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1) - 잡기격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술생(개띠) 신축월 임오일 무신시 (신시생)
: 병술년주, 신축월주, 임오일주, 무신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무토 칠살이 시간에 투출했다. 토(土)는 중앙에 위치하여 인(寅)과 신(申)에 기생하므로 신(申) 역시 토의 장생하는 지지이다. 장생 목욕으로 보는 가결에 따르면 당연히 네 아들을 두어야 할 것이다.
- 병신(丙辛)이 합하고 임(壬)수가 지지에 통근하니 신왕하여 칠살을 감당할 수 있다.
- 일지가 오(午)화이고 녹마동향이니 재생살(財生殺)하여 좋다. 시간에 용신이 있으니 아들이 많을 징조인데 재가 희신이니 역시 내조가 클 것이다. 그런데 아들의 수가 여덟이고 딸이 30여 명이나 되는 것은 사주에서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처자(妻子) : 자평진전(子平眞詮), 심효첨
- 팔자를 입수하여 자녀를 볼 때는 먼저 시지를 살펴야 한다. 예를 들면 갑을(甲乙) 일간이면 경(庚)금이 시지에서 어떤지, 생왕한지 아니면 사절했는지를 보고 그 많고 적음을 분별하여야 한다. 그런 연후에 시간과 자녀의 별을 본다.
- 예를 들면 재격인데 시간에 식신이 추출했거나 정관격인데 시간에 재가 투출했다면 시간에 용신이 있게 되니, 이럴 때는 설사 시지에서 관살 오행이 사절한다고 해도 역시 자녀가 귀하게 된다. 하지만 자녀의 수가 많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시간에 용신이 있는데 시지에서 관살이 생왕하다면 기린아가 슬하에 즐비할 것이다.
- 이와 반대로 시간에 좋지 못한 기신이 있거나 자녀성이 투출하여 파국이 되었다면 비록 시지에서 생왕한다고 해도 자녀를 두기 힘들 것이고 시지에서 사절까지 되었다면 자녀를 기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상은 처자를 보는 대략을 설명한 것이다.
명조 : 002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미생(양띠) 을축월 임술일 경자시 (자시생)
: 계미년주, 을축월주, 임술일주, 경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지지에 축(丑), 술(戌), 미(未) 사고(四庫)지를 두고 있는데 갑(甲)과 병(丙)이 투간된 것이 없고 대신 시지에 자(子)수 양인이 있다. 이때는 무(戊)토 칠살로 제(制)하면 길하다. 임술(壬戌)대운에서 도독에 이르렀으나 명조에 삼형살이 있어 전성기가 5년에 불과하였다.
※ 축월임수 : 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十二月壬水(십이월임수) 旺極復衰(왕극복쇠) 何也(하야) 上半月癸辛主事(상반월계신주사) 故旺(고왕) 專用丙火(전용병화) 下半月己土主事(하반월기토주사) 故衰(고쇠) 亦用丙火(역용병화) 甲木佐之(갑목좌지)
: 축월임수는 왕성함이 극에 달하였다가 다시 약해진다. 축월의 상반기는 축중 계수와 신(辛)금이 주도하여 왕성하므로 병화 편재를 사용한다. 나머지 하반기는 축중 기토가 주도하여 쇠약해지므로 병화 편재를 쓰고 갑목 식신으로 보좌한다.
有丙解凍(유병해동) 名利雙全(명리쌍전) 丙透甲出(병투갑출) 科甲之貴(과갑지귀) 然四柱無壬(연사주무임) 方妙(방묘) 無丙(무병) 單寒之士(단한지사)
: 축월임수에 병화가 있으면 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명리를 얻고, 병화와 갑목이 투출하면 과거 급제하여 명예를 얻는다. 그러나 사주에 병임충하는 임수가 없어야 묘하다. 병화가 없으면 가난한 선비에 불과하다.
或四柱多壬(혹사주다임) 戊透制之(무투제지) 衣衿可望(의금가망)
: 축월임수에 병화가 없고 무토가 투출하여 많은 임수를 제극해도 한랭함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학생이나 유생 정도는 가능하다.
或丁出時干(혹정출시간) 化合成木(화합성목) 月干又見丁火(월간우견정화) 無癸破格(무계파격)亦主富貴(역주부귀)
: 만약 시간에 정화가 있어 정임합목이 되고, 월간에 또 정화가 있어 정계충이 안될 경우에는 정화로 조후를 할 수 있어 반드시 부귀하다.
或支成金局(혹지성금국) 不見丙丁(불견병정) 名金寒水冷(명금한수랭) 一世孤貧(일세고빈) 見火略可(견화략가) 卽丙透又辛(즉병투우신) 見丁頗吉(경정파길)
: 만약 축월임수에 지지가 사유축 금 인수국이고 조후하는 병화 정화를 보지 못하면 금수(金水)가 모두 차서 금한수랭이라 하며, 평생 외롭고 가난하다. 병정화(丙丁火)가 있으면 약간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투출한 병화가 신(辛)금을 만나 병신합수하면 병화의 쓰임이 없어져서 묘함이 없다. 정화를 보면 약간은 길하다.
十二月壬水(십이월임수) 先取丙火(선취병화) 丁甲爲佐(정갑위좌) 故水冷金寒愛丙丁(고수냉금한애병정) 用火者(용화자) 木妻火子(목처화자)
: 축월임수는 먼저 병(丙)화를 취하여 조후하고, 다음에 정화와 갑(甲)목으로 보좌한다. 축월의 찬 금수는 조후 위주로 병정화(丙丁火)를 용신으로 하는 것이 좋다. 화를 쓰는 경우 목이 처이고 화가 자식이다.
水旺居垣須有智(수왕거원수유지) 水土混雜必愚頑(수토혼잡필우완) 壬癸路經南域(임계로경남역) 主健(주건) 富貴堪圖(부귀감도)又云(우운) 惟有水木傷官格(유유수목상관격) 財官兩見始爲歡(재관양견시위환)
: 축월임수의 왕성한 수가 토 제방 안에 있어 제극이 되면 지혜가 있지만, 수토(水土)가 혼잡된 경우에는 우둔하고 완고하다. 임계수가 남방 화지로 향하면 강건하고 매우 부귀하다. 수일간이 목을 만나서 수목상관격인 경우에는 재성과 관살을 보면 좋다.
명조 : 003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인생(범띠) 신축월 임인일 신축시 (축시생)
: 병인년주, 신축월주, 임인일주, 신축시주
출처-연해자평정해(淵海子平), 심재열, 명문당, 2002.04.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잡기인수격(雜氣印綬格)으로 주종부(周宗簿)의 명이다.
- 위 명조는 축(丑)중의 신(辛)금으로 인수를 삼는바 병(丙)화가 인(寅)중에 장생하여 조후하니 수토(水土)가 온(溫)하고 금난(金暖)하여 오행이 회통하므로 귀격이다.
명조 : 004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오생(말띠) 정축월 임진일 을사시 (사시생)
: 갑오년주, 정축월주, 임진일주, 을사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임수 일주가 축(丑)월에 수왕절 생하니 수원이 근심(根深)하나 재성인 정화가 월간에 투출하고 오(午)화에 건록하며 사(巳)화에 제왕하여 갑을(甲乙)목이 생조하니 재성이 중첩(重疊) 태왕하다. 칠살 무(戊)토도 진토와 사(巳)중에 있어 생조되므로 왕심(旺甚)하다. 차명에 대해서 밝히기 어려운 바가 있으니 사(巳)시를 얻어 손(巽)궁에 임한 것이 그것이다.
- 사(巳)화가 생월 축토와 금(金)국을 지으니 임수의 근이 되고 임수는 갑(甲乙) 목을 생해준다. 목(木)은 다시 병정(丙丁) 화를 생조하고, 화(火)는 다시 무기토를 생조하며, 토는 다시 경신(庚辛) 금을 생해준다. 그리고 사축(巳丑) 중의 경신(庚辛) 금은 다시 임수를 생한다. 오행이 주유(周流)하고, 사주가 순수하며 문격(問格)이 아울러 없고, 상하(上下)가 상친(相親)하니 생생불휴하는 귀조(貴造)이다.
- 따라서 대운이 동서남북 어디로 행하여도 좋다. 그러므로 제일의 갑부가 되었고 수(壽)도 높았으며 오복을 구비하였으니 이는 다 시상에 사(巳)중 경금인 인수를 얻은 때문이다.
- 차명은 축(丑)월에 관성이인 기(己)토가 당권하지만 수왕절인 고로 사오미(巳午未) 화(火)향절에서 부극(富極)하였던 것이다.
명조 : 005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오생(말띠) 기축월 임진일 갑진시 (진시생)
: 경오년주, 기축월주, 임진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살다신약격(殺多身弱醵)
- 임수가 축(丑)월 수왕절에 생하여 수의 일원(一垣)을 이루었으나, 토다하여 살중하고 관왕하니 살을 제거해 주는 시간의 갑(甲)목을 취용한다.
- 대운이 순길하지 못하였으니 어찌 극위(棘圍:과거 보는 과장)에 순조럽겠는가?
- 임진 일생이 축(丑)월에 출생하니 토수(土水)의 기운이 함께 왕하다. 다만 사주 중에 토성 관살이 왕하므로 수기는 경약(輕弱)해진 것인데 시상에 갑(甲)목이 투출하여 목기가 진세(進勢)를 만나서 제살해주므로 귀명이요 과갑할 명운이지만 불행하게도 경(庚)금 대운에 금(金)이 개두하여 갑목을 양멸(攘滅)하니 성공하지 못했다.
- 인(寅), 묘(卯), 임(壬) 대운에 행하여서는 목신 길성이 생조되므로 과갑하고 발신하였다. 그러나 진(辰) 대운에 이르러 병오(丙午)년 중에 무(戊)토 살성이 득지왕극하여 극신(剋身)하므로 사망하였다.
명조 : 006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진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오생(말띠) 정축월 임진일 갑진시 (진시생)
: 갑오년주, 정축월주, 임진일주, 갑진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살중신경격(殺重身輕格) 노고빈명조(勞苦貧命造)
- 임수가 축(丑)월에 생하였으나 살성이 과다하다. 인성 신(辛)금 또한 축(丑)중에 암장되어 생신할 수 없다. 더욱 불미함은 대운에 재살지를 거듭 만나는 사실인바 일생이 노고(勞苦)하고 분파(奔波)할 따름이었다.
- 임수가 비록 축(丑)월에 생하였지만 재살이 태다하므로 수(水)일주가 약하게 되었고 또 비록 축(丑)중의 신(辛)금 인수가 있으나 삼합국을 이루지 못한중 월상에 정(丁)화가 있어 신(辛)금을 암파하여 인수를 극하므로 살인상생격을 성위하지 못하였다.
- 따라서 살성이 중하고 일주가 경쇠할 뿐인데 대운이 초년에 목(木)왕 동방지로 행하므로 제살되어 의식이 자못 넉넉하였으나 이후에 다시 남방 살왕지로 운행하여서는 목숨을 잃지 않았다고 하지만 노고병액(勞枯病厄)이 다단불소(多端不少)하였고 미(未)토 대운에 이르러서는 살(殺)이 가중되므로 마침내 사망하였다.
명조 : 007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자생(쥐띠) 기축월 임인일 신해시 (해시생)
: 경자년주, 기축월주, 임인일주, 신해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수목가상관격(水木假傷官格) 우강하등이부낭중(旴江夏騰吏部郎中)
- 축(丑)월 초순에 생하니 수(水)의 여기가 왕한데 일시지에 목(木)신이 있고 양금(兩金)이 생수하는 데 목기가 설기하므로 수기(秀異)하다. 목이 쇠하니 동방운으로 행함을 가장 기뻐하고 금(金)운에 행하여서는 불의(不宜)하다.
- 임수가 축(丑)월 초순에 생하여 수기가 왕한데 경자(庚子), 신해(辛亥)가 첨가되니 임수는 왕심하다. 따라서 설기함을 좋아하는바 이는 여인이 혈기가 왕성하면 호음함과 같은 것이다. 인해(寅亥) 목에 귀가 있는데 경신(庚辛) 금이 암손해주니 금이 병신(病神)이다.
- 묘(卯)대운에 정묘(丁卯) 세운을 만나서 목국을 얻어 마른 싹이 단비를 만난 것 같이 발연히 일어났다. 중강서(中江西)에서 장원이 되었고, 임진(壬辰), 계(癸)대운에 수기가 고목(枯木) 조자(助滋)하니 북경이부(北京吏部)에 문선이부중(文選吏部中)으로 천하에 이름을 떨쳤다.
- 사(巳)대운에 경(庚)금이 장생하여 인해(寅骸) 목이 극쇠하니 요동에서 옥솟에 갇히어 죽었다.
- 가상관격이 상관운에 발신하는 것인바 차명이 그에 해당한다. 술인이 망단(妄斷)하여 관인격으로 보지만 그렇다면 정묘년 묘(卯)목 상관운에 관성이 손상되므로 사망하였을 것이 아닌가? 대저 격을 분별하는 데는 월령(月令)을 불구(不拘)하고 동정(動精)과 수기(秀氣)가 어디에 있는가를 보아야 한다.
명조 : 008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계유생(닭띠) 을축월 임오일 을사시 (사시생)
: 계유년주, 을축월주, 임오일주, 을사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잡기재관격으로 귀부인 사주이다.
- 위 사주는 임일생이 축(丑)월로 잡기월에 출생하여 투출한 재관 없이 계(癸)수가 투출인데 그것은 비겁이 되어 격으로 삼지는 않으나 임수 일주를 보하는 역할(役割)은 하고 있다. 그러한 중에 사유축 삼합하고 수(水)는 축(丑)월에 여기가 량한(凉寒) 기운이 가시지 않아 그곳에 착근하여 금국의 생을 받으니 신이 왕하여 진다.
- 축(丑)은 본래 동토(冬土)라 하나 벌써 2양이 지나 차츰 3양으로 향하고 있으니 사오화(巳午火)가 류취국(類聚國)을 이루어 냉열(冷熱)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음에 신왕한 사주로 재를 능히 감내(堪耐)할만하니 그 재를 기쁘게 용함에 족하다. 오(午)중에 기(己)토 관성이 있어 재생관으로 용하게 된다. [축(丑)중 기(己)토는 을(乙)목이 투출하여 불용이다]
- 중년에 무진(戊辰) 대운 십 년간에 제상 부인이 된 전 총무처 장관 부인의 사주이다.
- 사오(巳午) 남방운에도 부귀하니 일생에 문단(問斷) 없는 대행운(大行運)의 명조인데, 이와 같이 주격과 체, 용, 운이 병행하여 잘 조화를 이룬 명운은 여간한 복을 타 가지고는 이루어지기가 어려운 희귀한 사주다.
- 이와 같이 잡기재간이 투출없이 또는 형충(刑冲)없이도 상황에 따라서는 이루어지는 수가 있다는 것을 우리는 실례로 보고 있는 것이다. 만약에 이 사주가 관(官)이 투출되고 형충을 만났다고 하면 도리어 재관이 태중하여 살중신경에 제부족(制不足)으로 반위(反爲) 하천한 격이 되었을 사주다.
명조 : 009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임신생(원숭이띠) 계축월 임오일 무신시 (신시생)
: 임신년주, 계축월주, 임오일주, 무신시주
출처-명리요강(命理要綱), 박재완, 역문관, 1974.07.01
◆ 책의 내용 요약
- 1932년생으로 관성습제습격(官星除濕格) 사주이다.
- 임일주가 축(丑)월 한절에 생하여 좌하에 오(午)화가 한습을 제(除)하겠는데 목화의 도움이 없어 조후가 못되어 관성을 생하지 못하므로 한습함이 병(病)이 된다.
- 출가이후로 근면하여 의식의 고난은 없으며 20대 후반 술(戌)년에 온기가 한국(寒局)을 화(和)하여 자식을 낳았다.
- 무기(戊己) 대운은 길하고 신유(申酉) 대운이 불안하겠으나 원국에 충파가 없으니 대화(大禍)가 없으며 정미(丁未)대운은 길하리라.
명조 : 010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사생(뱀띠) 신축월 임술일 신해시 (해시생)
: 신사년주, 신축월주, 임술일주, 신해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42년생으로 삼성 이건희 회장의 사주이다.
- 위 사주는 고인이 되신 도계 선생님의 제자인 역문관 노석 류충엽 선생이 살아계실 때 직접 알려준 자료이다.
- 월지 축(丑)중의 계(癸)수가 사령이고 사주에 금(金)이 많아 신왕하면서 추우니 연지 사(巳)중의 병(丙)화가 용신이고 일지 술(戌)토 속의 정(丁)화가 길성이다.
- 대운도 계속 목화(木火)이니 사업이 번창하여 삼성이 거대 기업이 된 것이다. 특히 일지 재고(財庫) 속의 재(財)는 돈복이 많다.
2020/03/08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2) - 前 국무총리 부인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2) - 前 국무총리 부인 사주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축월 임수(丑月 壬水)(2) - 前 국무총리 부인 사주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축월임수(丑月壬水) 임인일주 여자(곤명, 여명) :..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