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인월 갑목(寅月 甲木)(1) - 건록격(建祿格)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진생(용띠) 임인월 갑인일 경오시 (오시생)
: 임진년주, 임인월주, 갑인일주, 경오시주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를 신강살천(身强殺賤)한 사주로 논하여 경(庚)금을 취하여 용신으로 하여야 한다고 사람들이 이야기 하였다. 춘목은 금(金)을 만나면 동량(棟梁)의 그릇이니 독서를 하면 반드시 크게 될 것이라고 하였는데 삼십이 넘도록 독서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가업도 점차 기울어졌다.
- 우연하게 위 사주를 감명하게 되었는데 인(寅)월의 갑(甲)목이 지지에 인(寅)목을 둘이나 두고 천간에도 임(壬)수가 둘이나 있어 왕목을 생하고 있고, 년지의 진(辰)토는 수(水)의 고장이고 목(木)의 여기로 능히 물을 저장하고 목(木)을 기르니 목(木)이 극왕하다. 진토는 목의 여기로 금(金)을 생하지 못하니 시상의 일점 경(庚)금은 휴수(休囚)함이 이미 극에 이르렀는데 오(午)화가 극까지 하고 임(壬)수가 경(庚)금을 설(洩)하니 쓸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수(水)를 생하는 병(病)이라 하겠다.
- 대체로 왕함이 극에 이른 것은 설(洩)함이 마땅하고 극(剋)함은 마땅치 않은 것이니 이는 그 기세에 순응하여 왕신의 성정을 거스르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오(午)화로써 용신을 삼아야 한다.
- 운이 화지(火地)에 이르면 귀(貴)는 이룰 수 없으나 부(富)는 이룰 수 있으니 명예를 버리고 부(富)를 취하는 것이 옳은 것이다. 만약 다시 서재를 지킨다면 평생이 잘못될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학문을 버리고 사업을 택하였다. 이후 병오(丙午)대운에 사주의 병(病)인 경금을 극거하니 십 년도 안되어 십여 만의 재물을 모았다.
명조 : 002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인생(범띠) 갑인월 갑진일 을해시 (해시생)
: 무인년주, 갑인월주, 갑진일주, 을해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효렴(孝廉)의 벼슬을 하였다. 인월갑목을 윤택하게 하는 수(水) 인수가 있지만, 조후하는 인(寅)중 병(丙)화가 천간에 투출하지 않아 귀함이 작다. 인(寅)목과 진(辰)토 사이에 묘(卯)목이 공협되고, 시지의 해(亥)수가 묘목을 불러와서 목(木)이 왕성한 형세다. 이 경우 병(丙)화 식신으로 설기해야 하지만 투출한 병화가 없고, 병(丙)화를 담고 있는 인(寅)목이 갑진(甲辰)일주의 공망인 인묘(寅卯) 공망에 해당이 되어 귀함이 작아졌다.
※ 효렴(孝廉)은 매년 군에서 효도하고 청렴하여 선정되는 사람이다. 이들을 추천받아 중앙정부에서 관리로 임명하였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인진(寅辰) 사이에 묘(卯)가 공협되어 있고, 해(亥)수가 암합으로 묘(卯)목을 모이게 한다. 그렇기에 일간이 왕하나 격(格)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인(寅)중 병(丙)화로 생재해야 한다. 지지에 해(亥)수가 있고, 진(辰)중 계(癸)수가 암장되어 있어 사주가 중화는 되었다. 그러나 병(丙)화가 투출하지 않았고 년월이 공망(空亡)이 되어 귀(貴)가 높지는 못하였다.
명조 : 003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병인월 갑인일 경오시 (오시생)
: 갑신년주, 병인월주, 갑인일주, 경오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궁통보감강해
- 고전 명조이다.
- 단지, 수재(秀才)에 불과하였다. 팔자에 투출한 토(土) 재성이 없고, 경(庚)금 칠살이 살지에 않아 있다. 재성의 도움이 없고 스스로도 약하므로 칠살이 역할을 못한다. 그나마 대운도 남방(南方)으로 흘러 풍파가 있을 사주이다.
◆ 책의 내용 요약 : 조화원약평주
- 위 사주는 경(庚)금이 출간(出干)했으나 재(財)의 생조를 받지 못하여 경(庚)금이 무력하다. 대운이 남방(南方)으로 순행(順行)하여 무재(茂才)에 그쳤다.
명조 : 004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경인월 갑진일 을해시 (해시생)
: 신축년주, 경인월주, 갑진일주, 을해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
- 고전 명조로 재상의 실권을 장악하던 벼슬인 평장(平章)의 사주이다.
- 합살류관(合殺留官)이 되었다. 그러나 을경합(乙庚合)하여 금(金)으로 되니 칠살을 완전히 합거하지는 못했다. 관살이 모두 투출하니 칠살(七殺)로 논한다. 기쁜 것은 신왕하여 칠살을 대적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정해(丁亥), 병술(丙戌) 제살운과 신왕해지는 운이 모두 좋았다. 일주가 이미 왕하여 인수의 생조가 불필요하다. 또한 원국에 관살혼잡이 되어 있으니 관살이 생조 받는 것 또한 불필요하다.
- 건록격과 월겁격에 관살이 모두 투출하면 합살류관(合殺留官)이나 존관제살(存官制殺)이든 식상운이 좋고 비겁운 역시 좋지만 인수운과 재관운은 좋지 않다.
◆ 책의 내용 요약 : 명리정종정해
- 고전 명조이다.
- 갑(甲)목이 봄에 생하여 목왕하나 간두(干頭)에 관살이 상연(相連)하므로 살(殺)로만 보는 가운데 병술(丙戌), 정해(丁亥) 제살운을 만나 대귀하였다. 이것이 『月令雖逢建祿(월령수봉건록)이나 切忌會殺(절기회살)』이란 고언에 해당하는 명조이다.
- 갑을(甲乙)목이 경신(庚辛)금과 짝(배우:配遇)을 이루었을 뿐 아니라 목왕(木旺)하므로 살(殺) 역시 꺼리지 않는다. 그리하여 차명이 정해(丁亥) 대운 이후 대발하여 승상(丞相)의 자리에 이르렀다.
명조 : 005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소띠) 병인월 갑자일 무진시 (진시생)
: 기축년주, 병인월주, 갑자일주, 무진시주
출처-실전 사주비결 통변편, 김갑진, 보고사, 2017.03.0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갑(甲)일주가 인(寅)월에 생하여 득기했고 좌하에 자(子)수 인성의 생조를 받으나 재(財)와 식신(食神)이 있어 휴수(休囚)되니 태과하지는 않다. 병(丙)화는 인(寅)목에 장생을 득하나 아직 한기가 남아 있어 역시 왕(旺)하지 않다. 또한 다시 병(丙)화가 기축(己丑) 토를 생하여 화(火)기가 유행하고, 토(土) 재성은 다시 암장된 신(辛)금을 생하니 오행이 어느 하나 어긋나지 않고 상생되고 상하(上下)가 유정하다. 위인이 성품이 반듯한 가운데 인자하고 겸양하며 교만과 아첨이 없었던 것은 오행이 오기불려(五氣不戾)되어 있기 때문이다.
- 사주에 재성과 식신이 왕하니 신약하다. 부조하는 자(子)궁의 계(癸)수를 용신으로 잡는다. 운로가 축자해술유신(丑子亥戌酉申)의 용신과 희신운이니 발복이 있었던 것이다.
※ 오기불려(五氣不戾)
- 사주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의 기운이 어그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기(五氣)는 목,화,토,금,수의 다섯 가지 기운인데 하늘에서는 원형이정(元亨利貞)이 되고, 땅과 연결되어서는 오행이 되며, 사람에게는 인,의,예,지,신인 성(性)이 되며, 육체로는 오장육부(五藏六腑)가 되는 것이다.
- 따라서 오기불려라 함은 사주상 다섯 가지 기운이 탁(濁)하지 않고 난잡(亂雜)하지 않고 편고(偏枯)되지 않음을 말하는 것으로, 이리되면 자연 성정은 중화와 순수를 이루게 되며, 태과나 불급하지 않게 되고 또한 비뚤어지지 않고 거역됨이 없어 사주는 자연 귀격(貴格)이 되는 것이다.
명조 : 006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병인월 갑신일 경오시 (오시생)
: 갑신년주, 병인월주, 갑신일주, 경오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초춘의 목(木)으로써 아직 한기(寒氣)가 가시지 않고 또 어린 나무로 되어 있어 좌우의 두 신(申)금이 매우 겁이 난다. 그런 중 시상 경(庚)금까지 투출되어 있으니 금(金)이 일주지병(日柱之病)으로 되어 있는데 다행히 병(丙)화와 오(午)화가 있어 금(金)을 제(制)하는 약이 되고 있다. 이런 경우를 용신법에서는 식신이 되는 병(丙)화, 오(午)화가 살(殺)이 되는 경(庚)금, 신(申)금을 제하였다 하여 식신제살격이라고 하는 것인데 아능생모(兒能生母)라는 것도 바로 이원리인 것이다.
- 갑(甲)일주의 아(兒) 즉 상관과 식신은 병(丙)화 오(午)화요. 그 화(火)는 일간의 살(殺) 경금과 신(申)금을 제(制)하여 일주를 구활시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아능생모(兒能生母)라 하거나 또는 아능구모(兒能求母)라고 한다.
- 고로 화(火)운을 희(喜)하는데 사(巳)운에 과거급제하고 오(午)대운에 한층발복했으며 미(未)운에 크게 벼슬하였다. 이후 신(申)대운에는 화(火)가 병중궁(病重宮)에 임하여 불능제금 즉 아능생모를 할 수 없게 되어 불로지객이 되고 말았다.
명조 : 007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갑진생(용띠) 병인월 갑오일 갑술시 (술시생)
: 갑진년주, 병인월주, 갑오일주, 갑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04년생 사주이다.
- 왕한 갑(甲)일주가 화(火)국을 만나니 당영한 목화통명격(木火通命格)이나 만국이 조(燥)하여 진(辰) 습토가 용(用)이 된다.
- 자(子)대운부터 임(壬)대운까지 이십여년에 부군이 발전하고 술(戌)토대운 중에 진(辰)토를 충(冲)하여 기축(己丑), 경인(庚寅) 양년에 대패했는데 생명은 무고하였으니 운상에 임(壬)수가 개두된 때문이다.
- 신유(辛酉), 경신(庚申)대운에 금왕지수하여 대발재(大發財)하며, 기(己)토 대운 임자(壬子)년 6월 자오(子午) 상충(相忠)으로 화(火)가 폭발하여 수(水)기가 고갈하므로 목(木)이 비회(飛灰)하여 거세하였다.
- 춘목, 춘토는 남방운이 길하나 갑(甲)목은 조열(燥熱)하면 진(辰) 습토를 기뻐하는 까닭이다.
명조 : 008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병인월 갑자일 계유시 (유시생)
: 갑신년주, 병인월주, 갑자일주, 계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4년생 사주이다.
- 임신(壬申)대운 2002년 임오(壬午)년에 직접 감명하였다. 당시 목화통명의 사주로 정관(正官)과 정인(正印)이 일시에서 상생하고 있으며 절기상 우수(雨水)가 지난 목(木)이라 금(金)이 희신이니 고위직에 반드시 오른다고 하였다. 이때 초선 국회의원이었다.
- 계유(癸酉)대운 2006년 병술(丙戌)년에 통일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명조 : 009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자생(쥐띠) 병인월 갑자일 병인시 (인시생)
: 갑자년주, 병인월주, 갑자일주, 병인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이다. 월령이 건록인데 식신 병(丙)화 역시 월령에서 투출했으니 목화통명이 되었다. 만약 자(子)수의 인수가 없었다면 화(火)는 건조하고 나무는 메말라서 나빴을 것인데, 이는 조후를 취한 것이지 자(子)수를 용신으로 삼는다는 뜻은 아니다.
- 대운이 남방(南方)으로 흘러 천하를 주름잡았다. 경오(庚午) 대운은 칠살 경(庚)금이 통근하지 못하고 병(丙)화가 극하니 해롭지 않았다. 신(辛)대운은 병(丙)화를 합거하니 운세가 막혔고, 임신(壬申)대운은 인수운이면서 칠살운이니 불길했다.
명조 : 010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무술생(개띠) 갑인월 갑술일 무진시 (진시생)
: 무술년주, 갑인월주, 갑술일주, 무진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1958년생 사주이다.
- 인(寅)월이니 시간의 진(辰)토는 목(木)에 속하여 목(木)이 넷이고, 토(土)가 넷이니 목토양상격(木土兩象格)이 된다. 목과 토 사이를 통관시키는 인오술(寅午戌) 화(火)가 용신이고 목(木)이 희신이며 수(水)가 사주의 병(病)이고 토(土)가 약신이 된다.
- 초년 수(水)대운은 병(病)신이 되어 길운이 아니요. 신(辛)대운은 관성이 되는데 목화통명에 금(金)을 만나면 왕목을 작파(斫破)하여 불을 잘 타게 하는 이치가 있어 성혼하였으며, 해(亥)대운은 인해(寅亥)합목이 희신이 되니 경오(庚午)년에 벽갑인화(劈甲引火)하고 인오(寅午) 합화(合火)하여 7층 빌딩을 신축하였다.
- 경(庚)대운은 벽갑인화(劈甲引火)요, 술(戌)토대운은 인술(寅戌) 합이 용신을 도우니 길하겠고, 기(己)대운 역시 약신을 도와 길하겠으나 유(酉)대운은 용신이 사(死)지가 되고 관봉관운(官逢官運)이니 흉(凶)하겠다. 이때 부부관계가 염려된다. 원국 자체에 일시지가 진술충(辰戌冲)이 되어 있어 더욱 그러하다.
- 무(戊)토 대운은 약신을 도와 길하겠고 신(申)대운은 관봉관운이고 월지를 형충(刑沖)하게 되어 흉하겠다. 신진(申辰)이 합수(合水)가 되어 흉한 것도 있겠다.
- 정(丁)대운은 용신을 도와 길하겠으나 미(未)토 대운은 왕목이 입묘하고 술미형(戌未刑)이 되니 흉하겠다.
- 위 사주는 시상편재격에 양간부잡격(兩干不雜格)으로 부격(富格)의 사주를 갖추고 있다.
2020/08/09 -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인월 갑목(寅月 甲木)(2) - 전(前) 서울특별시장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인월 갑목(寅月 甲木)(2) - 전(前) 서울특별시장 사주 포함
갑목일주(갑목일간) : 사주 인월 갑목(寅月 甲木)(2) - 전(前) 서울특별시장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갑목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갑목일간(갑목일주) 인월갑목(寅月甲木) 갑술일주 남자(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