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2) - 前 국무총리 부인 사주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유생(닭띠) 신축월 임인일 신해시 (해시생)
: 신유년주, 신축월주, 임인일주, 신해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음)1921년생으로 신왕가상관(身旺假傷官) 기인성(忌印星) 사주이다.
- 임일주가 축(丑)월에 생하여 금수(金水)가 왕성하니 월건 정관은 습토이므로 용(用)이 못되고 좌하에 인(寅)목이 암장 병화의 온기를 받으며 해(亥)수에 장생함으로 유정하여 설기하는 상관이 용신이다.
-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乙) 대운에 조년 부자이며 사(巳)화 대운에 기신인 금(金)이 장생되어 목(木)을 극하며 사해(巳亥) 상충되고 인사형(寅巳刑)하여 불길이나 을(乙)목이 개두되어 액을 면하였다.
- 오(午)대운은 목이 사지로 불길하나 기신 금(金)을 극하며 조후되어 길하고 신(申)대운은 불길이다.
명조 : 012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신생(원숭이띠) 계축월 임자일 갑진시 (진시생)
: 임신년주, 계축월주, 임자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차명이 팔자에 신자진(申子辰) 수국이 있고, 축(丑)토 월에 기(己)토 사령에 생하니 실령(失令)한 것인 바 마음이 사욕에 막히고 명리가 무성하였고 오(午)대운 중 일주를 충(冲)하여 사망하였다.
※ 오행원리소식부(五行元理消息賦) 중에서 : 명리정종(命理正宗)
- 재다(財多)한데 다시 재운을 만나면 화살(化殺)하므로 화액이 있으며, 인다(印多)하고 근기가 없으면 비겁왕운이 불의(不宜)하다.
- 팔자에 득국(得局)하나 (예,木목일주가 해묘미 목국을 만나고 金일주가 사유축 금국을 만나는 등) 실령하면 평생이 불우하다.
명조 : 013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인생(범띠) 정축월 임인일 임인시 (인시생)
: 갑인년주, 정축월주, 임인일주, 임인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병(丙)화가 용신이다. 공사(貢士)를 지냈다.
※ 축월임수 : 조화원약평주
- 축(丑)월 임수는 수왕하여 담장에 머무르면 지혜가 있고, 수토(水土)가 혼잡하면 반드시 어리석고 완고하다. 담장에 있다는 것은 수(水)가 월령에서 당왕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운이 남쪽으로 가면 건강하며 부귀를 감당할 수 있다. 북쪽 사람이 남방운에 있으면 교역업으로 성공한다. 동수(冬水)는 병무(丙戊)가 중요한 용신인데 이것은 재관(財官)을 말한다.
명조 : 014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해생(돼지띠) 신축월 임술일 경자시 (자시생)
: 신해년주, 신축월주, 임술일주, 경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생원(生員)에 불가하였다. 해자축(亥子丑) 북방(北方)을 이루어 임수가 매우 왕하기 때문에 무(戊)토로 수를 막아야 한다. 일주가 술(戌)토 재고(財庫)에 앉아 있어 금수(金水)가 따뜻하다.
- 청기(淸氣)가 돌아오나 축(丑)월 임수가 토(土) 관(官)이 일어나지 않으면 흉하다는 것이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다.
명조 : 015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축생(소띠) 신축월 임진일 신축시 (축시생)
: 신축년주, 신축월주, 임진일주, 신축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사주로 범조우(范祖禹)의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천간은 금수(金水)의 기운이라 춥고 지지는 한겨울에 얼어있다. 인성이 왕성한 월령이니 금수(金水)의 기운을 따른다.
- 운행이 금수(金水)인 서북으로 흘러 청귀(淸貴)한 격을 이룬다. 이것이 이른바 강한 세력을 따른다는 것이다.
※ 범조우(范祖禹) : 중국역대인명사전 발췌
북송 성도(成都) 화양(華陽) 사람. 자는 순보(淳甫) 또는 몽득(夢得)이다. 인종(仁宗) 가우(嘉祐) 8년(1063) 진사(進士)가 되었다. 사마광(司馬光) 밑에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수했고, 책이 완성되자 비서성정자(秘書省正字)에 임명되었다.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저작좌랑(著作佐郞)이 되어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찬의 검토관을 맡았고, 급사중(給事中)과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다. 철종이 친정(親政)하자 섬주지주(陜州知州)로 나갔다. 소성(紹聖) 초에 그가 지은 『실록』이 신종을 비난하고 사마광이 신법(新法)을 변경한 사실을 두둔했다는 여론이 일자 무안군절도부사(武安軍節度副使)로 폄적(貶謫)되어 소주별가(昭州別駕)를 거쳐 영주(永州)에 안치되었다.
젊어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를 사사했으며, 사마광의 학문을 추종했다. 『중용(中庸)』을 중시하여 성(誠)과 성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인 충서(忠恕)를 강조했다. 또한 노장학(老莊學)은 충서의 도에 위배된다고 하여 배척했다. 저서에 『논어설(論語說)』과 『당감(唐鑑)』이 있는데, 이정(二程)의 설을 수용한 것이 많다. 『당감』은 당나라 고조에서 소선제(昭宣帝)까지 3백 년 동안의 정치적 득실을 논한 책이다. 그 밖의 저서에 『중용론(中庸論)』과 『범태사집(范太史集)』이 있다.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명조 : 016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인생(범띠) 기축월 임신일 경자시 (자시생)
: 경인년주, 기축월주, 임신일주, 경자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양) 1951년생으로 걸인(乞人)의 사주이다.
- 모친은 무녀(巫女)이고 부친은 부자라고 한다. 명식에 재성이 미약하다. 멀이 있는 인(寅)중 병(丙)화 재성은 일지가 해(亥)수나 오(午)화가 되어서 합(合)으로 끌어와야 하는데 오히려 일지와 인신(寅申) 충(冲)하여 멀리 쫓아내니 돈복이 없게 된다.
명조 : 017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정축생(소띠) 계축월 임자일 갑진시 (진시생)
: 정축년주, 계축월주, 임자일주, 갑진시주
출처-사주용신 및 통변론(四柱容神 通變論), 유경진, 역림관, 2011.03.18
◆ 책의 내용 요약
- (음) 1937년생으로 신왕용재격 조후용신이다. 전 국무총리 부인의 사주이다.
- 축(丑)월 임수가 자진(子辰) 수국과 겁재 계(癸)수가 투간하여 일주를 도우니 신왕하고 한습하다. 조후가 시급하다. 신왕용재 즉 정(丁)화가 용신에 목(木)은 희신이며 화(火)를 상해하는 수(水)가 병(病)이다. 토는 약신이 된다.
- 년주에 재성용신과 관성약신이 있으며 년월지에 금여성(金輿星)이 있으니 명문가의 후손이다.
- 초년 목대운은 희신을 도와 용신을 생하니 명문대학교를 졸업하고 병(丙)대운에는 용신을 도우고 관성을 생하는데 관성이 약신이니 법조인과 결혼하였다.
- 진(辰)토 대운은 왕수가 입묘하여 침체기였으나 정(丁)화 대운 이후 오(午)대운까지 재성운은 관성을 생하고 관성운은 부군을 도우니, 부군이 승승장구하여 기(己)대운에는 국무총리가 되었다.
- 미(未)대운에는 약신과 관성인 2개의 축(丑)토를 쟁충하여 흉한가운데 정축(丁丑)년에 미토와 축토 3개가 충(冲)하니 부군이 대선 출마하여 낙선하였다. 정축년은 위 명조의 관봉관운의 운으로 불길함이 있을 때이다.
- 경(庚)대운은 갑(甲)목이 경금을 만나 벽갑인화하여 길할 것 같으나 불씨가 부족하니 능력이 부족하다. 신(申)금 대운이후로는 길운이 아니다.
- 위 사주가 만약 사주에 용신 정(丁)화의 록이 지지에 있거나 했다면 경대운에 갑, 경, 정이 벽갑인화가 되어 당선이 되었을 것이다.
명조 : 018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계축월 임자일 병오시 (오시생)
: 임인년주, 계축월주, 임자일주, 병오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음)1962년생으로 단명한 사주이다.
- 정사(丁巳)대운 2005년(乙酉년 辛巳월)에 40대 중반인데 뇌수술중 의료사고로 사망하였다.
- 월지 사령이 겁재 계(癸)수이며 연간과 월간과 일지가 전부 수(水)라 수가 태왕하여 시주에 있는 병(丙)화가 희용이지만 군겁쟁재의 해(害)가 두려워서 연지의 인(寅)목으로 통관의 묘(妙)를 택하니 목(木)이 용신이다.
- 정사(丁巳)대운은 사(巳)중의 경금이 장생하고 을유(乙酉)년은 유금이 대운과 월지와 사유축(巳酉丑) 금국하였고 사고가 발생한 월도 신사(辛巳)월로 금(金)이 강하여 목(木)이 파괴되어 사망하게 된 것이다.
명조 : 019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신축생(소띠) 신축월 임신일 을사시 (사시생)
: 신축년주, 신축월주, 임신일주, 을사시주
출처-실전사주(實戰四柱). 김서경, 시와 에세이, 2012.07.25
◆ 책의 내용 요약
- (음)1961년생 사주이다.
- 임수일주가 동계 축(丑)월에 출생하여 실시(失時)하고 년지 축토와 시간지의 을사(乙巳)가 있어 신약사주로 보인다. 그러나 축토는 습토이며 축(丑)중 신(辛)금이 년월에 투출하여 살인상생으로 임수일주를 생하고 일지에서 장생을 얻어 약화위강으로 신왕사주가 되었다. 지지의 사(巳)중 병(丙)화가 용신이다.
- 초년 공부와 인연이 없어서 배움은 높지 못하나 일찍 장사를 배워서 30대 중반 사(巳)화대운에 수억금을 벌었으며 병(丙)화대운에는 병신합수(丙辛合水)로 손해를 조금 보았으나 오(午)화 대운에 다시 사업이 크게 번창하여 수억 금을 벌어 더욱 잘살게 된 사주이다.
명조 : 020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신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자생(쥐띠) 계축월 임자일 신해시 (해시생)
: 임자년주, 계축월주, 임자일주, 신해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음)1912년생 사주이다.
- 임계(壬癸)일생 관(官) 백호대살은 십중팔구 혈광사라.
- 여명이 좀 억세어서 남편말 안 듣는다. 사주의 금수(金水)는 냉하여 경조불순 있으리라. 그 색이 흑색으로 변하고 생리통 요통이 심하다.
- 신(身)은 왕하나 관(官)은 쇠하여 남편과 해로하기는 어렵도다. 그런 중 관성이 계축(癸丑) 백호대살까지 되어 부군이 횡사하였다. 익사하거나 술에 죽으니 천추에 한을 맺고 가도다.
- 식신 자손이 없어 의지 자손 두기 어렵다. 남편 잃고 무자하니 노년 고독 달낼수 있으랴.
- 임자(壬子)일에 태어난 그 몸은 음식물 영업하여보게 된다. 비견 겁재가 혼잡하여 이복자매 있으리라. 속히 부자요 또 속패(速敗)하니 끝에는 별로 큰돈 못 모인다.
2020/03/07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1) - 잡기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1) - 잡기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1) - 잡기격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신..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