인수에 해당이 되면 연관성이 더 깊어진다.

 

- 항공산업계에는 공군, 비행기 조종사, 항법사, 스튜어디스, 비행기 관련 업무 등과 연관이 깊고 항공업계에 종사하지 않으면 해외를 좋아하여 해외기관이나 해외와 연관된 직업을 지닐 수도 있다.

 

 

 

 

 


 

 

 

 

 

 

2020/03/11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1) - 식신격(食神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1) - 식신격(食神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인월 임수(寅月 壬水)(1) - 식신격(食神格) - 봄생 삼춘(三春)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인월임수(寅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신생(원..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