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금일주(경금일간) : 사주 술월 경금(戌月 庚金)(1) - 잡기격(雜氣格)
- 가을생 삼추(三秋) 경금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축생(소띠) 경술월 경자일 갑신시 (신시생)
: 정축년주, 경술월주, 경자일주, 갑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이다.
- 위 명조는 경금이 가을에 태어나니 그 기세가 예예(銳銳)하다. 년주에 정(丁)화 관성이 허탈하여 금(金)을 억제할 능력이 부족하다. 갑(甲)목 재성은 절지에 앉아 있으니 관을 생하는 것이 역부족이다.
- 초년 대운이 토금(土金)으로 화(火)를 설(洩)하고 금(金)을 생하니 형상(刑傷)과 파모가 많았다.
- 정미(丁未)대운과 병오(丙午)대운으로 들어 관성에 힘이 실리니 가업을 새롭게 일으켰다. 이어 을사(乙巳)대운까지 만년이 여유롭고 즐거웠다. 이 사주는 상(傷: 극을 받아야 함을 뜻한다.)하여 공이 있는 사주이다.
명조 : 002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신생(원숭이띠) 임술월 경신일 을유시 (유시생)
: 무신년주, 임술월주, 경신일주, 을유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고전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을목이 경금과 을경합금하고 관성은 주중에 없다. 지지가 신유술(申酉戌) 서방(西方) 금국이고 일주가 록(祿)에 좌하니 권세가 한 사람에게 있는 것으로 그 강한 세(勢)를 따라야 한다.
- 비록 임(壬)수가 있으나 무(戊)토가 가까이서 극하고 왕한 살기를 설(洩)할 능력이 부족하다.
- 초년 계해(癸亥), 갑자(甲子) 대운은 금(金)의 형세에 순응하니 재물이 마음먹는 대로 되었다.
- 병인(丙寅)대운으로 바뀌어 한 번의 실패로 잿더미가 되었다. 이식이 여의치 않아 목매어 죽었다. 이는 설(洩)하는 것은 유익하나 상(傷)하게 되는 것은 해로운 사주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술(戌)월의 경(庚)금이 건록의 자리에 앉아 있고 지지가 신유술(申酉戌)이다. 술(戌)중 정(丁)화가 역할을 못 해서 매우 강성한 사주이다. 또한 술월의 무(戊)토가 사령하기 때문에 소토하기 위만 목(木)이 필요하다. 그나마 시간의 을(乙)목이 있다.
- 경금의 영화를 내는 임(壬)수는 신(申)중 임수에 뿌리가 있으나 년간 무(戊)토와 월지 술(戌)토로 부터 극을 받는다. 그러므로 정격이 아닌 종강격(從强格) 사주이다. 종강격이므로 용신은 월령에 뿌리는 둔 연간 무(戌)토가 되며 종강을 설기하는 임(壬)수 식신도 나쁘지 않다.
- 운의 흐름은 계해(癸亥), 갑자(甲子) 대운은 설기하는 운이라 문제가 없고 재물운이 좋다.
- 병인(丙寅) 대운은 병화 칠살이 일간을 극하고 희신인 임(壬)수를 병임충한다. 또한 인(寅)목은 일지를 충형(沖刑)하여 강력한 금을 건드리니 왕자노발(旺者怒發)하게 된다. 즉 왕신인 금(金)은 재물인 목(木)을 극하는데 뜻이 있으므로 재물을 치게 된다. 이 시기에 재물을 탕진하고 가난으로 목을 매 자살하였다.
명조 : 003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해생(돼지띠) 갑술월 경자일 병자시 (자시생)
: 기해년주, 갑술월주, 경자일주, 병자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이다.
- 경금이 술월에 태어났다. 지지에 자(子)수 2개와 해(亥)수가 하나 있으며 천간으로 병(丙)화가 투출하니 극설교가(剋洩交加)이다.
- 기쁜 것은 인수 토(土)가 왕하고 월령을 탄 것인데 혐오스러운 것은 재성인 편재 갑(甲)목이 살(殺)인 병(丙)화를 생하고 인성 토(土)를 극하는 것이다.
- 다행히 갑기합(甲己合)이 되어 토(土)로 화(化)하니 사주가 청하게 되었다.
- 기사(己巳) 유년운에 인성이 일주를 돕고 갑(甲)목의 장생지인 해(亥)수를 사해충(巳亥沖)으로 충거하여 이름이 안탑에 올랐다.
명조 : 004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자생(쥐띠) 임술월 경인일 계미시 (미시생)
: 무자년주, 임술월주, 경인일주, 계미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이다.
- 경금이 술월에 생하니 인성이 당령하고 금(金) 또한 유기(有氣)하다. 용신이 식상인 水이지 관살인 火가 아니다.
- 경신(庚申) 유년에 임(壬)수가 생을 만나고 토(土)를 설하니 향시에 급제하였다.
- 원국에 무(戊)토 원신이 투출하여 있어 춘위(春闈 : 향시에 급제한 사람들이 중앙에 모여 이차로 보는 시험)에는 들지 못하였다.
- 중년운이 목화(木火)로 가니 재물의 손실이 많았다.
명조 : 005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미생(양띠) 경술월 경진일 병자시 (자시생)
: 정미년주, 경술월주, 경진일주, 병자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정(丁)화가 원두가 일어나 토(土)를 생하고 토(土)는 금(金)을 생하고 재성은 암장되어 있고 신왕하니 관성이 용신이다.
- 중년운이 火운으로 어그러지지 않아 일찍 향방에 들고 명리(名利)가 다 빛났다.
- 사람됨이 강명하고 결단력이 있으며 각박하거나 기만하는 마음이 없는 사람이었다. 안타까운 것은 화(火)의 원신인 목(木)이 후하지 못하여 손자는 비록 많으나 자식은 여럿을 잃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명조 : 006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미생(양띠) 경술월 경진일 병자시 (자시생)
: 정미년주, 경술월주, 경진일주, 병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고전 사주이다.
- 술월에 신(辛)금이 투출하면 금(金)의 여기가 왕성하기 때문에 양인(羊刃)이 된다. 병(丙)화 칠살(七殺)로 양인(羊刃)을 제(制)하여 방백(方伯)에 이르렀다.
- 문무를 겸비하였으니 살인격(殺刃格)의 사주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일간은 강하고 화 관살은 약하다. 관살을 강하게 하는 인묘(寅卯)대운에 방백의 벼슬을 하였다. 다만 팔자에 화토(火土)가 강하고 금(金)을 씻어줄 임(壬)수가 없어서 크게 귀하지는 못하였다.
명조 : 007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유생(닭띠) 무술월 경신일 갑신시 (신시생)
: 신유년주, 무술월주, 경신일주, 갑신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 고전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천간에 무(戊)토 편인이 투출하였고 지지는 신유술(申酉戌) 금국(金局)을 모두 갖추었다. 시상의 갑(甲)목이 토(土)를 파(破)하고 대운이 남방 화(火)운으로 흘러 상서(尙書)의 벼슬에 올랐다.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 지지에 신유술 금 비겁국에 토가 투출하여 종혁격이다.
- 초반 신유(申酉)운에 풍족하다가 중년 오미(午未)대운에 금(金)의 왕한 기운을 거슬러서 몰락하였지만 계사(癸巳)대운에 사유합 금국으로 왕한 금(金)을 도와 크게 발전하여 상서의 벼슬을 하였다.
명조 : 008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해생(돼지띠) 병술월 경인일 기묘시 (묘시생)
: 을해년주, 병술월주, 경인일주, 기묘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이다.
- 목(木)으로 소토(疏土)하여 일품의 봉고(封誥)를 받았다. 기(己)토가 투간했으니 갑(甲)목으로 소토하고 임(壬)수로 제살(制殺)을 해야 한다.
명조 : 009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갑술월 경진일 임오시 (오시생)
: 갑신년주, 갑술월주, 경진일주, 임오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정치가인 증국전(曾國荃)의 사주이다.
※ 위키백과 발췌 내용
- 증국전(曾國荃 1824년 10월 12일~1890년 11월 13일)은 중국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자는 원보(沅甫). 후난성 창사부 상향현(현재의 쌍봉현 하엽진) 출신으로 청나라의 저명한 대신 증국번과 증국화의 동생이자, 증정간의 형이다. 상군 지휘관 중 한 명이다.
- 태평천국의 난에서는 맏형을 보좌했고, 함풍 6년(1856년)에 강서성에서 형이 고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호남순무 락병장에게 청해서 3천 명의 군사를 모아 길안으로 원병으로 나섰다. 이듬해 1857년에 함락시킨 공적으로 지부로 발탁되었다. 1859년(함풍 8년)에는 강서성 전역을 장악하여 도원(道員)으로 승진했다. 그 후 구강을 출발해 황주에서 안휘성으로 들어갔다.
- 경(庚)금 일주가 연지에 신(申)금에 득록하고 한로 후 5일에 태어나니 신(辛)금 양인이 사령한다. 일지에 습토인 진(辰)토라 금을 기르니 일원이 왕하다. 즐거운 것은 시지에 오(午)화를 만나 술토와 회합하여 술중의 정(丁)화를 용신으로 한다. 하지만 용신 위에 임(壬)수가 덮으면 관성의 제(制)하는 병(丙)을 면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술월의 토(土)는 두텁고 건조하여 임(壬)수가 윤택하게 함을 기뻐하지 않을 수 없다.
- 갑(甲)목이 소토하고 정(丁)화를 이끌어 생하고, 신(辛)금 양인은 암장 묘고(墓庫)에 있어 원기가 숨어 있다.
- 월, 일, 시가 甲戌旬(갑술순)에 함께 거처하니 일순(一旬)에 삼위(三位)가 있게 된 것이다. 즉 갑술(甲戌)이 앞에서 이끌고 임오(壬午)가 뒤에서 따라오니 멀리에 있는 것을 가까이 이끌어 따르게 한다. 전인후종격(前引後從格)이다.
- 대운이 인성인 무기토(戊己土)의 병(病)을 제거하는 인묘(寅卯) 대운에 소토하며 화(火)를 이끌어 국가사업에서 이름을 빛냈다.
※ 개인 : 주요 사건 대운과 세운
1) 축(丑)토 대운 경신(庚申)년
: 1860년, 안경을 포위했으나 진옥성의 원군에게 종종 패하기도 했다. 이듬해 11년에 안경을 함락시켰다.
2) 축(丑)토 대운 ~ 무인(戊寅) 대운 교운기 임술(壬戌)년
: 1862년에 절강 안찰사, 이어서 강소 포정사에 임명되었는데, 우화대에서 천경 공격을 시작했다.
3) 무(戊)토 대운 갑자(甲子)년
: 1864년, 천경공방전에서 격전 끝에 천경을 함락시켜 태평천국을 멸망시켰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엄청난 수의 안경과 남경 시민을 학살하고 재물을 약탈하여 비난을 받았다.
4) 무(戊)토 대운 병인(丙寅)년~정묘(丁卯)년
: 1865년, 호북순무로 임명되었고, 1867년에는 이홍장과 함께 염군을 진압하러 나섰지만, 작전에 실패하자 칭병하고 은퇴했다.
5) 기묘(己卯)대운 을해(乙亥)년~경진(庚辰)대운 초반 갑신(甲申)년
1875년, 관으로 복귀하여 섬서순무, 산서순무, 양광총독을 역임했고 1884년(광서 10년)에서 양강총독을 지냈다.
6) 진(辰)토 대운 경인(庚寅)년
1890년, 66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사후 충양공(忠襄公)의 시호가 주어졌다. 같은 해에 조카 증기택도 사망했다.
명조 : 010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유생(닭띠) 경술월 경진일 경진시 (진시생)
: 정유년주, 경술월주, 경진일주, 경진시주
출처-종격탐구(從格探究), 청운, 여래, 2008.11.20
◆ 책의 내용 요약
-1957년생 정관격(正官格) 사주이다.
- 20~30대 여러 번 사업 실패 이후 30대 중반 이후부터 사업에 번창하여 매스컴에 소개되었던 사람이다.
- 을(乙)대운 을유(乙酉)년 5월초 사업 확장을 위하여 명리학자를 찾아갔는데 운세가 나쁘니 내실을 기하라는 조언을 들었다. 그러나 6월 중순 계획대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여 생각보다 성과가 크게 나왔다. 하지만 7월 17일 치악산 등반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고 말았다. (乙酉년 甲申월 丁丑일)
- 평소 건강상태는 애주가이며 고지혈증과 지방간이 약간 있었다.
- 정관이 술(戌)토에 근을 하므로 3경(庚)을 제압하고 종(從)을 반대할 수 있다. 이렇게 정관격이 되면 편관운을 싫어 한다. 또한 월지 고장(庫藏)은 변화가 다단하다. 술월은 토(土) 인수격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술중 무(戊)토가 정미, 병오 대운에 화살(化殺)하는 기운이 있어서 사업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정관은 상관(傷官) 역시 싫어한다. 을유년은 금국이 발생하여 목(木)을 제압하고 갑신(甲申)월은 수국이 발생하여 정관 정(丁)화를 극하여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심장인 화(火)가 수(水)의 극을 받은 것이다.
※ 개인
- 을유(乙酉)년은 병오(丙午)대운과 을사(乙巳)대운의 교운기 시점이다.
명조 : 011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오생(말띠) 갑술월 경신일 병술시 (술시생)
: 갑오년주, 갑술월주, 경신일주, 병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1954년생 좌하 전록격(專祿格) 사주이다.
- 경금일주가 술(戌)월에 생하여 목화토(木火土)가 조(燥)하니 화성토조(火盛土燥)하므로 좌하의 전록이 용신이다.
- 계유(癸酉) 대운에 화(火)를 제하고 금이 왕하여 귀가생장했고 학업도 우수했다. 신(辛)대운 임자(壬子)년에 일류대학에 진학하였다.
- 신미(辛未)대운과 경(庚)대운에 관공으로 발달이이며 오(午)화 대운은 불길이요. 기사(己巳)운은 평길이다. 그리고 무진(戊辰)대운이 최길이다.
- 정(丁)화 대운은 관살혼잡에 금(金)이 상하니 불길하다.
명조 : 012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진생(용띠) 갑술월 경술일 정해시 (해시생)
: 갑진년주, 갑술월주, 경술일주, 정해시주
출처-팔자(八字)는 있다. 김갑식, 좋은땅, 2016.03.31
◆ 책의 내용 요약
-1964년생 사주이다.
- 위 명조는 결혼 후 교직생활을 그만두고 가정을 꾸렸으나 시모의 극성스러움에 경오(庚午)대운 병술(丙戌)년에 남편과 이별하였다.
- 경금 일주의 부친은 편재 갑(甲)목인데 갑(甲)목이 년월에 쌍투하니 두 명의 부친과 인연이 될 가능성인 높은 명이다. 또한 년간의 갑(甲)목 편재가 진(辰)토 백호대살 지에 놓여 있고, 월주의 갑(甲)목은 술토에 좌하고 있어서 진술충(辰戌沖)으로 밀어내고 있는 상이다.
- 월상의 갑(甲)목 부친은 모친이 재가하여 만난 아버지로 일지와 동합(同合)하니 인연이 되나 년상의 갑(甲)목 친부는 백호대살과 진술충(辰戌沖)이 되어 인연이 약하다. 그리하여 친부는 원남전에 참전하여 전사하였다.
- 초혼 남편과 이별함은 경술(庚戌) 괴강일주가 년지에 진술충(辰戌沖)하고 토(土) 인성이 많아 시모에게 굴신하지 않는 강성 때문이다. 하지만 시상의 정(丁)화가 진신이니 늦게 좋은 배우자를 만나게 될 인연이 있다.
명조 : 013
◆ 경금일간(경금일주)
술월경금(戌月庚金) 경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자생(쥐띠) 무술월 경오일 병술시 (술시생)
: 병자년주, 무술월주, 경오일주, 병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1936년생 사주이다.
- 갑오대운 끝 무렵에 상담을 했다. 41세에 재혼, 삼혼을 했다.
- 남편과 이혼하고 상담 당시에 경오(庚午)생 남자를 만났는데 그 배우자도 본처가 있는 사람이다. (전처가 있는 남자 편인)
- 오술(午戌)합과 천간에 2개의 편관 병(丙)화로 화(火)국에 관살이 지나치게 많다. 남자가 많을 운명이다. 여명이 사주에 칠살에 편인이 있으면 재혼, 삼혼 등이 가능하며, 작은 부인이나 내연의 여자로 살기도 한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