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술월 을목(戌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본문 바로가기

책 속의 사주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술월 을목(戌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반응형

 

을목일주(을목일간) : 사주 술월 을목(戌月 乙木)(1) - 잡기격(雜氣格)

 

 

- 가을생 삼추(三秋) 을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인생(범띠) 갑술월 을유일 무자시 (자시생)

: 갑인년주, 갑술월주, 을유일주, 무자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名藤蘿繫甲(명등라계갑) 癸水得祿(계수득록) 科甲名臣(과갑명신)

 

- 등라계갑(藤蘿繫甲)의 사주이다. 유(酉)중에 수원(水源)인 신(辛)금이 있고, 자(子)수 중에 있는 계(癸)수가 건록의 자리에 있으면서 을(乙)목일간을 생하므로 마르지 않는다. 신계(辛癸)가 모두 있고 중화를 이루어 과거 급제하고 명신이 되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갑(甲)목이 있어 등라계갑격이 되었다. 천간에 병(丙)화가 있고 자(子)중 계(癸)수가 건록에 앉아 계(癸)수가 득록했다. 유(酉)궁에 신(辛)금이 있어 금수(金水)가 생한다. 따라서 신계(辛癸)가 모두 구비되어 부귀공명을 이루었다.

 

※ 술월을목(戌月乙木) : 궁통보감강해

주용신 : 癸 / 보조용신 : 辛

: 뿌리가 마르고 잎이 떨어지는 시기에 있다. 계(癸)수 편인으로 일간을 자양할 필요가 있고, 신(辛)금 칠살로 계(癸)수의 원천을 삼는다.

 

 

 


 

 

명조 : 002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무술월 을묘일 계미시 (미시생)

: 신축년주, 무술월주, 을묘일주, 계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辛癸兩透(신계양투) 木局破戊(목국파무) 行酉運選拔(행유운선발) 位至尙書(위지상서)

 

- 희용신 신(辛)금과 계(癸)수가 투출하고, 해묘미(亥卯未) 목(木)국이 무(戊)토를 제극한다. 유(酉)대운에 선발돼 수기(秀氣)를 내는 사오미(巳午未) 대운에 상서를 지냈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신계(辛癸)가 모투 투출하고, 목(木)국이 무(戊)토를 파(破)한다. 서방(西方)대운에서 거듭 승진하다가 계(癸)수 대운에  입각하여 상서(尙書)에 올랐다.

 

 

 


 

 

 

명조 : 003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자생(쥐띠) 임술월 을묘일 정축시 (축시생)

: 무자년주, 임술월주, 을묘일주, 정축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精解),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잡기재관격(雜氣財官格)이다.

 

- 차명이 술(戌)중의 무(戊)토로써 재(財)를 삼는 바 년간에 튀어나왔으므로 취용하는 것이다. 묘술(卯戌)이 합화(合火)하여 생토해 주고 정(丁)화 축(丑)토가 도와주니 재왕하며 을(乙)목은 록(祿)지에 생하여 임(壬)수와 자(子)수가 생해 준다. 그러나 무(戊)토가 임(壬)수를 제거하니 정(丁)화는 더욱 유력해져서 일주의 수(秀)기를 설(洩)기하는 한편 재(財)를 생하므로 무(戊)토가 차명의 병(病)이다.

 

- 다행히 대운이 해자축인묘(亥子丑寅卯)의 신왕지로 행운하므로 발복하여 재발만석(財發萬石)하였고 귀(貴)명이다.

 

 

 

 


 

 

 

명조 : 004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해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묘생(쥐띠) 경술월 을해일 정축시 (축시생)

: 정묘년주,경술월주, 을해일주, 정축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1867년생으로 환(晥) 계열 군벌이였던 노영상(盧永祥)의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좌하에 해(亥)수 인성이 있고 해묘(亥卯) 합목하니 약한 가운데 왕하다. 술(戌)월에 경(庚)금이 투간하여 금(金)이 왕하니 관성을 가히 용(用)신으로 한다. 해(亥)수와 축(丑)토가 귀인 자(子)수를 공협하니 관록에 귀함이 때가 있고 천을귀인이 임하여 권력의 중추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술(戌)토는 화(火)의 묘고(墓庫)이고 정(丁)화가 두 개나 투출하니 관성이 상함을 면할 수 없다. 목화(木火)의  대운은 그 이익됨을 보지 못하고 평생의 좋은 운은 겨우 을사(乙巳)대운 십년간이다. 사(巳)대운에 세운으로 금(金)을 만나는 것이 매우 아름답다. 

 

- 갑(甲)대운으로 바뀌자 목(木)이 화(火)를 생하므로 화(火)가 왕하니 강절 전쟁에서 두 번씩이나 패전하고 한번 쓰러져서 다시 펼칠 수가 없었다.

 

※ 노영상(盧永祥):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 제양(濟陽) 사람으로 자는 자가(子嘉)이다. 원래 이름은 노진하(盧振河)이다. 1887년 산해관(山海關)에 가서 무비학당(武備學堂)을 경영하다가 1890년에 군에 투신했다. 1895년에 북양무비학당(北洋武備學堂)에 들어가 졸업 후에 원세개(袁世凱)의 신군(新軍) 군관(軍官)이 되었다. 단기서(段琪瑞), 왕사진(王士珍) 등과 교유하였다. 뒤에 환(皖) 계열 군벌(軍閥)의 핵심인사가 되었다. 

 

 


 

 

명조 : 005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묘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묘생(토끼띠) 병술월 을묘일 정해시 (해시생)

: 을묘년주,병술월주, 을묘일주, 정해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을목이 계추(季秋)에 태어났으나 사주 중에 록왕(祿旺)이 둘이나 있고 해묘(亥卯)로 목국을 이루었는데 금(金)이 없으니 일주가 왕하다. 기쁜 것은 병(丙)화와 정(丁)화가 투출하여 목(木)을 설(洩)하고 토(土)를 생하니 재성이 부성(夫星)이다.

 

- 사람이 단정하고 화평하며 순박하였다. 지아비가 향방에 들어 벼슬길에 나가 금당에 이르렀다. 아들 셋을 두었고 수(壽)는 임(壬)수운에 이르렀다.

 

 

 

 

 

 

 

 

 

명조 : 006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유생(닭띠) 경술월 을묘일 정해시 (해시생)

: 정유년주,경술월주, 을묘일주, 정해시주

출처-계의신결(稽疑神訣), 최국봉, 태중출판사, 2015.11.25

 

 

◆ 책의 내용 요약

- 1957년생으로 판사의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술(戌)월에 생하였으나 한로(寒露)직후라 신(辛)금이 사령하였으므로 칠살격(七殺格)이다. 술(戌)중 정(졍9)화가 년과 시에 투출하여 칠살(制伏)을 제복하므로 격이 청수(淸秀)하다.

 

- 월상 경(庚)금은 유(酉)금 양인(羊刃)과 술(戌)토에 통근하여 기세가 강하며 일주 을(乙)목은 묘(卯)에 좌록(坐祿)하고 해(亥)수에 통근 합국하여 역시 기세가 단결되었다.

 

- 술(戌)월 을(乙)목이 신약한듯하나 제살(制殺)하는 정미(丁未)대운에 고시에 합격하여 판사가 되었다.

 

 

 

 


 

 

 

명조 : 007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묘생(토끼띠) 병술월 을미일 을유시 (유시생)

: 정묘년주,병술월주, 을미일주, 을유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87년생 사주이다. 

 

- 술(戌)월 토왕목약(土旺木弱)한데 정(丁)화가 설기하고 미(未)토가 유(酉)금, 경(庚)금이 있으니 극설교가(剋泄交加)하여 신약하다. 토왕하니 소토(疎土)하는 목(木)이 용신에 수(水)운이 희신이며 금(金)이 사주의 병(病)이고 화(火)가 약신이 된다.. 

 

- 편관 신(辛)대운 용신을 충(沖)하여 흉한데 기묘(己卯)년에 기토는 왕토를 도우고 묘(卯)목은 시지의 유(酉)금과 충하니 왕자충지익발한(旺磁沖之益發) 왕금(旺金)은 목(木)을 극하고 목(木)은 쇠자충지발근(衰者沖之拔根)하니 부상(父喪)을 당하였다. 이는 기신인 재성이 술미형(戌未刑)이 된 연고이기도 하다. 또한 같은 대운에 명주는 망성 B형 간염으로 고생을 하여 미국에까지 갔다 왔으나 치료가 가능하지 않았다고 한다. 

 

- 향후 수(水)대운은 길하겠으나 축(丑)토대운 왕토가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을 성국하여 토다목절(土多木折)하니 위험할 때이다. 이때를 지나면 다시 목(木)운 20년간은 용신을 도와 길하리라.

 

 

 


 

 

명조 : 008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측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신생(원숭이띠) 임술월 을축일 정축시 (축시생)

: 무신년주,임술월주, 을축일주, 정축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68년생 사주로 40대 초반 사이판에서 교통사고로 단명하였다. 

 

- 한국에서 학원 운영을 하였고 이후 부동산 중개사 공부 도중에 갑자기 30대 후반 온 가족(남편과 딸 2명)이 사이판으로 이민을 갔다. 

 

- 무오(戊午)대운 2006년 병술(丙戌)년에 부부간에 풍파를 겪었고 41세 2008년 무자(戊子)년 11월(癸亥) 29일(癸酉)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 술(戌)월에 무(戊)토가 사령이라 재격인데 일시에 축술(丑戌) 삼형이 되이 격국이 깨졌다. 용신을  정하기 위해 강약을  분석하면 을(乙)목과 상극하는 오행이 다섯이요. 시간의 정(丁)화는 설기하니 매우 신약하다. 월간의 임(壬)수를 용신으로 정한다. 무오(戊午)대운에 용신을 극하고 무자(戊子)년에 무(戊)토가 극하니 견디기 힘든 것이다.

 

 

 


 

 

명조 : 009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측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술생(개띠) 병술월 을축일 을유시 (유시생)

: 경술년주,병술월주, 을축일주, 을유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70년생으로 축술(丑戌) 형살(刑殺)이 거듭 있어 경찰관이 되었다.

 

- 생일은 내 몸(身)이요. 형(刑)은 형살(刑殺)로 형권(刑權)이 되어 군경직으로 본다.

 

※ 군인 / 경찰직 사주

1)일지봉형(日支逢刑) 자(者)
2)수옥살(囚獄殺) 자(者)
3)천라지망살(天羅地網) 중봉(重逢) 자(者)
4)상관격(傷官格)으로 성격된 자(者)
5)양인합살(羊刃合殺) 자(者)
6)살인상생(殺印相生) 자(者)
7)망신살 겁재가 많은 자(者) 또는 망신살 겁재가 록(祿)을 본 자(者)

 

※ 개인

- 위 사주는 월지와 년지에 술(戌)토가 있어 천라지망(天羅地網)에 해당이 된다. 유축(酉丑) 금(金)국에 유술(酉戌) 금(金)국으로 칠살(七殺)이 왕한 가운데 병(火)화 상관이 투간하여 살을 제(制)하는 구조이다. 

 

- 20대 자(子)수대운을 만났다. 경술(庚戌)년생에게 자(子)수는 재살(災殺)로 수옥살이다. 자(子)수가 인성이니 수옥살 관련 공부를 하였다. 인신사술(寅申巳戌) 등과 같은 권력성 글자가 있으면 강한 직군과 인연이 된다.

 

 

 


 

 

명조 : 010

◆ 을목일간(을목일주)

술월을목(戌月乙木) 을묘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오생(말띠) 무술월 을묘일 신사시 (사시생)

: 병오년주,무술월주, 을묘일주, 신사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1966년생으로 의사의 사주이다.

 

- 을목일주가 술(戌)월에 생하여 실시하고 술(戌)중 무(戊)토와 신(辛)금이 월간과 시상에 투출되었다. 그러나 월령이 무(戊)토가 사령할 때임으로 정재격(正財格)이다. 그리고 재(財)와 살(殺)이 왕한 가운데 식상도 강하여 설기가 심하니 종살격(從殺格)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일지에 록(錄)이 있어 종(從)하지 않는다.

 

- 목(木) 비견겁이 용신이고 수(水) 인성이 희신이 된다. 

 

- 초년 의사가 되어 종합병원에 근무하였으며 35세 임인(壬寅)대운에 독립하여 의원을 개원하여 수억금을 벌었다. 앞으로 묘(卯)목대운에서 갑(甲)목대운까지 승승장구하여 돈을 더 많이 벌 것으로 생각된다.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