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2) - 정인격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2) - 정인격

반응형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2) - 정인격

 

 

 

 

 

 

 

 

- 가을생 삼추(三秋)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해생(돼지띠) 가유월 임자일 병오시 (오시생)

: 정해년주, 기유월주, 임자일주, 병오시주

출처-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김선구, 온북스, 2014.02.20

 

 

◆ 책의 내용 요약

- 1947년생 사주이다. 

 

- 임수일주가 유()월에 생한 가운데 일지에 양인(羊刃)이 있고 년에 해(亥)수 록으로 신왕하나 오(午)중 기(己)토와 정(丁)화가 천간에 투간하였으며 시지에 득지한 병(丙)화가 기(己)토를 생관한다.

 

- 정인격에 관성용신으로 명예가 따르며 시상편재격을 겸하고 있어 투기 오락을 좋아하는 사업가의 기질도 있다.

 

- 을사(乙巳)대운 40대 초반 무진(戊辰)년에 국회의원에 낙선하고 임신(壬申)년에 당선되었다. 갑진(甲辰)대운인 50대 초반 병자(丙子)년에 낙선하고 2000년 경진(庚辰)년에 다시 국회에 진출하였다.

 

- 위 사주는 일주가 편재와 양인을 일시지에 동주하고 있어 사업하여 사(巳)대운과 오(午)대운에 사업가로 부를 축척하였다. 또한 일지에 양인이 있어 행정으로 의회 진출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 편재운(偏財運) : 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 편재운이 길운이면 : 주택구입, 전답 마련, 승진, 취업, 영전 등이 가능하다.
- 편재운이 흉운이면 : 사업중단, 사기횡령, 재물손실, 부부불화, 도박손실, 건강악화 등이 된다.

 

 

 


 

 

 

 

 

 

명조 : 012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자생(쥐띠) 을유월 임술일 기유시 (유시생)

: 경자년주, 을유월주, 임술일주, 기유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60년생으로 교육자의 사주이다.

 

- 출수홍련(出水紅蓮)이다. 그러나 배우자궁인 월지와 시지가 술(戌)토의 사(死)지에 임술(壬戌) 괴강 백호로 부군을 잃고 자식을 키우면서 교육자로 사는 사주이다.

 

※ 출수홍련(出水紅蓮)
- 임수가 을(乙)목을 만나면 출수홍련(出水紅蓮)이다. 호수 위에 떠 있는 붉은 연꽃이다. 타고난 재능을 충분히 발산하고 인정받고 귀인이 와서 돕는다. 다만 자만 심이 있다. 병(丙)화가 더해지면 어변성룡의 명운이다. 상관(傷官)도 성재한다.

 

 

 

 


 

 

 

 

 

 

명조 : 013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정유월 임진일 임인시 (인시생)

: 신유년주, 정유월주, 임진일주, 임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龍虎拱天門(용호공천문) 又曰壬趨艮格(우왈임추간격) 探花(탐화)

 

- 위 사주는 인(寅)목과 진(辰)토 사이에 묘(卯)목을 끼고 있으며, 월의 유()금과 묘유충으로 묘(卯)목 천문을 허충하여 불러오는 육임추간격이다.

 

- 인(寅)궁의 갑(甲)목이 상하지 않아서 갑오(甲午)대운에 높은 벼슬을 하였다.

 

 

※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임수일간의 시지에 인(寅)목이 있을 때 이루어지는 격이다. 인(寅)목이 있으면 인해(寅亥)합으로 임수의 건록인 해(亥)수를 불러와서 귀하게 되므로 귀격으로 본다. 간궁(艮宮)에 인(寅)목이 있어 이를 따른다는 의미로 추간(趨艮)이라는 말을 쓴다.


※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 : 명리강론(命理講論)
- 임일주가 인(寅)시에 출생하면 육임추간격이 성립된다. 

- 주중에 형(刑)과 충(冲)을 싫어하며 형과 충을 만나면 재앙이 발생한다. 임은 인(寅)목과 함께 진(辰)토를 기뻐한다. 임일 인(寅)시에 출생하고 진(辰)을 만나면 운룡풍호(雲龍風虎)로서 초월 정신의 소유자다.

- 임일생이 인(寅)시면 복록이 무궁무진하다. 축인(丑寅)은 간궁으로 동궁이라 축(丑)중의 기토 정관과 신(辛)금 정인을 이끌어다 작용하니 그 이로움이 바상하다.

 

 

 

 


 

 

 

 

 

 

명조 : 014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유생(닭띠) 을유월 임인일 을사시 (사시생)

: 을유년주, 을유월주, 임인일주, 을사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5년생 사주이다.

 

- 인수격으로 금(金)이 용신인데 토생금하는 관(官)대운인 기축(己丑)대운 기(己)년에 남편이 죽었다.

 

- 이는 천간에 을(乙)목 상관이 3개, 일지에 인(寅)목 식신이 있으니 격으로는 식상격이 아니나 상관격(傷官格)에 가까우니 정관을 만나면 큰 흉조라 남편이 사망한 것이다.

 

 

 

 

 


 

 

 

 

 

 

명조 : 015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기유월 임신일 기유시 (유시생)

: 임신년주, 기유월주, 임신일주, 기유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 <팔자명보총람>에 소개된 고전 명조이다.

 

- 정인격 사주으로 장원(狀元)을 하였다. 조년 해(亥)대운에 식신 갑목이 득지하여 천하의 大魁가 되었다. 후에 오는 동방 목(木)운 또한 길할 것이다.

 

- 금수(金水)로 종(從)하려고 하나 2개의 기(己)토가 반대하는 상이라 부종(不從)이 되어 정인격 사주이다.

 

 

 

 

 

 

 

 

 

 

 

 

 

 

 

 

 

 

명조 : 016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오생(말띠) 계유월 임술일 임인시 (인시생)

: 갑오년주, 계유월주, 임술일주, 임인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94년생으로 장내연(張乃燕)의 사주이다.

 

- 임수 일주가 유()월에 출생하니 가을의 수(水)기가 근원에 통하였다. 또한 연간 갑목 식신이 투출하여 빼어난 설기를 하고 있다. 기쁘게도 지지에 인오술(寅午戌) 화국 역시 빼어나다. 하지만 월령 정인은 화(火)기에 포위되었고 일지의 술(戌)토가 일간과 바짝 붙어서 일주를 극제하고 있으므로 귀한 기운이 손상당함을 면할 수가 없다. 

 

- 수목(水木)의 기운이 맑고 화려하여 문명인 목화(木火)의 기상을 이루었다. 훌륭한 재목을 기르는 것이 즐거움이다. 후배들을 적극적으로 이끄는 교육 사업을 하였다.

 

※ 장내연(張乃燕) : 위키백과
- 북경대, 절강대 교수를 지냈다. <유기염료과학>, <약용유기화합물>, <유럽전쟁 중의 군용화학>, <세계대전전사>, <그리스사>, <로마사> 등을 저술 했다.

- 기사(己巳)대운
: 1927년~1930년 국립 제4중산대, 국립강소대, 중앙대 총장을 지냈다.
: 기사대운 후반 계유(癸酉)년에 벨기에 공사로 임명되었고 을해(乙亥)년에 정치적 문제와 상관 없이 사임하고 중국으로 돌아와 상하이에 살면서 그림, 서예, 문화 유적을 즐기며 여행을 보냈다.

- 병인(丙寅)대운
: 병인대운 초반 1958년(戊戌년)에 뇌출혈로 사망하였다.
※ 개인 : 인오술 화국이 강해지는 시기로 금(金) 인성인 무력하게 된 시절이다.

 

※ 개인

- 위 사주는 유(酉)월의 임수에 년간에 갑(甲)목이 홀로 투간하여 궁통보감에서 말하는 식신이 유기하다. 또한 지지로는 인오술 화국으로 현무당권격에 해당이 된다. 그리고 임(壬)일주가 시간에 임인(壬寅)시를 놓아 육임추간격에도 해당이 된다.

 

 

 

출처-위키백과

 

 

 

 

 

 


 

 

 

 

 

 

명조 : 017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미생(원숭이띠) 기유월 임신일 을사시 (사시생)

: 정미년주, 기유월주, 임인일주, 을사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67년생으로 단명한 사주이다.

 

- 본시 인수격으로 월간의 정관 기(己)토와 연결되어 관인상생이 되었는데, 생시의 천간에 상관 을(乙)목이 기(己)토 정관을 파괴하고 있으며 주중에 네 개의 화(火)가 정인 유(酉)금을 극하니 파격이 되고 말았다.

 

- 정미(丁未)대운 초반 정묘(丁卯)년에 용신과 희신이 모두 파괴되니 20대 초반에 단명하고 말았다.

 

 

 

 

 


 

 

 

 

 

 

명조 : 018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사생(뱀띠) 신유월 임술일 신해시 (해시생)

: 계사년주, 신유월주, 임술일주, 신해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3년생 사주이다.

 

- 임수가 중추 유(酉)월에 출생하여 득령하고 천간에 신(辛)금이 투출하여 정인격 사주이다. 또한 시지의 해(亥)수에 록근하여 신왕사주가 되었다. 신왕사주는 관살이나 식상으로 제(制)하거나 설(洩)하여야 한다. 다행히 일지에 술(戌)토가 있어 무(戊)토 편관을 용신으로 한다. 그렇기에 화(火) 재성은 희신이 된다.

 

- 위 명주는 치과의사이다. 그러나 호운을 만나지 못하여 치과를 개원하여 경영하였으나 사업이 반복 실패를 하였다. 또한 그 이후에 이혼을 하여 혼자 살게 된 사주이다.

 

- 배우자 궁이 용신이라도 임술(壬戌)일주 여명은 괴강살과 백호대살로 인하여 상당수가 혼자 살거나 재혼하게 된다.

 

 

 

 

 


 

 

 

 

 

 

명조 : 019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술생(개띠) 신유월 임진일 무신시 (신시생)

: 무술년주, 신유월주, 임진일주, 무신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58년생 사주이다.

 

- 임수가 유()월에 생하여 천간에 신(辛)금이 투간하여 정인격 사주이다. 또한 시지에 임(壬)수의 장생지를 얻고 진(辰)중 계(癸)수에 근을 하여 신왕사주이다. 신왕사주를 억제하는 무(戊)토 관살이 용신에 화(火) 재성이 희신이다.

 

- 위 명조는 을축(乙丑)대운 이전까지 종합병원에서 치과의사로 근무하였다. 그러나 을(乙)목대운으로 바뀌어 치과의원을 개원하였으나 사업이 부진하였다. 병(丙)대운에는 월상의 정인 신(辛)금이 병신합으로 합거되어 전재산을 탕진하고 폐업하였다. 후에 다시 다른 병원으로 출근하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20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해생(돼지띠) 정유월 임자일 임인시 (인시생)

: 신해년주, 정유월주, 임자일주, 임인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71년생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신왕사주로 식신생재격이다. 왕한 수(水)를 설기하는 인(寅)목이 용신에 목(木)을 상하게 하는 인성 금(金)이 병(病)이고 금(金)을 제거 하는 화(火)가 약신이다. 수다부목이 되어 있어 수(水)를 제거하는 토(土)운은 또 하나의 약신이 된다.

 

- 초년 무술(戊戌), 기(己)토운 약신이 되어 유복한 가정에서 성장하고 목(木)이 용신이니 조경학을 전공하였다.

 

- 해(亥)대운 경자(庚子)년에 성혼하고 경(庚)운 기묘(己卯)년 세운에 용신을 도우니 득여식하였다.

 

- 자(子)대운은 길운이 아니지만 세운 임오(壬午)년에 약신 재성을 도우니 부모님의 도움으로 득택하였다. 하지만 자(子)운은 군비쟁재로 흉한데 계미(癸未)년에 겁재 계수가 월상의 정(丁)화 재성을 충하고 관봉관운이 되니 손재하였다.

 

- 신(辛)대운은 정(丁)화 재성을 충(冲)하여 흉한데 병술(丙戌)년 역시 관봉관운이 되고 년상의 신(辛)금과 병신(丙辛) 합수하여 이혼하였다. 같은 대운 관성 기축(己丑)년에 남자를 만났다.

 

- 축(丑)토 대운에 식신이 용신이니 교육사업과 관련되므로 학원을 경영하기 시작하여 영어강의를 하고 있다.

 

- 향후에 오는 목(木)대운은 지지가 중하여 용신을 도와 길할 것이다.

 

- 위 사주는 임자일주로 배우자궁인 일지가 기신(忌神) 도화(桃花)에 군비쟁관이 되어 관성이 허약하여 이혼하였다.

 

 

 

 

 

 


 

 

 

 

 

 

2020/02/23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1) - 금수쌍청(金水雙淸)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1) - 금수쌍청(金水雙淸)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1) - 금수쌍청(金水雙淸) - 가을생 삼추(三秋)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2/28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3) -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3) -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유월 임수(酉月 壬水)(3) -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 - 가을생 삼추(三秋)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유월임수(酉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