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진월 임수(辰月 壬水)(2) - 찰리 채플린 사주 포함
- 봄생 삼춘(三春)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6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경자생(쥐띠) 경진월 임신일 신해시 (해시생)
: 경자년주, 경진월주, 임신일주, 신해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윤하격(潤下格)인 만가인(萬家人)의 사주이다.
- 임(壬)일주가 지지에 신자진(申子辰) 수국을 이루니 윤하진격(潤下眞格)이요 귀명(貴命)이다. 그러나 진(辰)토 재관왕월에 생하니 병(病)이 되었다. 또 시지에 해(亥)수에 공망이 있고 고신(孤神)이 있으며 초년의 운이 남방(南方) 화운인 것이 불리하니 지혜가 많으나 도인(道人)에 불과하였다.
- 신유(申酉) 금(金)왕운에 발신(發身) 득명(得名)하였고 신(辛), 임(壬), 계(癸) 초운도 길하다고 보겠다. 그러나 초년의 신임계(辛壬癸) 운은 남방절령(南方節令)중의 금수(金水) 운이므로 미약하며 중년 대운중의 운간에 갑을목(甲乙木)이 있음은 역시 오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병술(丙戌)대운은 대흉(大凶)하니 차운 중에 사망하였다.
명조 : 007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축생(소띠) 무진월 임술일 경술시 (술시생)
: 기축년주, 무진월주, 임술일주, 경술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889년생으로 무성 영화 시절의 희극 배우의 황제인 찰리 채플린의 사주이다.
- 찰리 채플린의 자서전에 자신의 출생에 관한 생일과 출생 시까지 기록이 되어 있으니 정확할 것이다.
- 한눈에 보아도 토(土)가 너무 많아 종살격(從殺格)이 의심스럽다. 그러나 태어난 계절이 봄의 목왕절이라 태생하면서 자연스럽게 제살(制殺)이 되었으니 종살격으로 보기는 어렵고 억부법(抑扶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임수일간이 약하니 편인 경(庚)금으로 생조하여 금(金)을 용신으로 삼는다. 토(土)를 설기하며 일간을 생하고 통관(通關)도 되니 금상첨화다.
- 초년 목(木)과 화(火)가 왕하던 시절은 고생을 했고, 금수(金水)가 왕한 대운에서 크게 성공하였다.
※ 찰리 채플린 : 시사상식사전 발췌
1889년 4월 영국 런던 램베스에서 출생하였으며, 부모의 이혼으로 어머니를 따라 5세 때 첫 무대에 섰다. 어린 시절 가난과 고아원 등 불우한 환경을 겪었고, 10세 때 극단에 들어갔다.
1914년(乙丑대운: 甲寅년) 할리우드 캐스턴 영화사의 영화에 처음으로 출연했으며, 이후 각본·감독·주연을 겸한 수십 편의 영화들을 만들어 냈다. 특히 이 작품들 속에서 콧수염, 모닝 코트, 지팡이 등을 이용한 분장과 연기로 대중의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그는 유성영화 시대에 접어들어서도 현대문명의 기계 만능주의와 인간 소외를 날카롭게 풍자한 <모던 타임즈>를 무성영화로 제작하였고, 1940년(癸亥대운: 庚辰년)에는 채플린 최초의 유성영화인 <위대한 독재자>를 제작해 반파시스트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영화 주연은 물론 직접 각본을 쓰고 감독과 제작도 맡았는데, 사회적 풍자와 비판이 있는 영화 제작을 주로 하면서 정치적 시비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에 1952년(壬戌대운~辛酉대운 교운기: 壬辰년) 미국을 떠나 스위스로 이주하였으며, 1972년(辛酉대운~己未대운 교운기: 壬子년)에야 미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
한편, 채플린은 영화 <키드>에서 찰리의 꿈속에서 천사로 잠깐 등장한 여배우 리타 그레이와 결혼하였으나 곧 파경에 이르렀고, 이후 폴래트 고다드와 재혼하였다. 고다드는 <모던 타임즈>에서 빵을 훔치는 소녀로 등장하면서 영화에 데뷔하기도 했다. 그러나 고다드와도 헤어지고 54세 때 극작가 유진 오닐의 딸인 우나 오닐과 결혼을 해 1977년(己未대운: 丁巳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함께했다.
■ 채플린의 주요 작품(감독)
뉴욕의 왕(A King In New York, 1957년) / 라임라이트 (Limelight, 1952년) / 살인광 시대(Monsieur Verdoux, 1947년) / 독재자(The Great Dictator, 1940년) / 모던 타임즈(Modern Times, 1936년) / 가로등(City Lights, 1931년) / 서커스(The Circus, 1928년) / 황금광 시대 (The Gold Rush, 1925년) / 파리의 여인 (A Woman Of Paris, 1923년) / 키드 (The Kid, 1921년) / 방랑자 (The Tramp, 1915년)
■ 모던 타임즈(1936)(癸亥대운: 丙子년)
채플린은 1933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적 기운이 미국 전역을 휩쓸 때, 현대 문명의 기계 만능주의와 인간 소외를 날카롭게 풍자한 <모던 타임스>를 준비하게 된다. 1936년 개봉된 <모던 타임즈>에서 그는 중절모와 헐렁한 바지대신 노동자 복장으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다분히 사회주의적인 관점에서 자본주의의 생산 양식에 비판을 가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에서의 작업 끝에 기계처럼 돼버린 노동자를 연기한 채플린의 연기는 희극영화 사상 최고의 연기로 자리 잡게 되었다.
■ 독재자(1940)(癸亥대운: 庚辰년)
다분히 히틀러를 공격 목표로 한 영화로, 모든 전체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도 담고 있는 작품이다. 그 결과 <독재자>는 독일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상영이 금지되었다.
■ 살인광 시대(1947)(壬戌대운: 丁亥년)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아낸 영화로, 이 영화로 인해 채플린은 반미주의자, 공산주의자로 몰리게 된다. 제국주의 전쟁과 독점자본을 비판한 이 영화는 미국의 여러 주에서 상영이 금지되었다. 반면 1948년 프랑스 영화 비평가협회는 그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하면서 채플린을 지원하였다.
명조 : 008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기유생(닭띠) 무진월 임술일 갑진시 (진시생)
: 기유년주, 무진월주, 임술일주, 갑진시주
출처-해석사주명리학(解釋 四柱命理學), 유경진, 역림관 2012.06.13
◆ 책의 내용 요약
- 1969년생 사주이다.
- 임수일주가 진(辰)월 토왕절에 태어나고 다섯 개의 토(土)가 일간을 극(剋)하고 갑(甲)목이 설기하니 극설(剋洩)이 겹쳐서 일간이 태약(太弱)하다. 의지처인 유(酉)금이 용신에 태왕한 토(土)는 토가 많으면 금이 묻히므로 금(金)을 생하는 희신이 아니라 오히려 사주의 병(病)이다. 목(木)은 토(土)를 제거하는 약신이 된다. 화(火)운은 금(金)을 상해하는 또 다른 사주의 병(病)이고 수(水)운은 화를 제거하는 약신이 된다.
- 위 사주는 갑(甲)목이 길신이고 갑(甲)목은 바늘과도 관계가 있는 현침성이며 목(木)은 의류를 상징하기에 의상디자인을 전공하였고 경오(庚午)대운 경오(庚午)년에는 결혼하였다.
- 신(辛)대운에 용신을 도와서 길한데 병자(丙子)년에 병화는 병신(病神)인 관성을 생하여 흉하지만 자(子)수는 약신인 수(水)가 되니 딸을 낳았고 기묘(己卯)년에 기토는 길성이 아니지만 묘(卯)목은 약신이 되니 아들을 낳았다.
- 미(未)대운은 사주에 병(病)이 되는 태왕한 토를 도우니 흉(凶)하다. 이때 재성인 부친은 태왕한 토에 의해서 설기되어 버리고 모친인 인성 금(金)은 강한 토(土)에 매금이 되어서 묻혀버리니 친정이 망해버렸다.
- 향후 금수(金水)운은 길한 대운이다.
명조 : 009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을묘생(토끼띠) 경진월 임오일 기유시 (유시생)
: 을묘년주, 경진월주, 임오일주, 기유시주
출처-김석귀의 사주(四柱) 감정서, 김석귀, 지식공감, 2013.08.22
◆ 책의 내용 요약
- 1975년생으로 관인상생격 사주이다.
- 임수일간이 지지에 통근하지 못하고 신약하다. 사주에 강한 것은 목(木) 식상이다. 식상이 강하면 피해를 보는 것은 관성이다. 관성을 구제할 수 있는 것은 화(火)성과 금(金)성 두 오행이다. 하지만 화(火)성인 재성을 용신으로 잡으면 일간이 신약하여 쓸 수가 없고 금(金)성인 인성(印星)에게 부탁해야 한다. 식상을 억제하고 관성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 용신은 인성 금(金), 희신은 관성 토(土), 기신은 재성 화(火), 구신은 식상 목(木), 한신은 비겁 수(水)가 되는 것이다.
- 오(午)화 대운에 오(午)화는 천간으로는 정(丁)화이므로 일간이 정임합목(丁壬合木)하여 갑(甲)목이 되고 식신이 되니 구신(仇神)운이다. 정(丁)화 정재와 임(壬)수 자신과 합하여 식상을 만들면 재물 문제로 무엇인가 움직인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 오(午)대운 신사(辛巳)년에 사(巳)화는 병(丙)화이므로 사주 일간과 병임충(丙壬冲)이 된다. 대운에서는 정임합목(丁壬合木)하였는데 세운에서 이렇게 충(沖)을 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친구와 동대문에서 사업을 동업하였는데 사업이 부진하고 사업장 매매도 되지 않은 상태였다. 하지만 또다시 다른 곳에도 사업장을 시작해서 인테리어를 공사하였다. 목(木)은 의류, 인테리어 등 이고 목(木)은 새로운 시작인데 시작이 기구신(忌仇神)에 해당이 되니 위와 같았다.
※ 개인
- 위 사주에서 목화(木火)가 기구신에 해당이 된다. 목화(木火)는 시작하고 확장하고 꾸미고 화려하게 하는 것들이다. 또한 오미(午未) 대운은 가장 밝은 곳이며 가장 화려한 것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다. 그렇지만 위 명조의 입장에서는 사업의 부진을 해결할 방법은 인성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 인성은 문서를 의미한다. 새로운 문서 즉 문서 계약을 통해 임대를 얻는 것이 위와 같은 것에 해당이 된다. 그래서 문서를 증가시키면서 상황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인성이라는 문서에는 점유권도 있지만, 그 점유권에서 월세를 지출하게 되면 인성에 다시 목(木)이 개입된 것이다. 문서에서는 임대 수입이 발생하여야 진정한 인성(印星)의 개념이 있는 것이다. 점유권과 동시에 식상 즉 손발을 움직이지 않고도 획득되는 소득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인성에 포함된 문서의 개념 중에 하나일 것이다.
- 근본적으로는 위 사주는 오미(午未) 대운에는 사업을 추구하면 안 되는 대운이다. 하지만 그 대운에서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면 관(官)을 의미하는 큰 조직에 부속되어서 움직이는 하청의 개념이나 혹은 브랜드를 공유하여 움직이는 형태의 사업을 해야 한다. 그렇지만 사실 이렇게 하여도 대운이 깊어지면 결국에는 새로운 대운을 열기 위한 작업이 진행된다. 그때가 위 사주의 계미(癸未) 대운 후반이다. 그렇게 아픔을 경험하고 길(吉)운을 맞이한다. 변화된 자신을 만들기 위한 공정 과정이 기구신(忌仇神) 대운의 또 다른 의미이다.
명조 : 010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신생(원숭이띠) 경진월 임술일 정미시 (미시생)
: 경신년주, 경진월주, 임술일주, 정미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80년생 사주이다.
- 정축(丁丑)대운 2011년 신묘(辛卯)년에 30대 초반의 나이로 단명하였다.
- 진(辰)월에 사령이 무(戊)토 편관 칠살이다. 제살(制殺)이 급하다. 그러나 월지 장간의 을(乙)목과 시지의 미(未)중 을목은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숨어 있으며 오히려 연월간에 경(庚)금과 연지 신(申)금이 있어 목(木)을 극하고 있어 구조가 좋지 못하다.
- 월지가 칠살이고 경(庚)금이 편인이지만 인수가 있어 살인상생으로 좋은 사주가 아니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으나 편관 칠살은 우선적으로 제살하는 것이 가장 좋고 제살이 안된 사주는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일간이 합(合)이 되어 있는 것도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는 자신만의 독자노선을 취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대운이나 세운에서도 일간과 합(合)이 되는 운이 별로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 이 사주는 진(辰)토, 술(戌)토, 미(未)토로 사계(四季) 중 셋이 이미 있는데 운에서 축(丑)이 오면서 온전하게 넷이 채워지게 되어 대흉한 것이다. 축(丑)토대운에 사망한 것이다.
※ 개인
- 투출한 양(兩) 경금이 신(申)금 편인에 득록하였고 진(辰)토는 연월상의 경금을 윤토생금하고 있다. 금(金)이 강한 사주이다. 축토는 사유축 금(金)을 만들고 정축 백호대살 대운에 임술 괴강일주와 형(刑)을 하고 금(金)이 왕한 사주에 왕금(旺金)이 축토에 입묘한다. 축토 대운은 왕신(旺神) 입묘 대운이다.
- 또한 금(金)이 강한 사주에 다시 대운이 금으로 화(化)하는 축토 대운으로 가니 금(金)기가 태왕해진 것이다. 세운은 천간을 중요시 보기도 한다. 신묘(辛卯) 세운은 대운의 축(丑)토 신(辛)금이 힘을 받으며 동시에 묘(卯)목 상관과 을신충하고 묘(卯)목 상관은 기(己)토와 상관견관이 된다. 세운에서 온 약한 묘목(卯木)이 강한 금을 왕신충(旺神冲)한 것이다.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술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사생(뱀띠) 병진월 임신일 계묘시 (묘시생)
: 계사년주, 병진월주, 임신일주, 계묘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수(水)가 많은데 편인 경(庚)금이 있으니 병(丙)화가 용신이다. 그러나 재(財)와 겁재가 모두 있으니, 묘(卯)목으로 계수를 설(洩)하여 병(丙)화를 생하여야 한다.
- 북방(北方) 수(水) 겁재운으로 흘러, 자(子)대운 계유(癸酉)년에 자객에게 살해되었다.
명조 : 012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오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인생(범띠) 경진월 임오일 임인시 (인시생)
: 경인년주, 경진월주, 임오일주, 임인시주
출처-사주실록(四柱實祿), 류래웅, 태을, 2015.07.15
◆ 책의 내용 요약
- 1950년생으로 유부남과 불륜 경험이 있는 여인의 사주이다.
- 미혼인 시절 20대 중반인 정축(丁丑)대운 초반에 유부남인 직장상사와 불륜관계를 가진 경험이 있는 사주이다. 미모와 교양을 갖춘 여인이다. 참고로 임오(壬午)일주 여명은 미인인 경우가 많다.
- 불륜 행위를 한 상대의 남자 사주는 2살 많은 무자(戊子)생 을축(乙丑)월 신유(辛酉)일주 계사(癸巳)시이다. 이 남성은 무진(戊辰)대운에 외도를 하였다.
명조 : 013
◆ 임수일간(임수일주)
진월임수(辰月壬水) 임술일주 여자(곤명, 여명)
: 경신생(원숭이띠) 경진월 임술일 경술시 (술시생)
: 경신년주, 경진월주, 임술일주, 경술시주
출처-사주첩경(四柱捷徑), 이석영,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03.31
◆ 책의 내용 요약
- 1920년생 사주이다.
- 부가지부(富家之婦) 가후친정모봉양(嫁後親庭母奉養)
- 관과 인성이 합신(合身)되는 운명은 가후생모(嫁後生母) 봉양한다.
- 임술(壬戌)일주는 괴강살이라 하여 나쁘다고만 단정하지 마라. 사주에 또 관(官)이 많다하여 여러번 출가라 말하지 마라. 생월에 놓은 진(辰)토성은 천간의 경(庚)금을 자양한다. 진토에 또 계(癸)수의 수분이 있고 신(申)금은 임수의 수원(水原)이다. 약한 것이 변하여 강(强)이되니 그 살(殺)은 화(化)하여 권세가 된다. 또한 그 관살이 천간에 나타나지 않아 관(官)이 많아도 무방하도다.
- 토(土)와 금수(金水) 세 가지가 모여 토금수 삼상격(三象格)을 생한다. 복록 많은 부인으로 태어나 좋은 곳 보배를 지니고 산다.
- 관과 인수가 몸에 합하여 생모를 모시고 같이 산다. 아들은 셋이라 하겠으나 쇠(衰)가 되어 두 자녀로다.
- 부군은 영귀하고 집은 부유하니 즐거운 날 끊임이 없다. 재(財)와 인수가 서로 합하여 어머니는 재취로 시집을 왔다.
2020/03/17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진월 임수(辰月 壬水)(1) -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2020/03/21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진월 임수(辰月 壬水)(3) - 인수(印綬) 용신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 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