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1) - 양인격(羊刃格)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01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갑신생(원숭이띠) 병자월 임인일 신해시 (해시생)
: 갑신년주, 병자월주, 임인일주, 신해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출처-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 역자 홍보환, 서이원, 2011.03.25
◆ 책의 내용 요약 :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 고전 명조이다.
- 천간의 목화(木火)가 지지에 장생을 만났다. 신자(申子) 수(水)국을 이루니 식신 역시 생부를 얻고 있다. 재기(財氣)가 문호(問戶)에 통했으니 부격(富格)이다.
※ 양인격(羊刃格) : 자평진전
陽刃者(양인자) 劫我正財之神(겁아정재지신) 乃正財之七煞也(내정재지칠살야) 祿前一位(록전일위) 惟五陽有之(유오양유지) 故爲旭刃(고위욱인) 不曰劫而曰刃(불일겁이일인) 劫之甚也(겁지심야)
: 양인은 정재를 겁탈하는 성분으로, 정재의 칠살이다. 양인은 건록의 다음 자리로, 천간 중에서 양간만 해당한다. 또 육친 구조상 겁재에 해당하는데도 양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일반적인 겁재보다 재성을 극하는 것이 극심하기 때문이다.
刃宜伏制(인의복제) 官煞皆宜(관살개의) 財印相隨(재인상수) 尤爲貴顯(우위귀현) 夫正官而財印相隨美矣(부정관이재인상수미의) 七煞得之(칠살득지) 夫乃甚乎(부내심호) 豈知他格以煞能傷身(기지타격이살능상신) 故喜制伏(고희제복) 忌財印(기재인) 陽刃用之(양인용지) 則賴以制刃(칙뢰이제인) 不怕傷身(불파상신) 故反喜財印(고반희재인) 忌制伏也(기제복야)
: 양인은 마땅히 극제해야 하므로 정관이든 칠살이든 모두 마땅하다. 재와 인으로 관살을 보좌하면 더욱 귀하게 된다. 정관이 재와 인수의 보좌를 받으면 좋은 것은 당연한데, 칠살까지 재와 인수의 보좌를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양인격이 아닌 다른 격국에서는 칠살이 나를 극하는 것으로 보아 제복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재와 인수를 꺼리는데, 어째서 유독 양인격만은 칠살을 재와 인으로 보좌하는가? 양인격에서 칠살을 쓰는 것은 오로지 칠살에 의지해서 양인을 제복해야 하기 때문에 칠살이 나를 극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히려 재와 인수를 좋아하고 칠살을 제복하는 것을 꺼리는 것이다.
更若陽刃用財(경약양인용재) 格所不喜(격소불희) 然財根深而用傷食(연재근심이용상식) 以轉刃生財(이전인생재) 雖不比建祿月劫(수불비건록월겁) 可以取貴(가이취귀) 亦可就富(역가취부) 不然則刃與財相搏(불연칙인여재상박) 不成局矣(불성국의)
: 양인격에 재를 쓰는 격국은 좋지 않다. 그러나 재가 뿌리가 깊고 식상을 쓴다면 양인이 식상을 생하고 식상이 다시 재를 생하게 된다. 비록 건록격이나 월겁격보다는 못하지만 부귀할 수 있는 것이다. 식상도 없다면 양인과 재가 서로 싸우니 국을 이루지 못한다.
◆ 책의 내용 요약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임수가 중동(仲冬)에 생하니 양인이 당권한 계절인데 년월에 목화(木火) 무근이고 일지의 식상이 충파되니 보통의 명조 같다. 그러나 기쁜 것은 일지는 인(寅)목이고 시간은 해(亥)시로 목화의 생지이며 인해합(寅亥合)이 있어 목화(木火)의 기운이 더욱 튼튼하다.
- 신자(申子)가 공회(供會)한즉 식신이 도리어 생부를 받아 이른바 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를 이루니 부(富)가 백여 만에 이르렀다.
- 대저 거부의 사주는 재성이 많은 것이 아니고 단지 생화유정하고 곧 재기통문호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재가 왕지에 임하였는데 관성이 없어야 하고, 일주가 실령하였으면 반드시 비겁의 도움이 있어야 아름답게 되는 것이다.
명조 : 002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기유생(닭띠) 병자월 임인일 병오시 (오시생)
: 기유년주, 병자월주, 임인일주, 병오시주
출처-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심효첨, 서락오, 역자 박영창, 청학, 1997.02.20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위 사주는 정관 기토가 천간에 투출하고, 왕성한 재성이 정관을 생하는 어느 승상의 사주이다.
- 재가 왕하여 정관을 생하고 있다. 비록 월령이 양인이지만 재는 더욱 왕하다. 기쁜 것은 년주 기유(己酉)가 있어서 관인상생이 되었다는 점이다. 재관인인(財官印刃)으로 기가 두루 흘러 정체하지 않고 있다. 인수운과 비겁운에 좋았다. 관운 역시 길하다.
- 계유(癸酉), 신미(辛未) 대운의 30년 간이 좋고, 식신 갑목 대운은 정관 기토를 합거하고, 상관 을목 대운은 정관을 극하니 모두 좋지 않다.
※ 양인격(羊刃格) : 자평진전
陽刃用官(양인용관) 則運喜助官(즉운희조관) 然命中官星根深(연명중관성근심) 則印綬比刼之方(즉인수비겁지방) 反爲美運(반위미운) 但不喜傷食合官耳(단불희상식합관이)
: 양인격에 정관을 쓰는 경우는 정관을 돕는 운이 좋다. 만일 사주 중에 정관의 뿌리가 깊으면 오히려 인수운과 비겁운이 좋다. 단, 식상운은 정관을 합하므로 좋지 않다.
명조 : 003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인생(범띠) 임자월 임인일 임인시 (인시생)
: 임인년주, 임자월주, 임인일주, 임인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원문 : 天元一氣(천원일기) 殺旺得地(살왕득지) 侍郞(시랑)
- 천간이 모두 임(壬)수로 천원일기격이다. 인(寅)중 병(丙)화와 무(戊)토를 쓴다. 운이 화토(火土)로 흘러서 무(戊)토 칠살이 득지하여 시랑의 벼슬을 하였다.
※ 자월임수 : 궁통보감
十一月壬水(십일월임수) 陽刃幫身(양인방신) 較前更旺(교전경왕) 先取戊土(선취무토) 次用丙火(차용병화) 丙戊兩透(병무양투) 富貴榮華(부귀영화) 有戊無丙(유무무병) 略可言富(약가언부) 有丙無戊(유병무무) 好謀無成(호모무성): 자월임수는 양인의 달이라 해월보다 임수가 더욱 왕성하다. 무토 편관을 먼저 사용하고, 다음에 병화 편재를 쓴다. 무토와 병화가 모두 투출한 경우에는 부귀영화가 있다. 무토만 있고 병화가 없으면 부자이고, 병화는 있는데 무토가 없으면 도모하는 것은 많지만 이루어지는 것이 없다.
或支成水局(혹지성수국) 丙不出干(병불출간) 即有戊土(즉유무토) 亦係庸人(역계용인) 或丙透得所(혹병투득소) 即戊藏支(즉무장지) 亦可顯達(역가현달) 須運得用方妙(수운득용방묘)
: 자월임수가 지지에 수비겁국이며, 병화 편재가 투출하지 않고 무토 칠살이 있어도 추우므로 평범하다. 병화가 투출하여 유력하고, 무토가 지장간에 있으면 발전한다. 이 경우는 반드시 운이 화토로 흘러야 좋다.
或支成火局(혹지성화국) 一富而已(일부이이) 或比見月時(혹비견월시) 年見丁火(년견정화) 平常之輩(평상지배) 支成四庫(지성사고) 富貴中人(부귀중인) 或丁出時干(혹정출시간) 名為爭合(명위쟁합) 主名利難成(주명리난성)
: 자월임수에 지지가 화 재성국이 되는 경우는 일간도 왕성하고 재성도 왕성한 상태로 부자가 된다. 자월임수로 월시에 임수 비견이 있고 연주에 정화 정재가 있으면 평범하며, 지지에 진술축미 사고가 있으면 부귀하다. 정화가 연간과 시간에 있으면 정임합이 쟁합이 되어 명리를 이루기가 어렵다.或壬子日(혹임자일) 丁未時(정미시) 雖不能科(9수불능과갑) 亦有恩榮(역유은영) 何也(하야) 蓋用子中癸水為宮(개용자중계수위궁) 號曰用神得地(호왈용신득지) 亦主榮華(역주영화) 十一月壬水(십일월임수) 丙戊並用(병무병용)
: 만약 임자(壬子)일 정미(丁未)시면 크게 귀하지는 않지만 영화는 있다. 이는 자(子)중 계수가 정(丁)화의 관살이지만, 정화가 미토에 뿌리가 있어 용신 득지의 상황이기 되기 때문이다.
명조 : 004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임자월 임자일 갑진시 (진시생)
: 임자년주, 임자월주, 임자일주, 갑진시주
출처-궁통보감강해(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12.13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비천록마격(飛天祿馬格) 상서(尙書)
- 수목상관격으로 시간의 갑(甲)목을 용신으로 한다. 비천록마격으로 길격이며, 운이 목화(木火)로 향하여 좋다. 상서의 벼슬을 하였다.
명조 : 005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인일주 남자(건명, 남명)
: 정묘생(토끼띠) 임자월 임인일 무신시 (신시생)
: 정묘년주, 임자월주, 임인일주, 무신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이 사주는 방백(方伯)이었다. 무(戊)토가 투출했는데 병(丙)화는 암장되어 있으니 중동(仲冬) 임(壬)수의 정당한 용신이다.
명조 : 006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계축생(소띠) 갑자월 임오일 갑진시 (진시생)
: 계축년주, 갑자월주, 임오일주, 갑진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이다.
- 이 사주는 오(午)화에 정(丁)화와 기(己)토가 있으나 갑(甲)목 식신이 두 개가 개두하여 정관 기(己)토를 제한다. 병정(丙丁) 재운이 오는 것을 기다려야 나타난다. 그리고 목화통명이니 관인(官印)으로 논하지 않는다.
- 이 명주를 놓고 고종(高宗)은 노명사(老名士)라 했다. 60대 중후 반인 기미(己未)년에 진사에 올라 예부시랑에 이르렀다가 90대 후반에 사망했다.
명조 : 007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오일주 남자(건명, 남명)
: 병오생(말띠) 경자월 임오일 경자시 (자시생)
: 병오년주, 경자월주, 임오일주, 경자시주
출처-조화원약평주(造化元鑰評注), 정지호, 삼한, 2003.07.16
◆ 책의 내용 요약
- 위 사주는 천지의 가운데를 나누었으니 충(沖)이 아니다. 오(午)화에 정(丁)화 기(己)토 재관이 있어 과갑(科甲)에 이르렀고, 만년에 화(火) 남방(南方)운으로 흘러 대귀격(大貴格)을 이루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1846생으로 번번산(樊樊山)의 사주이다.
- 용신은 재성에 있으니 제일 즐거운 것은 목(木)운이 양인의 기운을 설기하여 병(丙)화를 생하는 것이다. <적천수>에서 말하기를 통관(通關)하는 것이 이것이다.
- 임일주가 오(午)화에 좌하니 재성과 관성이 와서 나를 취하게 된다. 만년에 운로가 재성으로 달리니 의식은 풍족하여 넉넉하지 않더라도 근심은 없다. 이는 자오(子午) 감리의 바른 기운으로 천지의 정기가 생함을 얻은 것이다. 크게 사업은 이루는 것이 마땅하여 스스로 세월이 만족하다.
※ 번번산(樊樊山): 한국인문고전연구소 발췌
호북(湖北) 은시시(恩施市) 육각정(六角亭) 서정가(西正街) 재동항(梓潼巷) 사람으로 원래 이름은 번가(樊嘉), 번증(樊增)이고, 자는 가부(嘉父), 번산(樊山)이며, 호는 운문(雲門), 천금노인(天琴老人)이다.
청(清)나라 때 관리이자 시인이며 문학가이다. 벼슬은 위남지현(渭南知縣), 섬서포정사(陝西布政使), 호리양강총독(護理兩江總督) 등을 역임했다.
신해혁명(辛亥革命) 뒤에 호상(滬上)으로 은거했다. 원세개(袁世凱)가 집정할 때에 참정원(參政院) 참의(參政)를 지냈다. 일찍이 장지동(張之洞), 이자명(李慈銘) 등과 더불어 동광파(同光派)의 주요 시인이었다.
사후에 남긴 시가 3만여 수(首)가 되었다. 저서로 《번산전집(樊山全集)》이 있다.
명조 : 008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여자(곤명, 여명)
: 병인생(범띠) 경자월 임자일 임인시 (인시생)
: 병인년주, 경자월주, 임자일주, 임인시주
출처-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저자 서락오, 역자 김기승, 다산글방, 2019.08.09
◆ 책의 내용 요약
- 고전 명조로 이태후(李太后)의 사주이다.
- 두 개의 자(子)수가 모여 오(午)화를 충(冲)하여 오므로 인오(寅誤)가 암중으로 회합하여 격을 이룬다. 인중 갑(甲)목이 무기(無氣)하니 식신생재는 아니다.
명조 : 009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해생(돼지띠) 경자월 임자일 정미시 (미시생)
: 신해년주, 경자월주, 임자일주, 정미시주
출처-명리강론(命理講論), 신수훈, 서지원, 2005.10.10
◆ 책의 내용 요약
- 1911년생 사주이다.
- 임자(壬子)일주가 자(子)수를 거듭 만나 비천록마격을 이루었다. 법관이 된 사주이다.
※ 비천록마격 / 도충격 : 명리강론
비천록마격이란
임(壬)일생과 경(庚)일생이 자(子)수를 거듭 만나거나,
신(辛)일생과 계(癸)일생이 해(亥)수를 거듭 만나거나,
병오(丙午)일생이 오(午)화를 거듭만나거나,
정사(丁巳)일생이 사(巳)화를 거듭만나면 비천록마격이 성격된다. 모두가 다 화토수(火土水) 재관을 충출기용(冲出起用)한다는 것이다.
※ 법관 : 명리강론
임(壬)일생의 경우 다봉 자(子)하면 주중에 없는 오(午)화가 암충되어 오중 정(丁)화 정재와 오중 기(己)토 정관을 인용(引用)하여 지혜와 예의와 신용으로 사회기강을 바로잡는 법관 등이 된다는 추리를 할 수 있다. 다른 일간도 이와 같은 원리이다.
명조 : 010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임자생(쥐띠) 임자월 임자일 병오시 (오시생)
: 임자년주, 임자월주, 임자일주, 병오시주
출처-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심재열, 명문당, 1987.06.01
출처-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김선구, 온북스, 2014.02.20
◆ 책의 내용 요약 : 명리정종정해(命理正宗精解)
- 고전 명조로 비천록마격 파격으로 걸인(乞人)의 사주이다.
- 위 명조는 자(子)수가 오(午)위를 충래(冲來)하여 관성을 취하는 격인데 시주에 병오(丙午)가 있어 관성이 전실(塡實)되고 합위도 없으니 대파(大破)되었는바 극걸인(極乞人)의 명이 되었다.
◆ 책의 내용 요약 : 사주명리(四柱命理) 전서(全書)
- 임자(壬子)일생이 년월에 임자(壬子)를 만나 비천록마격이다. 그러나 비천록마격이 기(忌)하는 오(午)화를 만나 파격이다. 또 군겁쟁재(群劫爭財)가 되어 손재(損財) 상처(喪妻)에 걸인(乞人)이 되는 사주이다.
- 이 사주가 임인(壬寅)시였다면 수목화(水木火)로 상생되어 부자가 되었을 것이다.
2020/03/05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2) - 허균 사주 포함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2) - 허균 사주 포함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2) - 허균 사주 포함 - 겨울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11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무진생(..
findwisdombaysix.tistory.com
2020/03/10 -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3) - 양인합살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3) - 양인합살격
임수일주(임수일간) : 사주 자월 임수(子月 壬水)(3) - 양인합살격 - 겨울생생 삼동(三冬) 임수 - <책 속의 사주> 명조 : 021 ◆ 임수일간(임수일주) 자월임수(子月壬水) 임자일주 남자(건명, 남명) : 신사생(뱀..
findwisdombaysix.tistory.com
§. 위 명식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출처에 표시된 도서를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 고인이 되신 분들과 역업을 떠나신 분들 및 현재까지 활발하게 저술활동이나 감명 활동을 이어 가고 계신 수많은 명리학의 스승님 및 선배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후학들이 더욱 깊이 있고 진지하게 삶을 관찰하고 명리학에 다가갈 수 있게 귀중한 시간을 들여 소중한 책을 출간해주신 점 또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공인이 아닌 위치에 계시면서 개인 명조를 책 속에 출간할 수 있도록 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함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